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벗겨지는 태양계의 신비④ 태양이 되려다 좌절한 목성(Jupiter)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지구를 11개는 늘어 놓아야 목성의 적도를 겨우 덮을 수 있을 정도이고(적도반경이 11배
이상
), 목성의 부피를 지구로 채우려면 지구가 1천3백21개는 있어야 한다.목성의 영어 이름인 주피터(Jupiter)는 올림푸스 신들의 왕 이름에서 붙여졌다. 목성은 이름 그대로 '행성의 왕'인 셈이다.목성은 금성 화성과 ... ...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 가속기에서 나오는 빛은 병원에서 사용하는 폐결핵검사용 X선의 강도에 비해 1천배
이상
강하다. 일본은 현재 정부의 재정지원하에 20여대의 코지(COSY, Compact Synchrotron)를 건설하고 있다. 코지는 고집적회로 전용 가속기라 할 수 있다.또 정밀공학회 등이 중심이 돼 미소기기 개발을 추진하고 ... ...
주머니 속의 컴퓨터 전자수첩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전력소모량도 극히 적어 LED에 사용할 경우 3~6시간
이상
을 쓰지 못하는 전지로 1천시간
이상
을 쓸 수 있게 됐다. 또 LCD는 LED보다 글자를 표현해내는 점(dot)이 조밀해 화면이 선명하고 문자까지 표현할 수 있게 됐다.이런 초박(超薄)형 저(低)소비전력 LCD 덕분에 오늘날 종잇장 두께의 전자계산기가 ... ...
정보화시대의 기술인력 기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듯으로 해석된다. 또 당시 한국산업정보원이 국내 2백84개 컴퓨터사용기업(마이크로급
이상
)을 조사한 결과 전산관련인원부족률이 평균 4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분야의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배출되면 사회에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는 것. 설립계획이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되는 거리를 고유운동이라고 말한다. 대개의 항성은 1년에 0.1초 정도 움직이며 1초
이상
움직이는 별은 2백개 정도이다. 고유운동이 가장 큰 별은 땅꾼자리에 있는 바나드(Banard)별로 1년에 약 10초 정도 움직이다. 바나드별이 보름달 지름(0.5도)만큼 움직이기 위해서는 약 1백80년이 걸린다 ... ...
주변기기 활용법/레이저프린터 대중화 문턱에 들어선 무공해 출력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한다면 포스트 스크립트를 지원하는 프린터를 구입해야 할 것이다.다음은 필요
이상
의 고해상도를 선호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무작정 고해상도를 원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약간의 해상도를 높이려는 욕심이 몇배의 비용으로 되돌아 온다는 점을 잊지 말기 바란다. 학습용으로는 아직 저렴한 ... ...
과학자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특별한 사람이 아니다.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은 전체 취업인구의 10%
이상
을 점한다. 그만큼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주요계층으로 성장한 것이다. 현대문명을 가능하게 한 원동력은 과학기술의 비약적 진보로부터 나왔다. 미래의 사회발전에도 과학기술자가 큰 역할을 하리라는 ... ...
빛의 굴절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준성들이 발견됐다. 이 별들은 매우 밝고 매우 멀리있는 것들이다. 이들은 수십억 광년
이상
멀리 있으며 그들 자신이 방출하는 강력한 빛과 전파에 의해 탐지된다. 전파는 빛의 파장이 갖는 모든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그 역시 굴절된다.만약 그렇다면 멀리있는 준성과 우리사이에 그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친정부모)은 일종의 마비상태에서 탑승자들의 감시를 받고 있었고, 앤드리슨 부인은
이상
한 곳에 끌려가서 둥근 방과 원통형 방을 거치면서 불사조와 개구리형인간들의 형상을 보고 여러가지 황홀한 체험을 했다. 이 사건은 목격과 피랍이 동시에 이루어진 경우이며 피랍 사례중 매우 신뢰성이 있는 ... ...
별사진 가장 많이 찍은 이혁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직장에서 천문잡지나 망원경 관련 자료를 뒤적여도
이상
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 실제로도 상당부분 직업과 취미가 관련이 있다는 설명이다. '취미가 직업인 사람'이라는 주위의 부러움도 산다.직장일이 눈코뜰새 없이 바쁘긴 하지만 이혁기씨는 한단계 도약을 위해 ... ...
이전
1166
1167
1168
1169
1170
1171
1172
1173
1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