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위성의 공전주기까지 계산하는 데 성공했는데, 이는 지금과 비교해봐도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정확했답니다.현재까지 알려진 목성과 토성의 위성은 각각 79, 82개로 매우 많아요. 이 중 목성의 위성인 가니메데와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은 수성보다도 크지요. 그렇다면 여기서 이번 별빛미션! 만약 ... ...
- 우동수비대 우동이의 일기 3주만에 조사기록 100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다섯 마리가 함께 살고 있었습니다. 바닥에 굴을 팔 수 있을 정도로 모래가 쌓여 있었고, 약 1.1m 높이의 전망대가 있었습니다. 동굴 뒤쪽에 사람의 시선을 피할 수 있는 공간이 있었습니다. 이달의 기록 - 대학생 멘토수의과대학생 언니, 형들도 동물 복지 조사에 나서고 있어. 심화 교육을 바탕으로 ... ...
- [가상 인터뷰] 고원우는토끼의 식량은 야크 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고원우는토끼는 아시아 티베트 고원의 목초지에서 살고 있어. 다 자라면 몸무게가 140g 정도 나가지. 티베트고원은 해발고도 3000~5000m라 먹고 살기에 좋진 않아. 비가 적게 와 먹이가 될 식물이 많지 않고, 산소도 희박한 데다, 겨울에는 기온이 영하 30℃까지 떨어지거든.그런데 고원우는토끼는 계절에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육지와 바다의 경계선에 사는 맹그로브는 평소 물속에 잠겨 있다가, 한 달에 한 번 정도 큰 썰물로 물이 빠지면 뿌리를 드러내요. 그런데 맹그로브에 가까이 다가가면 고약한 냄새에 깜짝 놀랄 수 있어요. 냄새의 정체는 바로 육지의 유기물이에요. 육지의 유기물들이 빗물에 쓸려 바다로 유입되기 ... ...
- 우동수비대 우동이의 일기 “지역특파원과 멘토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형태가 정상과는 달랐습니다. 활발하고 정형행동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사육사가 30~40분 정도 자유롭게 풀어놓아도 앵무는 발과 입만 이용해서 움직였습니다. 좁은 사육공간으로 인해 나는 법을 제대로 익히지 못한 것 같았습니다.전반적으로 횃대 등의 풍부화 구조물은 충분했으나, 새들이 ... ...
- [특집] 폭염의 이유는 열돔 현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캐나다와 북미 지역을 덮친 더위는 ‘열돔 현상’ 때문이야. 하지만 이렇게 심각할 정도로 더워진 이유는 따로 있대. 그게 뭐냐면…. 열돔, 거대한 압력솥 만들다!미국 하늘 위엔 보이지 않는 뜨거운 솥뚜껑이 덮여 있어요. 이 뚜껑은 뜨거운 고기압이에요. 지표면이 뜨거워지면 주변 공기가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사라진 샤롱가! 어떻게 납치된 거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떨어져서 단 거를 먹는 습관이 있어서…. 갤럭시 틴즈가 인기 그룹이라 100만 크레딧 정도는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어요.”용용이 방방 뛰며 큰 소리로 외쳤습니다. “감히 샤롱가를 납치하다니! 가만히 두지 않겠어! 얼른 샤롱가 의상을 가져와!”딱지가 용용을 뜯어말렸습니다. “선배, 너무 ... ...
- [특집] 지구가 부글부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관측 사상 역대 최고 기온을 기록했지요. 원래 리턴 지역은 에어컨이 있는 가정이 드물 정도로 여름에 서늘한 곳이에요. 폭염으로 생명을 위협받는 것은 인간만이 아니에요. 미국, 캐나다 해안에서는 폭염으로 10억 마리 이상의 해양 생물이 죽은 것으로 추정돼요. 캐나다 브리티시콜롬비아대학교 ... ...
- [특집] 기후 재난을 피하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그 결과, 메타 패브릭으로 만든 조끼의 오른쪽과 순면으로 만든 왼쪽의 표면 온도는 3℃ 정도 차이가 났어요. 조끼 안의 온도는 순면일 땐 31℃에서 37℃까지 올랐지만, 메타 패브릭으로 만든 조끼 쪽은 32℃로 1℃만 올랐죠.타오 광민 교수는 “메타 패브릭으로 만든 옷을 입으면 폭염에 대비해 몸을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아름다운 석회동굴은 지하수가 깎아 만든 작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추측하지요. 엄청나게 오랜 세월 같다고요? 지구의 역사를 연구하는 지질학자들에게 이 정도 기간은 엊그제처럼 느껴진답니다! 필자소개 우경식(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지질학 교수)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6년부터 강원대학교 지질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제동굴연맹 회장을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