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능한 한
최선
최대량
d라이브러리
"
최대한
"(으)로 총 1,663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지 않는 소리를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답이 나와요. 우선 기계가 내는 소리를 객관화시켜 여기에 사람들이 기대하는 바를
최대한
반영해 음질을 설계하죠.” 이것이 바로 사운드디자인이다. 사람마다 원하는 소리가 다르듯 나라별로 선호하는 소리도 따로 있다. 일본 사람들은 우리나라에 비해 조용한 청소기를 좋아한다. 외국에서 ... ...
뼈를 얻은 벅스버니, 도널드 덕, 톰과 제리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꽉 찬 듯 표현했다는 점이다. 마치 포유류의 뼈처럼 보인다. 이 교수는 “조류는 몸이
최대한
가벼워야 날 수 있어 뼛속이 비도록 진화했다”고 설명했다.코요테는 코가 앞으로 불쑥 나온 반면 턱이 작다. 코가 아래턱을 가려 아래턱이 하나도 안 보일 정도다. 위턱과 아래턱의 부정교합이 심하다는 ... ...
주사기여 안녕~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주사를 맞을 때 통증은 실제로 줄여주지 못한다. 어차피 맞아야 하는 주사라면 횟수라도
최대한
줄일 수 없을까.보통 주사액에 사용되는 단백질은 하루 안에 몸 안에서 모두 분해돼 흡수되기 때문에 치료효과를 지속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주사를 매일 맞아야 한다. 하지만 인터페론 같은 약물의 ... ...
모든 병은 '페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그 결과 고온에서 웰빙 음료의 내용물을 담을 때 일어날 수 있는 맛과 향의 손실을
최대한
줄였고 일반 페트병을 쓸 수 있게 됐다.기체가 드나드는 것을 좀 더 확실하게 차단하는 페트병도 나왔다. 2003년 효성은 국내 최초로 다층 페트병을 개발해 1.6리터 하이트 맥주병으로 공급하고 있다. 겉모습만 ... ...
PART2 유니버설 백신 디자인을 향해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작동해 스스로 부족한 염기를 채우거나 잘라낸다. 그 결과 복제를 거듭하더라도 원본과
최대한
비슷하게 모양을 유지한다.반면 독감바이러스 유전자는 RNA로 구성돼 있다. 일반적으로 RNA 유전자의 복제효소는 DNA유전자복제 효소보다 정확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유전자를 복제할 때 변종이 발생할 ... ...
거짓말을 멈출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거짓말쟁이로 성공할 수 있도록 만든 ‘우리’의 특성을 너무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최대한
우리의 특성을 이용한다.사람은 권위를 믿는 성향이 있다. 교수라는 직함을 달고 있으면 그 분야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믿음, 외국 학술잡지가 받아들인 논문이라면 굳이 검증할 ... ...
고객을 사로잡는 조명은?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팔아야 하는 곳에서는 제품의 천연색이 잘 드러나도록 실내조명을 조절한다. 조명을
최대한
햇빛에 가깝도록 만든다는 말이다.그런데 광도표준이 다르면 조명에 표시된 밝기와 실제 조명이 방출하는 빛의 양이 다를 수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하 표준연) 기반표준부 온도광도그룹 이동훈 ... ...
한국 조선공학계 최고의 여성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이용한 선형설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선박의 경제성, 속도, 연료 효율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모양을 만드는 이 분야는 선박설계의 핵심으로 꼽힌다.유학 시절 독일, 스웨덴, 이탈리아 등이 주도한 유럽 최대 규모의 조선 공동 프로젝트였던 ‘칼립소’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큰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진학한다면 연구장학생이 될 수도 있습니다.송유근 군과 같은 과학영재의 경우 능력을
최대한
신장시킬 수 있도록 교수법과 행정지원 전문가를 배정해 일대일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래 학생들과의 사회성 함양을 위해 교양교육을 진행하는 것은 물론입니다. 즉 일반대학생과 ... ...
뜨거운 도시에 부는 푸른 바람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장 연구원은 “옥상녹화에 가장 널리 사용하는 펄라이트 계열의 인공토양은 물을
최대한
머금었을 때의 무게가 단위부피당 450~600kg이므로 토양의 두께를 10cm라고 가정하면 단위면적당 45~60kg 밖에 안 나갈 정도로 가볍다”고 설명했다. 옥상에서 물이 새는 것을 막고 식물의 뿌리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