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있다. 아직은 발생되는 전자빔 에너지를 더 높이고 빔의 질을 더 높여야 하는 숙제들이
남아
있으나 테이블탑 크기의 소형 차세대가속기가 기초과학이나 응용과학, 산업에까지 활용될 날이 머지않아 보인다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보내 온 편지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플라스미드 백신의 원리플라스미드 백신의 원리 플라스미드에 에볼라 유전자를 넣어 에볼라 항체 생산을 유도한다. 에볼라의 RNA를 ... ...
나의 에디슨은 그렇지 않아!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했다는 이야기 자체가 실화가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 기계를 만들었다는 증거도
남아
있지 않습니다. 에디슨이 그런 이야기를 한 것은 맞습니다. 정확히는 ‘죽은 사람과도 대화할 수 있는 전화기’를 만든다는 거였지요. 에디슨은 1920년 버티 포브스(미국의 경제지인 포브스의 창간인)에게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수학자가 다시 검증할 수 없다는 이유로 수학자들 사이에서는 계속 ‘4색 문제’로
남아
있다.400년 만에 증명(?)한, 케플러의 추측17세기 초 영국의 수학자 토마스 해리엇은 독일의 유명한 수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와 함께 일정한 공간에 대포알을 가장 많이 쌓을 수 있는 방법을 의논했다. 두 ... ...
[생활]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similis의 첫 자인 S를 변형해 닮음 기호를 만든 것으로 알려졌는데, 그의 원고가 현재
남아
있지 않아 정확히 를 썼는지, ∼를 썼는지는 확실치 않다.궁정 주치의가 만든 등호 =둘 이상의 수나 식이 서로 같다는 것을 나타낼 때는 등호 ‘=’를 사용한다. 등호의 원조는 영국의 수학자이자 의사인 ... ...
우주 로또? 우주 타임캡슐! 운석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발견된 그 운석이 9일에 떨어진 별똥별인 거야?”“벌써 4개나 찾았는데 운석이 아직
남아
있을까?”그렇죠! 운석을 찾으러 가기 전에 운석이 만들어진 과정을 먼저 알아봐야겠어요.별똥별이 지구 표면에 떨어지면 ‘운석’별똥별은 유성이라고도 불러요. 유성은 우주상에 있는 혜성이나 소행성에서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말의 대멸종을 겪으며 많은 종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종은 살아
남아
전세계의 바다를 누볐다. 고생대가 끝날 때까지.만약 눈이 아니었다면…현재까지의 화석 연구 결과로는 눈을 가진 최초의 동물은 단연 삼엽충이다. 하지만 삼엽충 이전에 원시적인 눈이 또 있었을 가능성도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받은 건 결코 우연이 아니다. 물론 진짜 컴퓨터를 만들기까지는 아직 해야 할 일이
남아
있는 것도 사실이다. 거대한 레이저 장비를 작게 만드는 게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것은 부차적인 문제이며, 기술 도약으로 해결할 여지가 충분히 있다. “이온트랩 방식은 성능 면에서 현재 최고입니다. ... ...
이제는 이소연을 보내줄 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우주비행사는 영원한 직업이 될 수 없다. 우주비행은 짧고 그녀에겐 아직 긴 인생이
남아
있다.국제 우주정거장은 여전히 90분마다 한 번 지구를 돌고 있으며 중국은 독자적으로 우주정거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한국의 유인우주 연구는 비교하기조차 부끄러운 수준이다. 지금은 한국 최초 우주인인 ... ...
벌집 아이스크림엔 진짜 벌집이 들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얼리면 결정 알갱이가 커지기 때문이다. 빠르게 얼리는 데 성공해도 어려운 단계가
남아
있다. 순수한 물로 만든 얼음은 곱게 갈기엔 너무 단단하다. 집에서 쓰는 간이 빙수 기계로는 턱도 없다. 와드득 씹히는 얼음 가루를 만드는 것이 한계다. 설령 곱게 갈았다고 하더라도 입안에서 ‘사르르’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