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핵인"(으)로 총 2,5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는 개기일식과학동아 l2006년 04호
- 3월 29일 달 그림자가 지구를 가리는 개기일식이 일어난다.일식은 브라질에서 시작해, 대서양, 북아프리카, 중앙아시아를 지나서 몽골 지역에서 마무리된다. 북반구의 아프리카, 유럽, 중앙아시아 대부분의 지역에서 부분일식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관측할 수 없다. 반강자성체의 ... ...
- PART1 컴퓨터 바이러스는 살아있다과학동아 l2006년 04호
- 1986년 1월, 파키스탄에서 세계 최초의 사이버 생명이 탄생했다. ‘브레인’(Brain) 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붙은 이 사이버 생명은 360KB 플로피 디스크에만 감염할 수 있는 원시적인 존재였다. 그러나 그 뒤로 바이러스는 마치 생물처럼 진화를 거듭하며 번성과 멸종을 거듭했다.점점 교묘해지고 강해진 ... ...
- 별을 넘어 인간을 보는 천문학과학동아 l2006년 04호
- 홍대용, 김정호 등 과학 선현이 우주에서 우리를 내려다보고 있다.그들의 이름이 붙은 소행성이 우주에서 빛나고 있기 때문. 망원경을 통해 우주를 보는 천문학.이제 망원경의 방향을 돌려 지구와 인간생활을 들여다보자.한반도 지각의 움직임, 차세대 이동통신의 잡음, 핵융합 등을 만날 수 있다. ... ...
- 기획1. 전파망원경으로 한반도 지각변동 잡아낸다과학동아 l2006년 04호
- ‘2010년 어느날 울산 부근의 한 단층대에서 이상한 움직임이 감지된다. 지층이 어긋나 있는 이곳 단층대가 평소보다 크게 움직인 것. 흥미로운 점은 지층의 이동을 먼저 잡아낸 곳이 기상청 지진관측소가 아니라 별을 보는 천문대라는 사실이다.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진이 울산대, 연세대, 탐라대에 ... ...
- 기획3. 대형망원경 기술로 핵융합에 도전한다과학동아 l2006년 04호
- 2013년 어느 밤, 멕시코 캘리포니아반도 산페드로마티르 산에서 강한 빛줄기가 힘차게 하늘로 뻗는다. 한국의 주도로 건설된 구경 6.5m짜리 대형망원경에서 발사된 레이저다. 레이저는 고도 70㎞ 하늘에 ‘인공별’을 만든다.한국 천문학자들은 이 인공별을 관측해 대기의 요동을 파악하고 망원경의 ... ...
- 화성 궤도탐사선(MRO) 화성 궤도 진입 성공과학동아 l2006년 04호
-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궤도탐사선’(MRO)이 화성의 바깥쪽 타원 궤도에 진입하는데 성공했다. MRO는 화성에 대해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찾아내는 것뿐 아니라 물의 흔적을 찾고 미래에 발사할 화성 착륙선의 착륙 위치를 탐색하는 임무를 띠고 있다. 광속이 직각으로 입사되는 피조명면상 ... ...
- 파푸아에서 '에덴' 발견과학동아 l2006년 03호
- 인도네시아의 한 섬에서 정글을 탐사하던 과학자들이 최근 ‘잃어버린 세계’를 발견했다. 이곳에서 개구리, 나비, 식물, 포유동물 등 수십 종의 새로운 종이 발견됐다. 암컷의 2개 X염색체 중 한쪽의 기능이 비활성화(非活性化)하는 현상 고등포유동물에서 나타난다X염색체 위에 유해유전자(有害 ... ...
- 올림픽 하늘에 뿌리는 눈과학동아 l2006년 03호
- 토리노 동계올림픽 준비위원회는 예측할 수 없는 알프스의 날씨 때문에 10대의 제설 장비를 갖춰 완벽한 스키 활강 코스를 마련했다. 과학진흥을 위해 많은 연구소를 관리·경영하는 독일의 법인기관 정식 명칭은 막스 플랑크 과학진흥협회이다1911년 설립된 카이저 빌헬름협회를 제2차 세계대전 ... ...
- 3. 태권V 10대기술과학동아 l2006년 03호
- ‘로보트 태권V’를 만화영화에서 현실로 끄집어낼 수는 없을까. 이런 호기심으로 ‘태권V 부활 프로젝트’는 시작됐다.몇 달 동안 수많은 사람들을 만났다. 여러 과학자들이 태권V를 만들어 보자고 약속했다. 특히 지능로봇 21C 프론티어사업단장인 김문상 박사(KIST)와 KAIST 오준호 교수가 많은 도움 ... ...
- 구상암에 꽃이 피었습니다과학동아 l2006년 03호
- 곶감으로 유명한 경북 상주시에는 아주 특이하고 신기하게 생긴 바위가 있다. 돌에 꽃이 핀 모양 같다고나 할까. 공룡 알이 박힌 화석 모양 같기도 하다. 바위에는 주먹만한 공 모양의 돌이 여럿 박혀 있는데, 학술 용어는 아니지만 둥글다는 뜻에서 흔히 ‘구상암’(球狀岩)이라고 불린다. 현지 사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