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개구리를 빨아먹는 킬러 애벌레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피해 도망칠 텐데…. 이스라엘 텔아비브대학
연구
팀이 다 소문 내는 바람에 걱정이에요.
연구
팀은 우리의 이 기막힌 행동에 대해 알아내고는 무려 382번이나 관찰 실험을 했어요. 그 결과 70%에 달하는 애벌레들이 더듬이와 턱을 움직이며 개구리와 두꺼비를 유혹한다는 사실을 알아 냈지요. 유혹에 ... ...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는 누구? 상어 VS 고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안녕하세요? 전 숨쉬는 상어 쥴리예요. 여기서 재미 있는 대결이 벌어진다고 해서 사회를 보러 왔어요.‘어린이과학동아’에서 한반도 바다의 지배 ... 있지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우리 바다의 주인인 고래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연구
하고 싶어요. 어과동 친구들도 많이 응원해 주세요 ... ...
휴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9호
이른 아침, 카드 한 장이 도착했어.‘어린이과학동아’의 동갑내기 친구를 찾아라!동갑내기라면 ‘어린이과학동아’가 2004년에 처음 나왔으니까…, 7살? 세상에 7살이 ... 움직일 수 있답니다. 이렇게 완성도를 높인 휴보2⁺는 올해 말까지 미국과 싱가포르 등 10개국에
연구
용으로 수출될 ... ...
전구회사 대표 '오디나 빈 나데'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9호
했던 1878년 미국으로 달려갔다. 발명가이자 사업가인 에디슨은 1878년부터 백열전구를
연구
하면서 770번이나 실패를 거듭했지만, 마침내 1879년 10월 21일에 백열전구 실험을 성공해 세상에 빛을 밝혔다.“오늘 실험엔 꼭 성공해야 하는데, 누가 전구에서 빛을 내는 필라멘트를 끊어 놨단 말이지. ... ...
공부도, 취미도 척척! 미래의 과학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9호
물리나 컴퓨터 같은 다른 분야에도 흥미가 생겼답니다. 앞으로 여러 과학을 합쳐서
연구
하는융합과학에 대해 좀 더 깊게 공부해 보고 싶어요.Q 마지막으로 ‘어린이과학동아’ 선배로서 후배 동생들에게 꼭 해 주고 싶은 말이 있나요?앞으로 자신이 무엇을 하고 어떤 분야로 나갈지에 대해 많이 ... ...
현장출동! 독도탐사대 강치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9호
일하고 있는 정재민 판사예요. 독도에 관한 국제법과 국내법을 자세히 알고
연구
하는 일을 하고 있지요.어떻게 독도법률자문관이라는 특별한 직업을 갖게 되셨는지 궁금합니다.법대에 입학해서 나라 간의 문제를 다루는 국제공법을 공부했어요. 그리고 국방부에서 일하면서 독도에 대해 관심이 ... ...
고생대에 땅굴 건축가 동물이 살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9호
중부 아르가나 분지에서 발견됐어요. 제 집을 발견한 독일 프라이베르크공대 지질학
연구
소의 과학자들은 저를 몸통 길이 20~25㎝ 정도의 몸집이 땅딸막하고, 목과 꼬리가 짧은 네 발 동물이라고 추정했지요. 땅굴의 형태와 규모를 보고 추측한 거예요.이번엔 네가 지은 집 얘기를 해 보자. 도대체 어떤 ... ...
눈은 번쩍! 얼굴은 반짝! 과학으로 쓰는 안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8호
어떤 감정인지 분석해 낸다. 현재 이 프로젝트는 실험 단계로, 정확도는 64% 정도다.
연구
팀은 앞으로 안경을 끼면 상대방이 무엇을 생각하는지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안경 렌즈에 정보가 표시되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기적의 안경심봉사도 눈이 번쩍?!맹인에게 앞을 볼 수 있게 해 주는 안경이 ... ...
프랑스 여행 전문가 '어델 또가숑'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8호
프랑스 여행 전문가인 ‘어델 또가숑’은 아침부터 분주하게 움직였다. 왜냐 하면 오늘은 그 동안 해 보지 못했던 특별한 여행을 하기 때문이다.“정말 열기구만 타고 프랑스 모든 지방을 다닌다고요? 그것도 20명이 한꺼번에?”그랬다. 프랑스를 수백 번 여행해서 시골 골목까지 모두 알고 있는 ... ...
고대에 나무가 강을 만들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8호
나무 둥치들의 흔적을 보고 나무들이 강둑을 따라 자란 것을 알 수 있었지요.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깊은 뿌리를 가진 나무들이 땅을 안정시킨 덕분에 강둑이 만들어지고, 강둑을 따라 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면서 강이 생겨났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어요. 강이 생겨나면서 땅에 물 ... ...
이전
1167
1168
1169
1170
1171
1172
1173
1174
1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