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율
정도
비
부분
푼수
분수
계수
d라이브러리
"
비율
"(으)로 총 2,087건 검색되었습니다.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10
바뀐다.태양은 수십억년 동안 이런 핵융합을 통해 3.9×${10}^{26}$W(와트, 시간당 에너지)의
비율
로 에너지를 만들어내고 있다. 고작 ${10}^{-4}$초만에 현재의 전세계 연간 소비 에너지량(약 ${10}^{17}$Wh)을 뿜어내는 것이다. 핵융합 원료 1g은 석탄 1t으로 얻을 수 있는 에너지와 같다. 만약 태양이 석탄과 ... ...
우주에 있는 거대한 '고양이 눈'
과학동아
l
200410
실제 고양이의 눈은 어떨까. 사람 눈과 여러모로 다르다. 먼저 눈이 얼굴에서 차지하는
비율
이 더 크고 수정체가 훨씬 앞으로 튀어나와 있어 빛을 더 많이 모을 수 있다. 또 카메라의 조리개 역할을 하는 홍채는 더 많이 줄었다 늘어날 수 있다. 깜깜한 밤에는 동공(눈동자)도 훨씬 크게 열려 빛을 많이 ... ...
① 천재선수,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09
몸무게가 같을 경우 여성은 남성에 비해 체지방
비율
이 더 높습니다. 힘을 내는 근육의
비율
이 낮다는 얘기죠.”이대택 교수의 설명이다. 근육 자체만 떼어놓고 보면 남녀차이가 없겠지만 체형과 몸의 조성이 힘을 내는데 불리하다는 것이다. 남녀의 몸이 이처럼 서로 다르게 만들어진 원인은 호르몬 ... ...
균열 스스로 진단하는 똑똑한 콘크리트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09
만들 때는 물렁물렁한 반죽 같다가 한달 정도 지나면 거의 굳어져요. 어떤 재료를 어떤
비율
로 섞을지 계획할 때부터 다 굳어질 때까지 어떤 상태에 있었느냐에 따라 구조물을 만든 후 얼마나 균열이 생길지가 결정됩니다.”콘크리트 연구실을 이끄는 김진근 교수의 설명이다. 사람의 세살 버릇이 ... ...
열역학이 밝혀낸 다이어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09
하는 일로 바뀌는
비율
은 탄수화물이 더 높다. 명목상 같은 칼로리를 섭취해도 단백질의
비율
이 높을수록 몸이 쓸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이 줄어드는 것이다. 실제 이들의 이론을 뒷받침하는 연구결과들이 다수 나와있다. 지난해 행해졌던 한 임상시험 결과를 보면 하루 1천8백kcal를 섭취하는 ... ...
전신수영복의 원리
과학동아
l
200409
진동전위차를 발생하는 현상 용매 입자의 진동에 따라 양이온과 음이온이 움직이는
비율
이 달라서 생기며 1933년에 P 데바이가 예상했으나 발생 전위차가 작아 확정적인 실험은 1948년에 처음으로 성공했다콜로이드 전해질에서 생기는 진동전위는 이온확산층의 변화에 기인하고 훨씬 크다인도의 ... ...
30년만에 등장한 수성탐사선 메신저
과학동아
l
200409
반응 다리걸친고분자 속의 다리걸침하고 있는 구조단위수의 전체구조단위수에 대한
비율
지도투영도법(地圖投影圖法)의 하나 다면체도법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엽에 걸쳐 각국의 지형도(地形圖)에 많이 이용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예전의 5만분의 1 지도는 이 투영법에 따르고 있었는데, ... ...
여자 양궁 선수의 첨단 장비
과학동아
l
200409
얻는 에너지의 증가
비율
이 전도전자와 결정격자의 충돌에 의한 전자의 에너지 감소
비율
을 넘어, 전도전자군의 온도가 결정격자의 온도보다 높아지는데, 이 상태를 W 쇼클리는 뜨거운 전자라고 불렀다비교적 좁은 범위에 밀집한 선구조를 가진 스펙트럼 분리능이 작은 분광기에서는 선구조가 ... ...
4. 사이버 공간에서도 언어는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409
음성 의미처럼 만들 수 있었다.최근 인터넷 언어가 널리 확산되면서 품사의 사용
비율
이 달라지는 등 언어 사용방식에 변화가 생겼다. 최근 중앙대 심리학과에서 실시한 한 연구에 따르면 인터넷 언어는 일상 언어에 비해 명사의 사용 빈도가 12% 줄어든 대신 대명사의 사용 횟수는 7% 늘어난 것으로 ... ...
달에 얽힌 10가지 진실
과학동아
l
200409
대개 반지름이 모행성의 수십분의 일 이하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모행성 대비 위성의
비율
이 2번째로 큰 목성의 위성도 목성의 1/8밖에 되지 않는다. 그런데 달은 지구 크기의 1/4이나 된다.달의 궤도도 미심쩍다. 달이 만약 지구 중력장의 영향을 받는다면 타원형 궤도로 지구 주위를 돌아야 하는데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