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평가"(으)로 총 4,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하지만 주인공보다 성적이 좋고 주인공이 속한 대학 동아리에서 최고의 실력자로 평가받는 ‘에이스’다. 이성 등장인물인 ‘나잘난’ 씨(가명) 역시 출중한 능력을 뽐내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지만 주인공과는 전공도 다르고 속한 동아리나 장래 희망도 다르다. 또 다른 이성인 ‘평범해’ 씨(가명 ... ...
- [knowledge] 산신령이라 불렸던 사나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OPS 추세를 살펴보면 홈과 원정의 기록 차이가 뚜렷하다(OPS는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타자 평가 지표다). 보통 OPS가 0.05만 차이가 나도 타격 능력이 한 단계 차이가 난다고 생각하는데, 토드 헬튼은 2002년부터 은퇴시즌인 2013년까지 홈의 OPS가 원정보다 0.1 이상 높았다(오른쪽 그래프 참조). 그가 한창 ...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함수로 확장한 건, 편미분방정식의 역사에서 한 획을 그은 아주 대단한 발견”이라고 평가했다.함수 집합을 잘 정의하면 상당히 많은 편미분방정식의 약한 해를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비트 힐베르트가 1912년 정의한 ‘힐베르트 공간’이 있다. 특정 수열의 극한이 존재하는 추상적인 함수 ...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조만간 일반 전기차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지난 5월 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산업기술평가관리원은 전기차용 무선충전시스템 개발 사업 담당자로 그린파워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그린파워 소시엄은 그린파워와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자동차부품연구원, 그리고 임춘택 교수팀 등으로 구성돼 ...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잠수 타는 애들이 있잖아요. 나중에 이름만 넣어달라고 하고. 여기선 그렇게 못해요. 동료평가가 정말 엄격하거든요.”진우 씨는 수업을 혼자 신청했다. 한국 학생이 없다. 조를 짜야 되는데 용기가 필요했다. “처음엔 좀 힘들었어요. 무작정 옆자리에 앉아서 ‘안녕, 너 이름이 뭐니, 나 한국에서 ... ...
- [Knowledge] 외야 펜스의 담쟁이덩굴이 외야수를 괴롭힌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가정해보자. 이럴 경우에 A팀의 원정경기 득점이 높아져 정작 홈구장의 득점을 제대로 평가할 수 없다. 만약 원정 구장의 수가 충분히 커지면 결국 평균에 수렴하겠지만 KBO나 메이저리그 모두 원정 구장의 수가 그만큼 충분하지는 않다. 원정경기 결과를 평균으로 바꾸기 위한 것을 다른 ‘구장 보정 ... ...
- 이름을 되찾은 ‘브론토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연구처럼 공룡을 자세히 분류한다면 훨씬 많은 공룡이 생길 것”이라고 이번 연구를 평가했어요. 앞으로 연구를 통해 더 많은 공룡이 발견될 수도 있으니, 다른 공룡들에게 부탁해 보세요. 하지만 쉽지는 않을 거예요. 우리 공룡들도 지구를 사랑하거든요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것이다. 코시는 오늘날 미적분을 ‘계산’에서 ‘논리’의 단계로 올려놓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미분의 원리가 완벽해진 이후 수학자들은 복잡한 대수적 내용을 미분을 이용해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지 연구했다. 임의의 함수의 도함수를 찾는 문제와 2계 미분, 그리고 보다 더 어려운 문제인 ... ...
- [Knowledge] 괜찮아, 지나간 일이야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발전에 도움이 되며,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앞으로 나가는 데 도움이 된다고 평가한다.성숙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좌절에 강하다는 연구도 있다. 좌절할 일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좌절할 일이 생겼을 때에도 이들은 예상했다는 듯 덤덤히 받아들인다.꿈이 있고 ...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으로 설정해 찍은 사진(왼쪽)과, 1600으로 설정해 찍은 사진(오른쪽).해상도 말고도 시력을 평가하는 기준이 또 있어요. 바로 ‘감광도’예요. 감광도는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도를 말해요. 디지털 카메라로 예를 들면 ‘ISO’ 수치와 관련이 있지요.사진을 찍을 때 ISO를 100 정도로 낮게 설정하면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