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형"(으)로 총 1,171건 검색되었습니다.
- 평야과학동아 l1986년 02호
- 원래 침수가 빈번한 저습지를 가리키는 말이다. 우리나라의 평야는 발달장소에 따라 지형의 구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한강 하류의 김포평야, 금강하류의 논산·강경평야, 낙동강하류의 대산평야, 재령강 하류의 재령평야 등은 바다로부터 떨어져 있어서 주로 범람원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평야는 ... ...
- 섬과학동아 l1986년 02호
- 분화구는 약 75만년~2만5천년전 사이에, 그리고 해안저지대에 분포하는 용암터널들은 지형적 특징과 연대측정결과에 의하면 수만년 전에 각각 형성된 것임을 짐작케 한다.또한 제주도에서 서기 1002년, 1007년에 화산폭발이, 서기 1445년, 1570년에 큰 지진이 있었다는 동국여지승람(제38권)의 기록은 ... ...
- 양평지방은 왜 추운가과학동아 l1986년 02호
- 강세로 밀려 닥치면서 블로킹 현상을 일으켜 전반적으로 추위가 몰려왔던 데다 지형이 변형되면서 조성된 양평의 특수 요인 때문' 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남은것은 사실을 과학적인 데이타로 명쾌하게 밝히는 일이다.기상과학자들도 양평지방의 혹한 원인이 하루 빨리 밝혀지기를 고대하고 있다 ... ...
- 산과학동아 l1986년 02호
- 니(泥)·사(砂)풍화토층이 고원위를 두껍게 덮고 있는 것이 목격된다. 한편, 이런 고원지형은 함경도의 경우 더욱 높고 현저하게 이룩되어 개마고원으로 불린다. 따라서 함경산맥은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맥으로 꼽히지만 그것은 동해안에서 볼 때일뿐, 능선 북쪽으로는 밋밋한 고원이며, 고도 ... ...
- 해안과학동아 l1986년 02호
- 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서·남해안 일대에는 이러한 간석지 뒷편의 지형적으로 적당한 곳에 해안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소규모의 해안사구는 이미 경작지가 되어서 없어졌지만 대규모의 사구는 아직도 그대로 남아 있으니 그중 대표적인 것은 서산군 북부태안에 발달된 ... ...
- 동굴과학동아 l1986년 02호
- 있을 뿐 아니라 발견된 화산동굴만도 60여개소에 달하고 있고, 동굴 내부의 지형지물도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이 화산동굴은 화산이 분출될 때 그 용암이 땅표면에 흘러내리면서 외기(外氣)와 부딪치는 표면이 냉각, 굳어져버리지만 용암류의 속은 그대로 산기슭으로 흘러내리면서 점차 냉각되므로 ... ...
- 화산이 만든 낙원 화와이과학동아 l1986년 02호
- 간다. 그때문에 침강이 생기며 오아후섬의 진주만, 하와이제도의 산호초나 해산군 같은 지형을 이루게된다. 이렇게 플레이트 테크토닉스와 핫 스파트 이론은 하와이제도에서 현재 일어나고 있는 모든 신기한 현상에 대한 의문을 풀어준다. 비가 많이 와 생긴 숲 하와이로 향해 부는 무역풍은 ... ...
- 강과학동아 l1986년 02호
- 홍수량이 조절되어 그 수치는 점차 낮아져가고 있다. 또한 이 홍수는 노년기 하천의 지형적 틍징과 결합하여 하천의 중·하류부에 대규모의 자연제방을 형성하고 있다.우리나라 하천중 5백 ㎞가 넘는 것은 압록강(7백 90㎞)과 두만강(5백 21㎞) 한강(5백 14㎞) 낙동강(5백 25㎞)인데, 유역의 면적이나 ... ...
- 국토개발과학동아 l1986년 02호
- 보면 첫째로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이른바 동고서저 현상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지형에 따라 중요한 하천은 서해안과 남해안으로 흐르게 되어 있을 뿐 아니라 급류하천이 적어 선상지(扇狀地)나 삼각주의 퇴적이 적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평야는 대부분이 서해안과 남해안에 펼쳐지게 되어 도시나 ... ...
- 랜새트(LAND SATELLITE)란 어떤것인가과학동아 l1986년 01호
- 즉 어떤 파장은 물을 잘 나타낸다. 또 어떤것은 시가지를, 어떤것은 식물을 잘 나타내고 지형이나 암석을 구별하기 쉬운 것도 있다. 따라서 어느 파장이 어느정도 강한가를 조사하면 지표에 무엇이 있으며 어떤 상태인가를 알 수 있다. 즉 파장의 강도 패턴으로 지표가 분석되는 것이다.이것이 ... ...
이전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