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중저가 UHD TV에 눈이 가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6.07.04
겁이 난다. 버스나 지하철에서는 어쩔 수 없이 스마트폰으로 봐야하지만, 집에서는
큰
화면으로 ‘또 오해영’을 보고 싶어진다. 게다가 고화질로! ● 가성비를 고려한다면 중소기업 제품도 무난 솔직히 내 방에도 LG전자, 삼성전자의 제품을 놓고 싶다. 그러나 쥐꼬리만한 월급으로 지를 수 ... ...
中,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지름 500m ‘톈옌’ 완공
2016.07.04
대부분 중국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했다. 중국 과학계 인사들은 톈옌이 중국 과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파망원경은 우주에서 오는 전파를 측정하는 장치로 천문학에서 중요한 발견을 이끌어 왔다. 우주론 및 우주 관련 분야에 수상된 노벨상 10개 중 6개가 전파망원경으로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실험결과 영양분이 부족하거나 중간일 때 식물은 위험을 선택했다. 즉 영양 편차가
큰
쪽의 뿌리가 더 무성했다. 반면 영양공급이 풍부할 때는 위험회피 전략을 써 영양 공급이 일정한 쪽의 뿌리가 더 무성했다. 연구자들은 뇌도 신경계도 없는 식물이 어떻게 이런 유연한 대처를 할 수 있는지 그 ... ...
[캐릭터 만드는 비법 ④] 방정식이 만드는 동작
수학동아
l
2016.07.04
있는 관절일수록 더 크게 영향을 받지요. 그래서 가까운 관절이 움직이는 정도에 더
큰
가중치(중요한 정도를 나타내는 값)를 곱합니다. 고려해야 하는 관절의 개수가 많을수록 피부의 변형을 계산하는 방정식이 더 복잡해지지요. 첫 번째 관절에서 d1만큼, 두 번째 관절에서 d2만큼 떨어진 피부 ... ...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
과학동아
l
2016.07.04
화학지각센터의 파멜라 달튼 박사는 2012년 발간한 ‘후각의 인지’에서 “후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경험과 기억”이라며 냄새와 함께 놓여지는 상황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문득 궁금해진다.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지 ... ...
경찰도 못 말린 베이스 점퍼, 교량에서 다이빙
2016.07.03
얼굴에는 환한 미소가 가득하다. 베이스 점퍼의 도전과 무모함 혹은 용기에 많은 이들이
큰
관심을 보인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 ...
‘에이즈 1위’ 국가가 벌이는 ‘에이즈와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6.07.03
된 것이다. UNAIDS 등에서 매년 들어오는 300만 달러(약 34억4400만 원)에 이르는 해외 원조도
큰
도움이 됐다. 덕분에 남아공은 세계에서 가장 에이즈 치료를 받기 쉬운 나라가 됐다. 이곳에서 치료약을 먹고 있는 사람은 340만 명으로 전 세계에서 에이즈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를 다 합친 것보다 많은 ... ...
도시를 들었다 놨다 하는 외계인의 ‘자가 중력’이라니…
2016.07.03
중력을 가진 두 천체가 만나면 두 힘의 상호작용에 의해 더 작은 중력을 가진 천체가 더
큰
중력을 가진 천체 주위를 공전하면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영화에서 외계 우주선은 이 같은 상호작용도 거슬러 이겨낸다. 이런 일이 현실에서도 가능할까. 인공 중력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 ...
수도권 방어 가능할까… 한반도 사드 배치에 대한 모든 것
2016.07.03
아무 문제가 없다”며 “전자파 우려는 기우”라고 말했다. 사드 배치의 가장
큰
걸림돌은 중국 등 우방국의 우려다. AN/TPY-2 레이더를 국내에서 전진배치 모드로 운영할 경우 중국과 러시아 상당 지역이 탐지범위에 들어간다. 자국 내부를 샅샅이 볼 수 있는 미사일을 미군기지에 설치한다는 ... ...
[미토콘드리아의 비밀]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
과학동아
l
2016.07.03
원핵세포보다 반지름이 50배 정도 크다. 문제는 원핵세포가 에너지를 만드는 방식이
큰
세포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원핵세포는 자신의 세포막 전위차를 이용해 ATP를 만든다. 미토콘드리아도 같은 방식이다. 미토콘드리아나 원핵세포처럼 지름이 작을 때는 막의 전위차를 유지하는 게 어렵지 ... ...
이전
1166
1167
1168
1169
1170
1171
1172
1173
1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