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스페셜
"
모습
"(으)로 총 2,69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세계 각국에서 포착한 목성과 토성 대근접
2020.12.22
수 있다. 전영범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 책임연구원이 21일 오후 목성과 토성의
모습
을 포착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채플힐에서 카메라로 촬영한 목성(왼쪽)과 토성을 확대한
모습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목성과 토성의 대근접은 전 세계에서 볼 수 있는 우주쇼다. 천문대에서 ... ...
[Q&A]식당 예약은 4인까지만 스키장 썰매장도 닫아요...연말연시 이렇게 보내세요
2020.12.22
다음달 3일까지 방역 강화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올 연말연시는 이전과 다른
모습
으로 보내게 됐다. 관련해 궁금한 점을 정리했다. 연말연시가 되면 송년회와 회식으로 식당이 가득찼지만 올해는 여러 명이 모여 왁자지껄하게 떠들며 밥과 술을 즐길 수 없다. 이번 대책에서 가장 크게 ... ...
정부 의대생 구제 시사 배경은…코로나19 악화일로에 입장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20.12.21
입장이라고 부연했다. 이는 의대생 구제에 대한 그간의 강경론에서 한참 벗어난
모습
이다. 정 총리는 이날 오전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국시 거부 의대생 구제 방안을 묻는 말에 "국민 여론 때문에 굉장히 신중했는데, 조만간 정부가 현실적인 여러 상황을 고려해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 ...
[과학자의 언어,대중의 언어]④더 나은 과학용어를 만들어야
2020.12.20
이공계 대학만 그런 것이 아니다. 소위 ‘전문가’들이 모이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모습
이다. 그래서 ‘엘레강스’하고 ‘시크’한 ‘스타일’의 ‘신상’을 ‘론칭’한다고 해야 대접을 받는다. 바이오·패션·IT·언론이 모두 그렇다. 심지어 우리말 용어가 도무지 필요하지 않다는 과학자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19 백신, 사이언스가 꼽은 올해의 과학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0.12.20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을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로 돌진하는
모습
을 표지로 실었다. 주사기 위 사람들은 하얀 가운을 입은 것으로 봐 의과학자들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오른쪽 하단에는 '2020 올해의 과학성과'라 크게 명시했다. 사이언스는 이번 주 2020 올해의 과학성과를 ... ...
[인간 행동의 진화]개는 어떻게 인간의 친구가 되었나
2020.12.20
떠올렸다.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개와 인간의 사랑이 시작되었다. 길들임 애완견의
모습
. 위키피디아(Noel Zia Lee)제공 아마 첫 만남은 그리 오래 가지 않았을 것이다. 늑대를 길들이려는 시도가 여러 번 진행되었지만, 그리 성공적이지는 않았다. 일단 늑대는 잘 짖지 않는다. 보름달을 바라보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힘든 연말을 버티는 방법
2020.12.19
‘이 일이 나랑 잘 안 맞나 보네. 타이밍이 안 좋았나보지’ 정도로 가볍게 넘기는
모습
을 보였다. 할 수 없는 일은 가급적 빨리 내려놓고 ‘할 수 있는 일을 한다’는 작은 차이가 한 사람에게는 실패만 가득한 삶을, 또 다른 사람에게는 새로운 발견과 성취의 기쁨이 가득한 삶을 선사한다는 ... ...
21일 저녁 '800년만의 기회' 목성토성 대근접 놓치지 마세요…온라인 생중계
과학동아
l
2020.12.19
이는 보름달의 각지름을 다섯 등분했을 때와 같은 거리로 두 행성이 이 정도로 가까워진
모습
을 제대로 관측할 수 있는 것은 800년 만이다. 동아사이언스 목성과 토성이 우리 눈에 거의 겹쳐 보일 만큼 접근하는 '목성토성 대근접' 현상을 온라인으로 볼 수 있는 라이브 관측 행사가 국내에서 열린다. ... ...
코로나19 바이러스 어디서 잘 살아남을까
2020.12.18
오래 생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살고있는 표면의 재질에 따라 생존 기간이 달라지는
모습
도 보인다. 마이클 챈 홍콩대 리카싱의과대 교수 연구팀이 올해 4월 2일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표면이 매끈할수록 오래 생존했다. 연구팀이 실험했을 때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상온에 ... ...
따뜻해진 북극 바다, 바다 속 소용돌이 강해진다
2020.12.17
특이하게도 북극해에서는 겨울이 되면 해수면에서 수심 50m까지 영역에선 사라지는
모습
을 보였다. 북극해의 소용돌이 현상을 시뮬레이션 한
모습
. 왼쪽은 해수면 아래 17m를, 오른쪽은 해수면 아래 147m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다. 색이 붉을수록 속도가 빠름을 나타낸다. 매사추세츠공대 제공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