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장
발전
발육
진보
진화
향상
생장
d라이브러리
"
발달
"(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영웅과 ‘미래 예고장’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지니 그레이엄 스콧은 미래 사회에서는 기발한 아이디어를 실현시키는 방향으로 과학이
발달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호기심을 갖고 상상하는 자만이 미래를 즐길 수 있다”는 생각에 ‘재미있고 똑똑한 세상을 만드는 미래 아이디어 80’ 이라는 책을 냈다.아주 오래 전 SF영화나 소설에 ... ...
퍼펙트 센스 - 모든 감각을 잃은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끝난다.하지만 조금만 엉뚱한 상상을 해보자. 인간은 ‘개나 파충류’보다 후각이
발달
하지 않았고 ‘박쥐나 돌고래 같은’ 초음파를 감지할 능력이 없다. 하지만 컴퓨터와 같은 복잡한 도구를 사용하고 뛰어난 지능으로 지구를 지배하고 있다. 그렇다면 감각을 잃어버리더라도 인류는 여전히 ... ...
IT기술을 즐기며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가장 높았던 우리나라의 교통사고율이 최근 낮아졌다. 주된 이유는 카메라와 IT 기술의
발달
로 과속 단속 카메라가 많이 설치됐기 때문이다. 운전자는 어쩔 수없이 속도를 줄여야 했다. 블랙박스는 사고 처리 비용을 줄여준다. 예전에는 증거가 부족해서 교통사고가 나면 서로 싸우기 일쑤였다. ... ...
쭈잇, 쭈잇, 찌이~♪ 새소리를 따라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생태 등을 연구하기 위해 새의 다리에 가락지를 끼운다. 인공위성 추적장치 등
발달
된 방법도 있지만, 가볍고 저렴한 가락지를 다는 방법이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수컷이 노래하는 이유는?아까 박사님께서 새의 울음소리를 녹음해 틀면 같은 종의 새들이 모여든다고 하셨잖아요. 그게 ... ...
로마 콜로세움엔 왜 아치문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않다. 힘의 균형이 잘 맞아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대 로마에서는아치 기술이 매우
발달
해 수로, 다리, 돔 구조 지붕 등 광범위한 건축 영역에 아치가 널리 쓰였다.로마인들은 아치형 문을 제외하고도 아치를 길게 연달아 설치한 구조도 사용했다. 간단히 말하면 터널 같은 구조인데, 아치 ... ...
10만 년 된 남아공의 고대화장품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시대에 이미 높은 신분이나 아름다움을 드러내기 위해 외모를 가꿀 정도로 인지능력이
발달
했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전복껍데기 옆에 있던 숫돌과 규암판 등으로 재료를 갈았으며, 온전한 뼈는 재료를 섞거나 꺼내 쓸 때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이번에 발견된 ... ...
一石二鳥(일석이조)란 이런 것!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정보의 양이 늘어나고 인터넷과 같은 일반인 참여 수단이
발달
하면서 시민 과학의 중요성은 더 커질 전망이다. 전문지식이 없어도 학술지에 논문을 실을 수 있다는 꿈을 꿔 보자. 짬짬이 시간을 내서 게임도 하고 연구에도 보탬이 된다면 꿩 먹고 알 먹고 아닌가 ... ...
[과학뉴스] 결핵균 숨겨 주는 투명망토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숙주로 삼는 데 알맞게 진화했기 때문에 결핵을 고치기 힘들었다”며 “생명공학 기술의
발달
로 결핵균의 병리현상을 이해하면 앞으로 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작년 국제보건기구(WHO)의 조사결과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1이 결핵균에 감염된 것으로 ... ...
1악장 - 바흐 이전의 침묵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서로 다른 음으로 연주하는 경우도 꽤 많았지요. 더구나 악보를 적는 방법(기보법)도
발달
해 있지 않아 혼동이 컸어요.예를 들어 ‘라’ 음(피아노 건반에서 네 번째 옥타브, 그러니까 높은음자리표의 라 음이에요)은 오늘날 서양 음악에 많이 쓰이는 ‘ 평균율 ’ 음계 기준으로 ‘주파수가 440Hz ... ...
낙엽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위해 물에 녹아 있는 이온이나 당의 농도를 높여 어는점 내림을 일으키고 큐티클층을
발달
시켜 잎의 조직을 보호한다”고 설명했다.물론 상록수라고 해서 한번 난 잎이 나무가 죽을 때까지 붙어 있는 건 아니다. 다만 잎의 일부만 떨어지기 때문에 눈치채지 못할 뿐이다. 한편 낙엽수는 말 그대로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