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유전자의 기능과 이용 유전공학의 시대가 열려과학동아 l1986년 12호
- 많이 생길 수 있다. 그러면 DNA분자상의 '코돈'은 어떤 정보를 갖고 있는가? 각'코돈'은 바로 아미노산의 종류를 정하고 그 순서를 결정해 주는것이다.아미노산은 유전자의 최종산물인 단백질의 구성성분이다. 단백질에서 발견되는 아미노산의 종류는 20가지 뿐으로 아미노산들의 종류는 20가지 뿐으로 ... ...
- 한국고분자학회회장 김점식 박사과학동아 l1986년 11호
- 고분자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지고 있읍니다. 예를 들면 생명체의 정밀한 메카니즘은 바로 고분자인 생체조직의 기능입니다. 생물의 세포는 합성, 촉매작용, 에너지 변환, 선택, 분리, 수송, 저장, 감지, 기억, 정보전달 등 실로 다종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지요. 이런 생체의 기능이 기능성 고분자의 ... ...
- PART2 사무자동화(OA) 서류없는 시대가 온다과학동아 l1986년 11호
- 키보드 한번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 검색시스템. 이것은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바로 눈앞에 닥친 우리 사무실의 모습이다.정부기관에서 경제기획을 담당하고 있는 p씨는 사무실의 책상위에 설치된 컴퓨터 터미날을 사용하여 세계 여러나라에 관한 경제정보, 경제개발계획에 관한 정보 및 금융 ... ...
- 역무자동화(AFC) 시스템 자동화 시대의 디딤돌과학동아 l1986년 11호
- 이것이 좀더 발전하면 우리가 백화점이나 수퍼마켓에서 물건을 살 때도 현금없이 바로 하나의 카드로 해결할 수 있는 ‘유니카드시스템’이 실현되는 것이다.국산화는 시급한 과제AFC의 자동판매기가 일반자동판매기와 다른 점은 동전의 구분을 여러가지 요소를 종합해 판단한다는 것. 동전의 크기 ... ...
- 물질의 근본을 밝힌다 입자 가속기과학동아 l1986년 11호
- 출발 하였다면, 이 입자는 qV 전자볼트(eV)의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얻게 된다. 이것이 바로 직류가속기의 원리이다. 직류 가속기에서는 양극에 양전하를 갖는 입자, 즉 양이온을 만들어내는 이온원을 장치하고 음극에 실험용 표적을 설치한 다음 이 사이에 내부가 진공상태인 가속관을 설치하여 ... ...
- '나의 목표는 과학과 정치의 접목'과학동아 l1986년 11호
- 물론 이 16점은 반의 평균점수 15점보다는 높았지만. 사생 결단으로 공부한것은 바로 이 첫 시험성적이 나에게 큰 자극제가 됐기 때문입니다. 머리도 아예 짧게 깎고 달려들었읍니다. 그러다보니 어느날 시력이 나빠졌음을 느꼈고 그래서 도미1년만에 안경을 끼게 됐지요. 밤을 새우기가 일쑤여서 ... ...
- 동의보감 편찬한 의성(醫聖) 허준(許浚)과학동아 l1986년 11호
- 질병의 위치에 따라 즉각 참고문헌을 찾아 치료에 임할수 있어야 한다. ‘동의보감’은 바로 이런 경우에 아주 쉽게 처방을 찾을 수 있게 요령있게 정리된 책이다. 탕액편에 나오는 약품 이름에 일일이 한글로 우리 이름(俗名)을 기입했으며 많은 국산 약재가 소개되어 있다. 예로부터 전해지는 ... ...
- 수달의 생생한 모습 포착과학동아 l1986년 11호
- 목격됐는데, 이때 수달은 비교적 큰 물고기(붕어로 보임)를 입에 물고 있었다. 물가의 바로 위로 올라온 수달이 물고기를 씹어먹는 장면은 완전한 한마리의 맹수였다. 튼튼한 이빨로 물고기 한마리를 해치우는데 소요된 시간은 불과 30여초 남짓한 짧은 순간이었다.수달은 식육목 족제비과에 속하는 ... ...
- PART1 공장자동화(FA) 공학의 종합예술과학동아 l1986년 11호
- 사람의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는 곳은 기계 조작에서 사람을 해방시키는 것이고 그것이 바로 자동화이다. 공장자동화의 모델은 인간 많은 과학적 발명품들은 자연현상을 응용하여 이루어졌다. 잠수함, 레이다 등이 물고기와 박쥐에서 힌트를 얻어 발명됐다고 한다. 공장자동화란 주제의 모범은 ... ...
- 조기교육, 이래서 중요 3~11살 사이에 두뇌발육 절정과학동아 l1986년 11호
- 아주 정상적으로 자라난 어린이가 사춘기에 정신분열을 일으키는 경우도 적잖은데 이는 바로 예측할 수 없는 이런 ‘과도 또는 과소’도태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이 현상을 시정할 방법을 우리는 아직 알지 못한다 ... ...
이전117511761177117811791180118111821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