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방향전환, 라이프자켓 투하 등 임무수행에 필요한 명령만 내리면 된다. 비행경로에
위성
위치확인시스템(GPS) 정보를 미리 입력하면 원하는 장소까지 자동으로 날아가며, 빌딩 같은 장애물을 자동으로 피해서 움직인다. 중간에 통신이 끊어지면 일단 공중에 멈춰 다음 명령을 기다리는 기능도 갖고 ... ...
여름바다의 낭만 등대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선박의 입출입을 관리하는 바다 위의 관제탑인 ‘선박통항신호소’가 설치돼 있다. 인공
위성
이나 CCTV, 레이더 등을 통해 선박의 위치를 파악하고, 인터넷과 컴퓨터 운영정보시스템을 이용해 항로표지를 적절히 운영하며 선박의 운영도 돕는 시스템이다. 다양한 항로표지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 ...
타이탄의 호수 얕아졌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이카루스’에 논문으로 제출됐다.타이탄은 태양계에서 유일하게 짙은 대기가 있는
위성
으로 생명체의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는 곳이다.연구팀은 2005년 6월부터 2009년 7월까지 카시니호가 촬영한 온타리오 라쿠스의 레이더 영상을 분석했다. 아론슨 교수는 “레이더의 전파는 액체 몇 미터 정도는 ... ...
백두산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화산가스 중 헬륨(He)과 수소(H2)의 함량이 10배 이상 갑자증가하기 시작했다. 2002년~2005년
위성
위치확인시스템(GPS) 관측으로 천지 칼데라 호수 주변의 지형이 10cm 이상 팽창된 것을 발견했다. 이런 화산 전조현상이 2002년 6월 이후 급증했다. 2005년 말 이후 지진발생 빈도는 상대적으로 감소했으나 ... ...
PART 3 똑똑한 곤충의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유속을 고려해서 항해하는 배를 운항할 때도 벡터의 계산이 필요하다.또 GPS는 인공
위성
을 이용해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다. 이처럼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동시에 고려해야 할 때 많이 쓰인다.이처럼 우리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작은 곤충세계에도 그들만의 정교한 법칙과 원리가 있다. 점점 ... ...
우주범선, 여름 밤하늘을 항해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우주에서 비행을 할 수 있다는 글을 남겼다. 실제로 1960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발사한
위성
에코 1호(Echo 1)는 얇은 막으로 이뤄진 커다란 풍선 형태라서 복사압의 효과를 분명히 보여줬다.1974년 NASA가 수성을 탐사하기 위해 발사한 마리너 10호(Mariner 10)는 태양 복사압을 이용해 탐사선의 자세를 ... ...
나로호, 137초 장벽에 무너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소리’는 나로호 실패 직후 인테르팍스를 인용해 “나로호 폭발 전 노즈콘(페어링·
위성
보호덮개)이 먼저 분리됐다”며 한국이 만든 상단에 결함이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로켓이 폭발하기 이전에 한국이 만든 페어링에 이상이 있었다는 주장이다. 러시아 관영 리아 노보스티 통신도 ... ...
로켓의 힘은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탈출하는 꿈 치올코프스키의 공식으로 보는 로켓 원리 빙빙 돌며 중력과 싸우는 인공
위성
로켓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숫자 7과 함께하는 일주일 모두가 좋아하는 럭키 세븐7 안에 숨겨진 신비로움 가운데를 지키는 7마법의 숫자 7±2로 기억력을 높여라음악과 무지개는 일곱 빛깔 ... ...
치올코프스키의 공식으로 보는 로켓 원리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탈출하는 꿈 치올코프스키의 공식으로 보는 로켓 원리 빙빙 돌며 중력과 싸우는 인공
위성
로켓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숫자 7과 함께하는 일주일 모두가 좋아하는 럭키 세븐7 안에 숨겨진 신비로움 가운데를 지키는 7마법의 숫자 7±2로 기억력을 높여라음악과 무지개는 일곱 빛깔 ... ...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것은 우주를 이해하는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2012년 발사될 예정인 가이아(GAIA)
위성
이 우리 은하 외곽까지 관측해 10억 개 별들의 화학조성이나 위치를 정확히 알아내고 2014년 완공 목표인 광시야망원경 LSST가 우리 은하의 지도를 만든다면, 우리 은하의 탄생과 진화에 대한 의문이 상당수 풀릴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