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뉴스
"
정도
"(으)로 총 13,547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의 별은 계속 늘어날까요?
2015.03.05
밤하늘의 별을 보고 ‘무수히 많다’고 표현하지만 실제로는 별들의 숫자가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미국 연구진이 이런 별들의 숫자를 조절하는 ‘시스템’의 비밀을 밝혀내 ‘네이처’ 4일자에 발표했다.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카블리 천체물리우주연구소 미카엘 맥도날드 ... ...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5.03.04
LHC의 에너지가 초대칭 입자들의 질량에 이르면 우리는 그 입자들을 발견할 수 있다. 어느
정도
가까이만 가도 표준모형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을 보게 될 것이다. 과학자들은 LHC를 통해 ‘신의 입자’라는 별명을 가진 힉스 입자를 발견했다. - CERN 제공 ● 새로운 세계를 향한 문 이 밖에도 ... ...
열렸다 닫혔다 마법의 ‘나노 통로’
2015.03.04
처리해 단단하게 만든 것이다. 이 재료를 팽팽하게 당겼다가 놓으면 수축하는
정도
에서 차이가 생기면서 주름이 생긴다. 여기에서 조금 더 변형시키면 만들어진 주름의 윗부분이 맞닿아 접힌 상태가 된다. 이때 주름이 앞뒤로 길게 뻗어 있기 때문에 마치 고속도로 터널처럼 위쪽은 막혀 있고 ... ...
‘아이 콘택트’하며 화상통화 가능해졌다
2015.03.04
바라봐 준다는 느낌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 기술은 현재 시제품 수준으로 초당 2장
정도
의 사진을 전송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의 전송효율을 보완해 초당 30장 수준까지 발전시키면 2년 이내 상용화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 맞춰 개발을 마치고 ‘스마트 월(Smart ... ...
사우디아라비아 수출하는 원자로 ‘스마트’
2015.03.04
전기 출력이 1000MW(메가와트) 이상인 대형 원전과 달리 최대 100MW급인 중소형 원전이다. 이
정도
발전량이면 중동의 중소도시에서는 전기를 공급하기에 충분하다. 이번에 사우디아라비아가 스마트 도입을 결정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국토 곳곳에 중소도시인 가 분산돼 있어 대형 ... ...
[출동! 명예기자] 민자연사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03
섞여 보라색이나 분홍색 같은 예쁜 색을 내기도 한답니다. 바위 수정은 이 석영이 특이할
정도
로 크게, 그리고 투명하게 자란 거였어요. 한편, 손톱보다 작은 광물도 눈에 띄었어요. 바로 다이아몬드라고 불리는 ‘금강석’이었지요. 금강석은 탄소 원자가 그물 형태를 이루고 있어요. 그래서 세상에 ... ...
보글보글 공기방울에서 전기 만들었다
2015.03.03
했기 때문에 발전량이 많지 않았지만 1L 규모에서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켤 수 있을
정도
의 전기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송 교수는 “연구를 계속 진행하면 5년 내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며 “바다 파도 위에서 작동하는 부이(부표)의 건전지를 우선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차세대 저전력 ‘스핀-오빗 메모리’ 개발
2015.03.03
MgO)과 백금(Pt), 산화실리콘(SiO2) 등을 쌓아 나노자석을 만든 뒤 이 나노자석이 산화되는
정도
를 조절해 구동전력을 절반 이하로 낮춘 차세대 스핀-오빗 메모리를 제작했다. 이번에 개발한 스핀-오빗 메모리는 기존 메모리와는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해 1나노초(ns) 이하에서도 구동이 가능하다.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없다는 유서를 남기고 결국 자살을 선택했다. 오늘날의 시각으로도 뻔뻔스럽다고 할
정도
로 간통을 즐기면서도 승승장구했던 과학자도 있고 미디어의 먹이가 돼 (아마도 억울하게) 간통혐의를 뒤집어쓰고 목숨까지 끊은 소심한 과학자도 있는 걸 보며 타인의 시선이나 평가에 너무 연연해서는 안 ... ...
[3D 프린터, 혁명을 출력하다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
과학동아
l
2015.03.02
있다.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한 이 같은 ‘세이빙 프로젝트(saving project)’는 이제 어느
정도
성과를 축적했다. 2015년에는 더 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예정이다. 5. PROCESS 새로운 출력 방식이 온다 최근 하버드대 제니퍼 루이스 교수팀이 전자제품을 한 번에 출력하는 3D 프린터를 개발했다. - ... ...
이전
1183
1184
1185
1186
1187
1188
1189
1190
1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