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대폰으로 TV 보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휴대전화에 PDA가 들어갈 것이라 주장한다. 삼성전기 권시영 선임연구원은 “얼핏 똑같은
결과
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양쪽 연구진은 주도권을 잡기 위해 치열한 연구 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이번에 개발된 모바일 튜너는 양쪽 연구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는 의미도 지닌다”고 말했다. ... ...
박테리아가 말하는 익사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깨달은 히카루는 현장의 토질표본을 채취해 과학수사연구소에 조사를 의뢰한다. 검사
결과
토질에서 수산화나트륨이 발견된다. 이는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와 결합해 비누를 만드는 성분이다. 폐기물 불법 투기장에서 흘러나온 화학물질이 토질을 오염시켰고, 이로 인해 시체의 시랍화가 빠르게 ... ...
2 노벨상으로 알아보는 이중나선 그 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단백질이 아니라 핵산이라는 알프레드 허쉬(1969년 노벨 생리의학상)의 결정적인 연구
결과
를 듣는다.생물과 무생물의 중간 단계인 박테리오파지는 스스로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 살아있는 다른 세포 안에 들어가 증식한다. 허쉬는 박테리오파지를 이루고 있는 단백질과 핵산(DNA) 중 어느 것이 ... ...
진달래는 왜 초봄에 피어날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바로 6백60nm 파장의 빛이다. 이런 사실은 피토크롬이 광주기 인식에 관여함을 시사하는
결과
다. 또한 5분 간 6백60nm 빛을 쬐어준 후, 곧이어 7백30nm 빛을 쬐어주면 개화가 일어난다. 그렇다면 6백60nm와 7백30nm의 빛을 교대로 쬐어주는 실험을 해보면 어떨까. 흥미롭게도 가장 마지막에 쬐어준 빛에 의해 ... ...
먼 지인 통해야 직장 구하기 쉽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익숙한 배우들도 있다. 국민 배우로 불리는 안성기가 8등을 차지했다. 이러한 조사
결과
를 바탕으로 충무로의 박용팔 게임 또는 안성기 게임을 만들어보는 것은 어떨까.할리우드 잇는 약한 연결연구를 진행하면서 밝혀진또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최근 국내 배우들의 할리우드 진출로 말미암아 ... ...
생체시계 바늘역할 효소 찾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전달한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쥐의 세포에서 이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를 고장낸
결과
생체시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 정상 쥐는 빛이 없어도 12시간 주기로 밤낮을 구분하는데 이 효소가 고장난 쥐는 밤낮을 구별하지 못했다.신 박사는 “이번에 기능을 밝혀낸 효소는 ... ...
사람 얼굴처럼 자동차를 구별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내렸다.가우티어는 “이번 실험은 자동차 전문가가 의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반응한
결과
”라면서 “같은 신경회로 부분이 얼굴을 구별하고 극단적으로 관심있어 하는 대상을 구별하는데 둘다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 ...
차세대 정밀유도폭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수 있는 기술특정한 위험요소를 갖고 있는 집단을 계속 지켜보면서 그 위험요소가 어떤
결과
를 일으키는지 알아보는 연구 이 연구가 의미가 있으려면 연구할 집단의 규모가 커야 하고, 집단에 속한 각 대상을 지속적으로 조사해야 한다지방세포가 만들어내는 단백질 비만 정도가 심할수록 혈액 중 ... ...
바빌론에서 바그다그까지 문명의 요람 이라크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유전관게는 인정되지 않으나 선천적으로 골막성(骨膜性)의 골형성이 심히 장애를 받은
결과
편평골(扁平骨)은 종이처럼 얇고 관골(管骨)은 길이는 정상이나 골질이 얇고 다공성(多孔性)이기 때문에 대단히 무르고 약하다분명한 치료법은 없으며 흔히 태내(胎內) 또는 유아기(乳兒期)에 많이 사망한다 ... ...
3 DNA 연구의 최전선 미생물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자르는 제한효소의 발견까지. 이 수많은 생명의 신비는 모두 미생물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밝혀졌다.올해로 50주년을 맞는 DNA 연구는 미생물을 통해 또다른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생명의 비밀은 물론 인류의 행복과 건강을 위한 생명공학의 획기적 발전을 꾀하고 있는 것이다. 이 최전선에 ... ...
이전
1176
1177
1178
1179
1180
1181
1182
1183
1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