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경우
타임
시각
더러움
얼룩
오물
d라이브러리
"
때
"(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통계로 태어나서 통계로 죽는다?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통계의 날로 정했다.우리나라 통계는 국가통계포털에서우리나라 각종 통계가 궁금할
때
는 국가통계포털을 찾으면 된다. 여기서 통계로 보는 자화상 코너를 이용하면 나와 관련된 정보를 더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다. 입력한 내 정보를 토대로 나와 관련해서 비교할 만한 여러 가지 통계자료가 ... ...
자료 정리의 달인, 통계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찾아 내기 위해 모든 제품을 다 조사하면 좋겠지만 그러한 시간적, 경제적 여유가 없기
때
문에 통계를 이용해 몇 가지 경우만 살펴보는 것입니다.또 통계를 이용하면 서로 다른 주제가 관계가 있는지 없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영어 점수와 수학 점수사이의 관계를 알고 싶다면 학생들의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해양생물종은 육지생물종에 비해 다양성이 떨어지는 것일까. 바다는 고립지역이 없기
때
문에 생물종이 다양하게 분화하는 환경이 되지 못한다고 주장하는 생물학자도 일부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해양생물학자들은 이는 섣부른 판단이라는 입장이다. 이들은 깊이 1000m가 넘는 심해저나 ... ...
중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계산값이 나왔다.암흑에너지는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으로 우주를 비춰보았을
때
나타난 것이다. 만약 일반상대성이론이 틀렸다면 어떻게 될까.예를 들어 우주 어디서나 중력이 똑같지 않다면? 거대한 우주에서는 중력이 우리가 익숙한 세계보다 약하다면 어떨까. 그렇다면 암흑에너지라는 ... ...
사람이 영리한 이유는 머리와 몸이 따로 놀기
때
문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신경계와 뇌가 발달했다”고 설명했다.그는 또 “어류는 외부에서 자극이 왔을
때
가슴지느러미가 무의식적으로 반응하도록 조절하는 기관이 뇌지만, 목이 생기면서 그 역할이 척수로 이동했다”고 말했다. 목이 진화하면서 뇌뿐 아니라 척수도 진화했다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 ...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액세서리 너브’는 휴대전화 사용을 편리하게 해주는 옷이다. 수업이나 회의를 할
때
처럼 전화벨이나 진동을 감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전화가 오면 이것을 시각적으로 알려준다. 소매에 주름이 생기는 것이다.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 주름을 펴면 된다. ‘지금은 전화를 받을 수 없으니 ... ...
LED가 만들 형형색색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에피층의 물성이 급격히 떨어지므로 이를 해결할 새 방법이 필요했다. 필자는 박사과정
때
작성한 논문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제시했다고 평가받으며 오랜 연구과정의 보람을 얻었다.연구실에서는 기존의 양자우물 구조 외에도 양자점, 나노선을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활성층 ... ...
LED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최근 삼성그룹에서 LED TV와 LED조명까지 사업을 확장시켰다. LED산업이 크게 발전하고 있기
때
문에 취업 선택 범위도 넓은 편이다. 취재 한마디 서울대 재료공학부에 재학 중이다. 백열등이나 형광등이 이제 LED로 바뀔 날이 머지 않았다. 차세대 조명을 책임질 LED공학의 미래가 기대된다 ... ...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생물다양성협약생물다양성협약은 1992년 리우의 지구정상회담에서 150개국 정부가 서명한 협약이다. 생물다양성협약은 생물다양성이 생태계에 관한 것 이상으로 인류의 ... 있어 각 지역에 맞는 재래 품종들을 밀어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볼
때
종 다양성을 해친다 ... ...
[화학] 화학평형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낮추면 반응은 온도가 높아지려는(발열 반응) 쪽으로 진행된다.반응지수(Q)온도가 일정할
때
평형 상수식에 평형농도가 아닌 현재의 농도를 대입해 계산한 값을 반응지수(Q)라고 한다. 반응지수와 평형상수의 크기를 비교하면 반응의 진행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만일 Q<K라면 평형에 도달하기 ... ...
이전
1166
1167
1168
1169
1170
1171
1172
1173
1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