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1. 세계는 왜 중국을 두려워하는가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넘는다. 현재 중국과학원에서 일하는 사람은 8만5천여명, 이중 고급과학자는 1만5천여명
정도
이고, 원사는 5백명에 이른다.또 중국과학원과 비슷한 중국공정원(Chinese Academy of Engineering)도 설립돼 공업분야의 대가들에게도 원사라는 칭호를 부여하고 있다.중국과학기술위원회1958년에 설립된 ... ...
2. 모자형 재킷형 손목시계형 PC 속속 등장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펼친다. 전문가들이 관측하는 2020년의 CPU는 칩당 1백억개의 트랜지스터를 넣을 수 있을
정도
로 발전한다. 이때 선폭은 0.03미크론. 이같은 반도체가 등장하면 지금은 상상만으로 가능한 온갖 형태의 전자제품이 컴퓨터화할 수 있다.반도체와 함께 21세기형 컴퓨터개발에 필요한 기술은 전지(배터리 ... ...
1. 컴퓨터로 즐기는 소리탐험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노래소리에 맞춰 화면이 파도와 같이 출렁거린다. 소리의 강약에 따라 그 출렁거림의
정도
도 달라진다. 때로 이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궁금하게 생각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것은 파형이라고 하는데 소리가 전해질 때 공기가 떨리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물에 돌을 던지면 물의 출렁거림이 돌이 ... ...
뇌가 알칼리성일수록 IQ 높다?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IQ와도 연관되지 않을까 예측하는 학자도 있다.하지만 이 연구결과는 두가지 요소가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다는 점을 밝힌 것일 뿐이다. 즉 뇌세포의 산성도가 IQ의 높고 낮음에 작용하는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증거는 제시되지 못했다 ... ...
단풍에도 계급이 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시작으로 11월 상순 한라산까지 단풍놀이는 한달
정도
계속된다. 그러나 단풍은 보름
정도
의 짧은 시간동안만 지속되는, 나무의 겨울채비를 위한 전주곡에 불과하다. 단풍이 들기 시작하면 나무들은 낙엽을 준비한다. 여러 가지 물질들은 나무 밑둥이나 뿌리로 내려가 저장되거나 조직의 한부분이 ... ...
애즈택 여왕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낳느냐를 알기 위해 여왕개미들이 먹는 음식에 각기 다른 색소를 섞었다.결과는 신기할
정도
로 아름다웠다. 다른 색의 음식을 먹은 여왕들이 모두 다른 색의 알을 낳은 것이다. 여왕개미들이 모두 협동해 알을 기른다는 명확한 증거였다. 실험실에서 마무리 일단 야외에서 대략적인 생활사가 ... ...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가능한 것도 있다표시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표시화면을 가로·세로로 나누고 1000~수천
정도
의 점의 집합으로 파악하여 가로·세로의 좌표를 지정한다화학물질(홑소물질 또는 화합물)의 분자량의 질량을 그램단위로 표시한 수값이 그 화학질량의 분자량과 같은 양 1그램분자는 1몰에 해당한다각 ... ...
3. 중국대학 4인방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북경대학 Peking university - 중국의 자존심●대학생 8천7백명●대학원생 3천6백명●외국인 학생 7백50명●교수 3백80명●조교수 1천6백명●중국과학원원사 29명●중국공정원원 ... 한국 유학생처럼 대부분 언어연수를 위한 것이고, 본격적으로 대학원 과정에 있는 학생은 손으로 꼽을
정도
다 ... ...
피라미드는 거대한 수학공식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아니다. 약간의 모양 차이가 있지만 사각뿔의 형태를 갖춘 유적들이 전세계적으로 80개
정도
가 발견됐다. 왕의 방에 담긴 수수께끼-북극성 관측 위해 오차까지 고려이제 내부로 들어가보자. 사람들의 관심을 가장 많이 끈 장소는 일명 '왕의 방' 이다. 밑면에서 3분의 1 떨어진 곳에 위치해 면도날을 ... ...
소행성들, 가니메데 무차별 폭격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가니메데는 태양계 위성 중 가장 크다. 화성 지름의 4분의 3에 해당하며 수성을 능가할
정도
다. 사진에는 소행성과 혜성의 무차별 폭격으로 곰보딱지가 된 표면과 우글쭈글한 습곡들이 생생하게 나타나 있었다. 가니메데의 표면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거친 모습이었다.갈릴레오가 보여준 사진은 ... ...
이전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