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식중독 원인균, 여섯 시간 안에 진단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원인균인 황색포도알균이 분비하는 16가지 장 독소를 한 번에 진단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유전자를 동시에 증폭시키는 기술을 이용해 지금까지 하루 이상 걸리던 검사를 수 시간 내로 단축시켰다. 식중독을 초기에 규명해 확산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키트는 특허로 등록돼 지역 ... ...
- [과학뉴스] 다운증후군 뇌기능 저하 메커니즘 최초 규명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연구팀은 사망한 다운증후군 환자의 뇌 조직에서 전장전사체(발현된 총 RNA)를 추출해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를 일반인의 뇌 발달 과정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다운증후군 환자의 경우 신경아교세포의 일종인 희소돌기 아교세포의 분화가 정상인에 비해 늦고, 그로 인해 ‘미엘린’이 충분히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나타나는 좌우 비대칭에 흥미를 느끼는 것이 전부였다.“그러다 1985년 X선을 쪼여 만든 유전자 변형 초파리를 그리는 작업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다리 모양, 눈 색깔이 달라진 돌연변이들을 보는데 느낌이 이상했어요. 초파리들이 마치 인간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시제품(Prototype)’이 ... ...
- [과학뉴스] #나는_연구_기생충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밝혔다. 그들은 이런 연구자들을 ‘연구 기생충(research parasite)’이라고 칭했다.빅데이터, 유전학 등 방대한 자료 처리가 주된 업무인 연구자들은 ‘나는 연구 기생충입니다’라는 해시태그를 달고 NEJM에 반발하고 나섰다. 그들은 출판된 논문들이 이미 공공성을 띠고 있으며, 연구자가 매번 원작자와 ... ...
- [과학뉴스] 물고기는 왜 자기 알을 먹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동물의 가장 중요한 생존 목표는 번식을 통한 유전자 보전이다. 그런데 어떤 종은 자신의 알이나 새끼를 먹는 행동을 한다. 식량 부족 같은 명백한 이유가 없는 경우도 많다.독일 튀빙겐대 진화생태연구소의 카트 자 휴벨 박사팀은 바닷물고기의 일종인 망둑어(Pomatoschistus microps)의 수컷을 조사했다. ... ...
- [Tech & Fun] 음주 기자 친구의 술 체질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2015년 11월 17일자). 이 수용체는 지나친 감정이나 폭력적인 행동을 억제하는데, 관련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으면 세로토닌 2B 수용체가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거지. 연구팀은 “핀란드 전체 인구의 약 2.2%가 세로토닌 2B 수용체 돌연변이를 타고난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어. 자, 어때? 이제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발견됐습니다. 새와 공룡이 매우 가까운 관계라는 뜻이지요.통계로 완성하는 새의 족보유전적, 신체적 특징을 바탕으로 생물의 친척관계를 나타낸 그림을 ‘계통수’라고 합니다. 일종의 족보인 셈이지요. 그렇다면 새와 공룡 사이는 어떻게 나타낼 수 있을까요?새의 조상은 공룡 중에서도 ... ...
- [과학뉴스] 대대손손 빛을 잃은 초파리 “믿을 건 냄새뿐”과학동아 l2016년 03호
- 84종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초파리가 어둠 속에서 냄새를 이용해 짝짓기를 하는 데 이런 유전자 변형이 도움이 됐을 것으로 추론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G3(Genes Genomes Genetics)’ 2월 1일자에 실렸다 ... ...
- [과학뉴스] 우울증·흡연중독은 네안데르탈인 탓?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유전자들이 “과거엔 유리했던 형질”이라고 설명했다. 한 예로 혈액을 빨리 응고시키는 유전자는 상처의 출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심장마비나 폐 색전증을 유발해 오늘날에는 득보다 실이 많다. 이 논문은 ‘사이언스’ 2월 12일자에 실렸다 ...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선사하는 이타적 형질이 어떻게 자연 선택으로 진화했는지 그의 주저 ‘자연 선택의 유전학적 이론’에서 한 장(章)을 할애해 설명했다. 그러나 이들은 이타성의 진화를 정교한 수식모델로써 본격적으로 탐구하지는 않았다. 혁명은 케임브리지대 도서관에서 혼자 피셔의 책을 붙잡고 씨름하던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