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높이
키
해발
표고
동일 수준
godot
d라이브러리
"
고도
"(으)로 총 2,133건 검색되었습니다.
발빠른 수성 5월 22일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5월 10일 경부터 5월 말 정도까지 볼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 기간 중 수성은 일몰시
고도
가 16°를 넘는다. 하루하루 수성의 위치를 그려보며 궤적을 밟아보는 것도 흥미있는 관측이 될 것이다.극대기 막바지인 태양을 보자태양의 흑점은 11년의 주기를 가지고 변화한다. 지난 1989년 태양은 활동 ... ...
무인자동화 현장의 두뇌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있는 반도체 제조공장에서 중요한 것이 바로 무인자동화다. 높은 수준의 청정환경에서
고도
로 정확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컴퓨터와 로봇의 제어기술이 발전하면서 개별 장비의 무인자동화는 이미 높은 수준까지 발전해 장시간 무인운전이 가능해졌다.그런데 최근 반도체 생산 효율을 ... ...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예정인 ‘유로파 궤도선’이 2010년 목성에 도착한 후 유로파의 궤도에 진입한다. 2백km
고도
를 도는 유로파 궤도선은 레이더를 사용해 유로파의 얼음표면을 연구하고 두께를 측정하며, 얼음 아래에 액체상태의 물이 존재하는지를 살핀다. 여러 가지 상황이 유리하게 전개된다면 인류역사상 처음으로 ... ...
동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되고 있다.동맹 맺어 거사 도모동물 세계를 관찰할 때 또한번 감탄하는 것은 인간처럼
고도
의 정치적인 관계를 유지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때다. 인간만이 사회를 이루고 살아가는 것은 아니다.동물들도 그들만의 방식과 원칙으로 복잡한 사회관계를 이루며 살아간다. 그런데 사회생활을 원활히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수준이다.사실 예산이 대폭 늘어난다고 유전체 연구가 저절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고도
로 복잡한 게놈의 구조를 밝혀 내고 의미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연구자를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인간 유전체 관련 인력은 1백30명 내외로 미국의 5%, 일본의 10% ... ...
돈 흐름에 감춰진 물리법칙 금융수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엄청난 손해를 입고 법정까지 간 것은 이를 입증해준다. 금융산업이 선진국에서는
고도
의 수학과 컴퓨터 기술을 가지고 첨단과학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산업인데, 아직 우리는 과거의 구습에 매여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금융수학은 확률론, 편미분방정식과 수치해석, 통계학, ... ...
최초 소행성 착륙 성공 그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때 형성된 듯한 지형이 눈에 띈다. 놀랍게도 함몰지형의 크기는 손바닥 정도다. 그리고
고도
1백20m 영상에서는 오른쪽 위부분과 왼쪽 아래부분의 지형을 비교해보면 둘 사이에 확연한 경계가 나타난다.한편 니어-슈메이커 탐사선에는 표면물질의 구성원소를 파악할 수 있는 X선 분광계가 실려있다. ... ...
적도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크지 않다. 한달 뒤 정오 해의
고도
는 더 높아야 하므로 문제(2)의 정답은 B다. 정오 해의
고도
는 계속 높아져 추분이 되면 천정(머리 위)으로 오게 된다.그리고 해가 수직으로 뜨기 때문에 문제(3)의 정답은 B다. 구체적인 예로, 적도 지방에서 촬영된 동물 다큐멘터리 영화에 잡힌 해넘이 광경을 ... ...
불에 그을린 명화 NASA 기술로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안정적인 상태이기 때문에 대기 중의 산소는 항상 분자 상태로 존재한다. 그러나 높은
고도
에서는 자외선에 의해 산소 분자가 원자 상태의 산소로 분해된다. 안정된 분자 상태에서 불안정한 원자 상태로 변한 산소는 다른 물질과 만나 반응하기 위해 대기권을 부지런히 돌아다닌다. 그러다가 ... ...
여행달력겸용 해시계 만들기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지구는 23.5˚로 기울어져 공전한다. 따라서 일년을 주기로 해의
고도
는 달라진다. 해의
고도
가 가장 높을 때는 하지이며 가장 낮을 때는 동지이다. 따라서 동지 때그림자의 길이가 가장 길어진다. 이 해시계의 가로선을 살펴보면 중앙은 3월22일(춘분)과 9월22일(추분)에 맞춰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