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골몰
열중
몰두
몰입
통합
집중생산
생산
d라이브러리
"
집중
"(으)로 총 3,49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 인재에게 싱가포르는 기회의 땅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함께 재생산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국인은 놀라울 정도로 일에
집중
하고, 낯선 환경과 문화에 빠르게 적응하더군요. 개인적으로 한국인 과학자가 다른 과학자보다 같이 어울리기도 참 편했습니다. 변화에 적응이 빠른 한국인 과학 기술자에게 싱가포르는 많은 기회를 줄 것입니다 ...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기면증 환자의 뇌는 무너지려는 집을 가까스로 붙잡고 있는 것과 같지요. 조금만 다른 데
집중
하려고 하면 와르르 무너져버립니다.”8분 만에 꿈꾸는 잠에 빠지는 기면증기면증은 순식간에 잠드는 것이 특징이다. 낮잠 검사를 했을 때 8분 이내에 잠들면 기면증일 확률이 높다. 낮에 수시로 자는 ... ...
Part 1. 그들은 안다! 당신의 모든 것을…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있다.이들은 자국 영토 및 영공을 지나가는 모든 형태의 통신을 도·감청한다. 처음에
집중
했던 것은 국제 통신에 많이 사용된 고주파 무선통신(3~30MHz)이었다. 김재완 영진전문대 전자정보통신계열 교수는 “고주파는 전리층과 지표 사이를 반복해서 반사되므로, 중계기 없이도 지구 반대편까지 ... ...
콘서트홀이 따뜻한 소리 만드는 5가지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아닙니다. 발코니의 벽면이 평평하면 도달한 음이 골고루 확산되지 않고 한 곳으로
집중
돼 반사됩니다. 그 자리에 앉은 사람은 마치 운동장에서 교장 선생님이 연설하는 것 같은 메아리 음악을 듣게 되지요. 만약 소리가 무대로 반사되면 노래하는 사람은 시차를 두고 자기 목소리를 듣게 됩니다. ... ...
어른인데… 나도 혹시 ADHD?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보면 스트레스는 지식을 활용하는 등 고차원적인 뇌기능을 떨어뜨리고 즉각적인 보상에
집중
하게 만듭니다.”즉각적이고 자극적인 보상에 집착하는 모습도 ADHD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ADHD 환자는 평소 일에 무기력하다가도 자신이 흥미를 보이는 분야가 있으면 열광적으로 몰입한다. 그렇다면 ... ...
과학 동아리를 소개합니다 - 정명고등학교 ‘STAR’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공감한다는 듯 고개를 끄덕거렸다. 다음 주 학교 축제에 선보일 로봇을 만드는 데
집중
하느라 기자가 과학실에 들어설 때도 알아차리지 못했던 학생들은 로봇을 만드는 동아리 시간이 학교생활 가운데 가장 즐겁다고 덧붙였다.과학실 양쪽 벽면에는 로봇 외형을 만들기 위한 블록과 그간 학생들이 ... ...
바다가 있는 한 조선해양공학은 영원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김 교수는 크게 걱정할 일은 아니라고 밝혔다. 중국의 조선산업은 우리나라가 80년대
집중
했던 분야며, 우리는 이제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크루즈 선박 등 부가가치가 높은 배를 만들기 때문이다.“바다에서 채취하던 깊이가 연안에서 이제는 1000~3000m로 깊어지고 있습니다. 심해저 연구가 이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지금 당장 도전하고 있는 과제가 정말로 가장 어렵게 느껴진다는 말이다. 그날의 연구에
집중
하는 과학자로서의 자세를 나타내는 것이리라.하지만 이런 오 교수도 정말 힘든 시기를 겪었다. 스스로 최고의 성과라고 생각하고 있는 로봇 ‘휴보’의 첫 번째 공개 행사다. 로봇 ‘휴보’의 첫 번째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할까, 해양학과가 당시에는 인지도도 낮고 취업도 잘 안 됐는데 오히려 그래서 전공에
집중
하게 됐어요. 그러다보니 잘 하게 됐죠.” 인하대 해양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은 박 센터장은 해양과기원에 들어와 근무하면서 다시 박사 과정까지 공부했다. 초등학교나 중•고교 시절을 물었더니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수 있어요. 육아나 출산 휴가는 제도적으로 보장해 줘야 하지만 나머지 기간에는 더
집중
해서 일할 수 있어야 해요. 그래야 남자에게 장기적으로 뒤처지지 않아요.” 역시 여성 리더답게 한번 조직 이야기가 나오니까 말이 술술 이어졌다. 정 원장은 기자에게 “직장 생활 하면서 뭐가 가장 중요한지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