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점"(으)로 총 8,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韓 토종 박사의 美 퀄컴 입사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지금도 기억이 생생하다. 올해 2월 말, 전 세계 모바일 통신 칩 기술을 선도하는 퀄컴(Qualcomm)에서 같이 일해보자는 얘기를 들었던 그때가 말이다. 처음 반도체 회로 설계 연구를 시작할 때 막연히 IBM, 인텔, 퀄컴 같은 세계적인 기업에서 일하고 싶다고 생각했었는데, 그 꿈이 현실이 되다니. 지금도 ...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해외 연구자들이 자국의 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를 발표하는 걸 볼 때 부러웠죠.”10년 전, 해외 천문학자들이 수천만 광년 떨어진 천체를 자국의 전파관측망으로 연구하고 그 결과를 발표할 때 우리나라 천문학자들은 그 모습을 하염없이 바라보기만 했다. 그러던 2009년, 한국에도 처음으로 초 ... ...
- 지능×성적 전교 1등은 지능이 높을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9월 7일 서울 용산구 청파로 동아사이언스 본사. 정우성 씨(고려대 생물학과 4학년)와 문소원 씨(연세대 행정학과 3학년)의 얼굴에는 살짝 긴장감이 흘렀다. 정 씨와 문 씨는 중·고등학교 시절 소위 ‘전교 1등’으로 불리던 수재들이다. 학창시절 정 씨는 ‘이과 1등’, 문 씨는 ‘문과 1등’이었다. ... ...
- 성균관대-KAIST-고려대 국내 첫 AI대학원 수업 들어보니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일부 요소를 바꾸는 것은 인공지능(AI)이 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머리카락 색깔을 다른 색으로 염색해줘’와 같은 명령은 AI가 쉽게 수행하죠. 하지만 ‘사람 얼굴을 고양이로 바꿔줘’와 같은 명령은 아직 잘 수행하지 못합니다. 즉, 하나의 개체를 아예 성격이 다른 개체로 바꾸는 건 잘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왜 나만 고양이 없어? 고양이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나만 고양이 없어!” 어과동의 후기를 보던 섭섭박사님이 갑자기 울음을 터뜨렸어요. 이다솔 기자가 허구한 날 고양이 ‘사하라’ 자랑을 하더니 급기야는 박영경 기자마저 고양이를 새로 입양했단 사실을 알았기 때문이지요. 두 집사가 부러웠던 섭섭박사님은 마침내 결심을 하고 말았답니다. ... ...
- 흔하지만 소중한 땅속의 보물 반도체의 아이콘, 규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주기율표에서 탄소 바로 아래 위치한 규소. 때문에 규소를 탄소의 아류 원소 정도로 생각하는 독자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규소는 탄소가 갖지 못한 중요한 특성이 하나 있다. 바로 반도체의 성질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덕분에 규소는 현대 전자공학을 발전시킨 핵심 원소가 됐다. 정보기술(IT ... ...
- 이탈리아 최초, 유럽 여성 우주인 최장 기록 세운 사만다 크리스토포레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이탈리아라고 하면 국토가 남북으로 길게 이어져 있고, 한국과 유사하게 사계절이 있으며, 음식이 맛있는 나라라고만 알고 있었다. 영화에서 이탈리아 사람들이 나오면 한국 사람들과 기질이 꽤 비슷한 것 같다고 느끼면서도, 영화 밖에서 이탈리아는 여전히 낯선 유럽 나라 중 하나였다. 그런데 ... ...
- [화보] 한글이 그들의 눈이 되었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한국에서 비행기를 두 번 갈아타고, 이름부터 낯선 인도네시아 부톤섬 바우바우시에 도착하면 의외로 익숙한 풍경이 펼쳐진다. 분명 한국과는 전혀 다른 이국적인 마을인데, 곳곳에서 한글 간판을 만날 수 있다. 이곳에 사는 찌아찌아족은 2009년 훈민정음학회와 한글사용 양해각서를 체결한 이후 10 ... ...
- 법률 자문 놓고 첫 대결 AI 변호사 vs. 인간 변호사 진검승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이번에 우승한 팀은 코드 번호 108번, 2등은 109번, 3등은 106번입니다. 어느 팀이시죠?”호명된 팀이 차례로 손을 들었다. 순간 장내가 술렁거렸다. 이들은 모두 인공지능(AI)과 팀을 이룬 참가자들이었다.“3등을 차지한 코드 번호 106번은 사실 변호사가 아니라 법률 지식이 없는 일반인입니다.”이 ... ...
- 지능×IQ 지능은 어떻게 측정할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20세기 최고의 천재로 불리는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항간에는 그의 지능지수(IQ)가 200을 넘는다는 얘기가 있다. 아인슈타인이 IQ 검사를 받았다는 기록은 어디에도 남아 있지 않지만 말이다.아인슈타인은 전기회사를 설립한 아버지를 통해 어려서부터 수학과 과학을 접했고 관심도 많았다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