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경우
타임
시각
더러움
얼룩
오물
d라이브러리
"
때
"(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으로 과학 한 판!] 공룡 화석 발굴 게임을 해봤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반사, 회절해 돌아오는 전자기파를 수신할 수 있죠. 그럴듯한 신호를 발견했다면 그
때
부터 삽질을 시작합니다. 삽과 곡괭이로 땅을 파헤치며 땀 좀 흘리다 보면 중생대 시기의 암반을 찾을 수 있을 거예요(색이 살짝 다릅니다). 불필요한 바위를 깨어 내면 금방 공룡 화석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정교한 ‘체외배양(in vitro)’ 모델을 꾸준히 제안해왔습니다. 특정 환경이 주어졌을
때
여러 형태의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줄기세포(stem cell)’ 연구는 체외배양 모델의 핵심입니다. 정자와 난자의 융합으로 만들어진 수정란은 세포분열 후 상실배가 되며, 이것은 태아와 태반 모두를 ... ...
[SF소설] 망자를 위한 땅은 없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엔트로피가 0에 수렴할 경우에 우주 전체가 다시 쪼그라질 수도 있다고 했다. 그
때
가 되면 토지를 가진 사람은 억울해 죽을 지경일 것이다. 내 토지와 다른 사람의 토지가 한데 붙어버리니 말이다.‘소송이 이어지겠지.’그러나 그리 생각하면 어디에든 투자를 할 수가 없었다. 어딘가에서는 돈을 ... ...
[특집] 도시를 움직일 전기 어떻게 생산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암모니아로 전환시켜 활용할 예정입니다. 이는 수소보다 암모니아의 보관과 운반이 쉽기
때
문입니다. 수소는 영하 252.9℃에서 액화하지만, 암모니아는 영하 33℃에서 액화합니다. 같은 조건에서 액화 암모니아가 순수한 액화 수소보다 1.5배 이상 수소를 더 많이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암모니아는 ... ...
[기획] 알고 보면 우리는 모두 요리사? 분자요리 연구소 서정원 셰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검색하면 각 성분이 무엇인지 쉽게 알 수 있어요. 이런 습관을 들이면, 나중에 요리할
때
표현하고 싶은 맛이나 향, 색깔을 쉽게 연출할 수 있을 거예요 ... ...
[특집] 내가 기억하는 이탕장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수학이 아니면 무엇을 해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언젠가 내가 정말 수학을 그만둔다면 그
때
내 인생에서 무엇을 해야 할지 진정으로 모른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뇌에 컴퓨터 칩을 심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기술이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우리가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지 알 수 있기
때
문이지요. ●필자소개 김지훈(부산 창진초 교사)안전하고 신나는 디지털 세상을 꿈꾸는 초등학교 선생님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는 무엇인지 고민하며 학습자료를 ... ...
[DATA MATH] DART 팀 구성원과 수학자의 역할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DART 팀에는 NASA, 미국 응용물리연구소를 비롯해 심지어 케냐기술대학교의 전문가까지 모여 있습니다. 수백 명의 전문가가 참여한 만큼 ... 응용수학은 굉장히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고 저는 새로운 것들을 굉장히 좋아하기
때
문에 이 연구 이외에도 계속 새로운 연구를 진행할 거예요 ... ...
[인터뷰] “냉소적인 세계관을 만들고 싶어 숫자를 활용했어요”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해 어렵기도 해요. 이번 작품은 명확히 SF 장르는 아니라서 당선 소식을 들었을
때
조금 얼떨떨했어요. 하지만 좋은 평가를 받은 이유도 이런 장르적 특성이 있어서겠죠? Q ─ 앞으로 어떤 작품을 만들고 싶나요? , 등을 집필한 주제 사라마구 작가님의 소설처럼 하나의 ... ...
[수학뉴스] 인공지능도 잠이 필요하다!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잘 기억했습니다. 인공지능이 B 분야를 학습하면서 까먹었던 A 분야 내용을 수면 상태일
때
복원한 덕분이었어요. 의도하진 않았지만 인공지능이 수면 상태에서 무작위로 여러 신호를 주고받으며 A 분야를 다시 스스로 학습했던 거예요. 인공지능 신경망을 연구하는 김재욱 KIST 인공뇌융합연구단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