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사무용 컴퓨터제작으로 기업들의 개발방향이 재조정되었다.이 와중에 IBM과 유니백의
뒤
를 이어 다른 기업이 대형컴퓨터 연구에 뛰어들었다. CAD라는 약자로 알려진 콘트롤데이터였다. 몇년전 국내에서 떠들썩한 노사분규를 일으킨 바로 그 회사다.1957년에 세워진 CDC의 첫작품은 바로 트랜지스터를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산업혁명 이후 증기기관의 출현 등으로 크게 발전한다.토목에 관한 자연현상의
뒤
에 숨겨진 법칙을 탐구하고 그 성과를 토목구조들의 건설에 응용하기 위한 학문인 토목공학은 18세기 후반 학문으로 체계화됐다. 처음에 군사기술로 연구되던 토목공학은 산업혁명기에 영국으로 전해지면서 철도 ... ...
미국정부, 우주정거장 「프리덤」계획 조정안 승인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앞으로10년안에 이 영구적인 유인 우주정거장이 완성되도록 전념할 생각"이라고 밝힌
뒤
, 이 우주정거장이 궁극적으로 우주인을 화성에 상륙시키는데 '극히 중요한 과정'이며 '핵심적인 것'이라는 점을 역설해 미국정부가 프리덤 계획을 끝까지 추진할 것임을 시사했다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문제를 해결하는 컴퓨터를 만드는데 있다.컴퓨터분야에서도 일본의 기술은 IBM을 바짝
뒤
쫓는 수준이며 슈퍼컴퓨터를 놓고는 미국의 크레이사와 한치의 양보없는 혈전을 벌이고 있다.끝으로 한국과의 비교를 해 보자. 안타까운 얘기지만 우리와 일본의 기술격차는 너무도 현저해서 대부분의 ... ...
영국에 무공해세제 유해논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강조하고 있다.그러나 이들의 주장대로 무공해 세제의 세정력이 인산염을 쓴 재래식보다
뒤
떨어진다해도 시민들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은 더 나은 무공해세제이지 이들의 합성세제는 아닐 것이다. 환경문제는 이들이 생각하듯 결코 먼곳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 ...
3 의식구조를 통해 본 강점 약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통일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이론+기술'의 체계는 독일이나 미국에 비해 절대적으로
뒤
지고 있었다. 이러한 후진성을 자초한 배경에는 뜻밖에도 인간의 경험에 마지막 기대를 거는 그들의 근면사상이 도사리고 있었다. 이 점만 놓고 본다면 일본인의 근면정신은 과학사상을 위해서는 역기능한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것 같다. 73년 재미(在美) 한국과학기술자협회 부회장을 맡기도 했지만, "학회가 끝난
뒤
한인 물리학자들끼리 으레 중국음식점에서 갖는 회식자리에 이박사는 거의 참석하지 않았다"고 김제완교수(서울대, 물리학)는 회고했다. 한국인으로 그의 지도를 받았던 제자도 김주상교수 한사람 뿐이다 ... ...
노화보다는 질병이 뇌기능 퇴화 가져와 몸은 늙어도 두뇌는 젊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사실을 알아냈다.그의 연구팀은 늙은 쥐와 어린 쥐의 뇌 특정부위에 똑같이 손상을 입힌
뒤
그 회복과정을 관찰해 양자 모두에서 신경세포간의 새로운 망이 생겨나는 것을 알아냈다."우리는 모두 놀랐다. 사실 늙은 쥐의 경우 손상부위가 결코 회복될 수 없으리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코트만 박사의 ... ...
타임머신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백보를 양보해서 그런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낼 수 있는 기계가 있어 우주 전체의 사건을
뒤
로 돌릴 수 있을지 모르지만, 우주여행하는 사람을 제외한 부분만을 과거로 미래로 돌린다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우주 여행을 하고 있는 사람을 제외한 많은 사람들은 자기 뜻과는 관계없이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융통성을 더한다. 즉 학부과정은 세분화하지않고 기초가 되는 여러 강의를 섭렵하게 한
뒤
대학원과정에서 자신의 구체적인 진로를 설정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학과 공학의 분리는 말할 것도 없고 우리만큼 세분화된 과도 없다. 존 바딘과 같은 인물이 탄생할 수 있었던 것도 '어느 학과 ... ...
이전
1184
1185
1186
1187
1188
1189
1190
1191
1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