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뉴스
"
유전
"(으)로 총 6,51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다한 칼슘 섭취가 오히려 구강암 촉진"
동아사이언스
l
2023.09.06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강암의 진행과 통증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ORAI1
유전
자에 주목한 치료방식은 기존 오피오이드와 같은 진통제의 부작용을 피해갈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 ...
'심해 청소부' 버뮤다 해역 미스터리 세균, 실험실서 배양
연합뉴스
l
2023.09.05
돌파구를 마련했다"며 "후속 연구를 통해 사르202 세균에 존재하는 수많은 유기물 분해
유전
자의 기능을 확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8월 22일 게재됐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 ...
식물
유전
체 3차원 구조 더 자세히 살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05
연구팀은 “
유전
자 도메인 형성은 다양한 식물 종에서 광범위하게 관찰됐다”며 “
유전
자 단위의 3차원 구조가 생물에 넓게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서울대 ... ...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제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05
“그동안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치료 전략을 구축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었다”며 “Thrap3
유전
자 발굴을 통해 효과적인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 방법을 새롭게 제시하게 됐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1일 국제학술지 ‘실험 및 분자의학’ 온라인에 게재됐다 ... ...
지방 함량 높은 식사, ADHD·수면장애 일으켜
동아사이언스
l
2023.09.05
결과에서는 고지방 식이 쥐 모델에서 뇌의 복측피개영역과 측좌핵에서 도파민 조절
유전
자 전사체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도파민 시스템의 변화 또한 ADHD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이라는 점에서 연구팀은 고지방 식이가 정신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 김 교수는 “고지방 ... ...
"노화는 가장 흔한 질병"…'회춘' 방법 찾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3.09.03
세포인 ‘줄기세포’부터 ‘성체 노화세포’까지를 대상으로 노화를 일으키는 인자와
유전
자를 밝혀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항노화와 회춘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과 신약을 만든다는 목표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는 심각한 노령화에 진입했다”며 “WHO가 노화를 질환으로 ... ...
인류는 이미 90만년 전 멸종 위기 겪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01
병목현상의 하나로, 자언재해나 인재 등으로 집단의 상당수가 사망해 특정 개체의
유전
자가 크게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병목현상은 이후 11만7000년 간 지속되면서 당시 인류가 멸종 위기에 이르렀다. 당시는 현 인류의 조상인 호모사피엔스가 등장하기 전으로, 데니소바인, ... ...
햄버거 맘껏 먹어도 살 안쪄…식욕 억제 없는 비만치료제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01
지방 조직과 깊은 관련이 있는 일종의 '체중 조절 스위치'임을 알아냈다. 실험쥐에게 화학
유전
적 방법으로 가브라5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했더니 지방 조직의 열 발생이 감소하면서 지방이 축적돼 체중이 증가했다. 반대로 가브라5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면 체중이 감소했다. 무엇이 가브라5의 ... ...
[과기원NOW] GIST, 바이러스성 질병 감염, 정확하게 진단하는 'AI 플랫폼'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합성곱신경망(CNN)을 활용해 학습시켰다. 이렇게 개발된 플랫폼은 분자진단에 사용되는
유전
자 증폭 및 표지 등과 같은 복잡한 표본 처리 과정 없이 항원-항체 반응만을 기반으로 해 단순성과 높은 확장성을 확보했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측정 시 잡음이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전기화학적 방식의 ... ...
IBS, 생명과학 클러스터 내 신규 연구단장 2인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2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듀얼 이그래스프(dual eGRASP)’등 혁신적인 분자
유전
학적 방법을 연구에 적용해 새로운 기억의 저장을 중재하는 시냅스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분자적 수준에서 정밀하게 밝혀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학문적 권위와 기여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