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래"(으)로 총 3,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원자로는 처음부터 끝까지 로봇이 해체한다(로봇이라고 무적은 아니라서 방사선에 오래 노출되면 망가진다). 원자로 주변에 원격으로 작동하는 크레인과 로봇팔, 톱날, 띠톱 등을 설치해놓고 사람은 모두 철수한다. 그런 다음 조종실에서 로봇을 움직여 원자로를 하나하나 절단한다. 잘라낸 조각은 ... ...
- [과학뉴스] 에볼라 임상실험 서두른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사용 집단의 감염률이 떨어지면 백신 사용을 점차 늘린다. 이중맹검법에 비해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윤리적으로는 더 좋다. 기니는 천연두를 박멸하는 데 사용됐던 ‘고리형 접종’을 시행한다. 고리형 접종은 환자와 접촉이 많은 주변 사람들(고리)부터 백신 효과를 검증한다. 에볼라와 싸우는 ... ...
- [Knowledge] 그 많던 플라스틱은 누가 다 먹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그리 큰 문제가 아닙니다. 작은 유기체들이 마이크로플라스틱을 먹을 경우 내장에 그리 오래 남아있지 않습니다. 요각류에서는 수 시간 뒤면 배설되고, 홍합에서도 며칠 머무르다가 나옵니다.그럼 진짜 문제는 뭔가요?독성입니다. 플라스틱 제품에 코팅된 화학첨가물이 물에 녹아나오는 것도 ... ...
- [Life & Tech]음주단속 걸렸다면 채혈, 호흡 뭐가 유리할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연구관은 채혈 측정이 호흡 측정보다 높게 나온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억울한 일을 더 오래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걸까. 호흡 측정기가 날숨 속 알코올 농도에서 혈중 알코올 농도를 추정하기 때문이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2100배 법칙’이다. 210 ... ...
- [과학뉴스] “내가 평범한 개로 보이니?”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뚫을 무기는 언제나 새로 개발되는 것처럼. 다만 시간이 관건이다. 영원한 비밀은 없지만 오래 버티는 비밀은 가능하다. 전쟁터에서 적지를 공격하기 위해 보내는 암호는 공격이 이뤄지기 전까지만 풀리지 않으면 된다. 결국 암호는 풀리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필요할 때까지 버틸 수 있느냐란 ... ...
- [과학뉴스] 오래전 실종된 화성 탐사선이 발견됐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영국우주국(UK Space Agency)은 지난 2003년 크리스마스 날 화성에 착륙할 예정이었다가 교신이 끊긴 화성탐사선 ‘비글 2호’를 최근 화성 정찰용 인공위성이 발견했다고 밝혔다. ...
- [Life & Tech] 사랑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뇌를 찍었습니다. 놀랍게도 이들의 뇌는 연애 초기의 커플과 완전히 똑같았습니다. 오래된 연인도 사랑하는 사람을 떠올리자 VTA와 미상핵이 활성화된 것입니다. 낭만적인 사랑을 오랫동안 유지하려면 연애 초기처럼 두 부위를 자극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이야기입니다.뇌에서 두 부위를 자극하는 ... ...
- Part 1 전통의 빅데이터, 족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지 2000년이 넘으면서 결혼을 통해 성씨가 전국으로 퍼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들어진 지 오래되지 않은 성씨는 전국으로 퍼질 시간이 부족해 본관이 생긴 지역에만 몰려 사는 것이다. 체코의 경우 성씨라는 개념이 생긴 지 얼마 되지 않아 비에르고딕형만 나타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Knowledge] 우주 면역력, 비타민이 필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효율적으로 막아주긴 하지만, 활성산소 발생에 따른 노화까지는 막기 힘들다.우주에서는 오래 머물 수 없다? 아니다. 러시아 우주인 발레리 폴랴코프는 1995년 우주정거장 미르(Mir)에서 438일 동안 연속 체류하는 기록을 세웠다. 여성 우주인 중에는 195일 동안 국제우주정거장에 머물렀던 수니 ... ...
- Part 5. 우롱이와 함께 만든 생태일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가시박 등 외래종 식물이 마구 늘어나고 있대요. 이런 외래종 식물보다 우리나라에서 오래 살아온 ‘자생종’ 식물을 많이 심는 건 어떨까요? 자생종은 특히 꿀벌에게 큰 도움이 돼요. 꿀벌은 꽃의 꽃가루를 옮겨서 씨앗과 열매를 맺게 하는 아주 중요한 곤충이에요.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꿀벌 수가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