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스페셜
"
정상
"(으)로 총 1,177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입지 강화해야 “제 유전체를 분석한 정보를 봤어요. 노인성 황반변성이 걸릴 위험이
정상
인보다 8.2배 높더군요. 성인의 실명원인 1위라고 하는데 앞으로 안과에 꾸준히 가면서 조심할 생각이에요.” 2003년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되면서 과학계에서는 곧 모든 병을 극복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가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별 효과가 없어서 포기한 약물인 로나파닙의 작동 메커니즘이 조로증을 유발하는 비
정상
단백질의 작용을 방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고 임상을 시작했다. 2007년 당시 공식 등록 환자의 75%인 25명에 대해 2년에 걸쳐 투약한 결과 심혈관계와 근골격계의 노화를 늦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물론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옮긴 둘베코는 1968년 바이러스의 DNA의 유전자가 숙주의 게놈에 끼어들어가 발현돼
정상
세포를 암세포로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발견으로 그는 1975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오늘날에는 암을 유발하는 바이러스가 여럿 알려져 있고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인유두종바이러스(HPV)의 경우 ... ...
제3세대 기업가정신과 소셜벤처 육성 전략
KOITA
l
2013.04.23
접근을 의미한다. (중략) 소셜벤처는 구조적인 시장실패요인 때문에 민간 자본시장에서
정상
적으로 자본을 조달하는 것이 어려울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소셜벤처의 자금조달을 위해서는 회수기간과 상환조건에 여유가 있는 공익적 목적의 인내자본(patient capital)이 필요하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 ...
“환자를 우선한 연구가 상업화도 빠르게 만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2.09.10
치료에 성공했다. 지난달에는 이 원숭이가 1년간 건강하게 살아남았고, 당뇨 원숭이에게
정상
원숭이의 췌도를 이식하는 실험도 성공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처음 연구결과를 발표한 뒤 당뇨병 환자들의 연락을 수없이 받았어요. 그들이 정말 필요로 하던 연구였던 거죠. 앞으로도 ... ...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1.24
출연연으로 남을 것으로 보인다. 안전성연은 ‘화학물질 독성평가’ 분야에서
정상
급 실력을 인정받고 있다. 그렇지만 ‘화합물 독성평가’와 관련해 유사한 서비스를 하는 기업 몇 곳이 국내에서 영업 중이다. 이 소장은 “안전성연에 민영화 논란으로 고초를 겪었던 이유 중 하나는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듀폰제약 연구그룹 책임자,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BMS) 연구그룹 책임자 등 세계
정상
급 신약 그룹에서 두각을 나타냈던 실력자다. 특히 BMS는 세계 5대 제약회사로 연 매출액 194억달러, 연구개발비만 연간 25억달러(2조5000억원)에 달하는 거대 기업이다.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 다국적 ... ...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면 치료제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단백질 ‘her2’가
정상
보다 많이 만들어진 여성은 유방암에 걸리기 쉽다. 기능은 정확히 모르지만 이 단백질이 과도하게 생성되는 것을 막는 단백질 의약품은 유방암 치료제로 쓰인다. 울렌 교수는 특히 “생명과학 분야에서 우수한 ... ...
“BT 기초연구 튼튼해야 상용화도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8.10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면 조울증을 앓게 된다는 것. 오 교수는 “뇌의 특정 부위를
정상
인과 비교하면 유의미한 차이가 보인다”며 “현재 이 논문을 투고 중에 있다”고 귀띔했다. 하지만 오 교수가 처음부터 탄탄대로를 걸었던 것은 아니었다. 오 교수의 시작은 가시밭길에 가까웠다. 오 교수는 ... ...
“신약 개발 협의체로 글로벌 신약 10개 개발 지원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7.15
개발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우리나라는 조선, 정보기술(IT), 반도체, 자동차 등 세계
정상
급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제약 등 생명공학에 분야는 아직 세계 수준과는 격차가 있다. 정부가 신약 개발 등 바이오 분야도 선두로 끌어올리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앞으로 9년 동안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