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ISS로 간 식중독균, 우주 생활 적응 중과학동아 l2019년 02호
- ISS·사진)에서 미생물은 어떤 변화를 겪을까. 에리카 하트만 미국 노스웨스턴대 도시환경공학부 교수팀은 식중독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과 바실러스 세레우스균이 ISS에서 어떤 유전적 변화를 겪는지 조사했다. 연구팀은 우주비행사와 ISS에 있던 화물에서 두 종의 박테리아를 수집해 유전자를 ... ...
- [이달의 PICK] 귤, 붕어빵, 군고구마...겨울 간식 3대 천왕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국내 최고의 ‘고구마 박사’로 불리는 곽상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시스템공학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영화 ‘마션’의 주인공은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해 감자를 재배하지만, 감독이 고구마를 알았더라면 감자가 아닌 고구마를 키웠을 것”이라며 “고구마는 21세기 식량 위기의 ... ...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없다. doi:10.1002/adma.201701814 국내에서도 인공 홍채가 개발됐다. 이신두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형 인공 홍채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스’ 2013년 1월 1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doi:10.1016/j.biomaterials.2013.01.020 이 교수팀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우연이 만든 혁명 유기 태양전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2~30%만 흡수할 정도로 전기 생산 효율(2~3%)이 낮았습니다. 필자가 속한 UNIST 에너지공학과 연구팀은 태양광의 사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2009년부터 다양한 고분자 유기물을 합성해왔습니다. 최근 태양광 흡수율이 높은(7~80%) 고분자 유기물을 개발해 전기 생산효율이 12%로 높은 태양전지를 ... ...
- [수학뉴스] 2월의 수학자 - 로그를 발명한 존 네이피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이를 기준으로 자릿수를 구분하게 만들었죠. 자연로그나 로그는 수학은 물론 과학과 공학, 경제학에서도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건강 문제로 로그표를 완성하지 못한 네이피어가 이 사실을 알면 무척 좋아하겠죠 ... ...
- 새로운 도형이 나타났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천체 물리학을 공부한 요하네스 쇤케입니다. 캘리포니아공과대학에서 응용 수학 및 기계공학을 전공한 엘리엇 프라이드 교수와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을 설계했죠. 저희 팀은 다양한 분야의 지식으로 문제를 해결해 실생활에 쓸 수 있는 기술을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Q 이 연구는 어떻게 ... ...
- Part 2. 수학으로 꾸민 아름다운 공간 ‘벽지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인테리어에서 가장 고민한 부분은 바로 벽지야. 벌써부터 내 방 벽지가 실제 어떤 모습일지 정말 궁금한 거 있지? 수학적으로 고른 무늬거든! 벽지를 수학적으로 골랐다니 무슨 뚱딴지같은 말이냐고? 수학자들은 평면을 채울 수 있는 반복 무늬가 대칭성을 기준으로 17가지로 나뉜다는 것을 알아 ... ...
- Part 3. 세기의 난제 ‘짐 쌓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분배할 때도 상자 채우기 문제를 적용할 수 있어요. 이상운 강릉원주대학교 멀티미디어공학과 교수는 “여러 개의 중앙처리장치(CPU)를 이용한 컴퓨터 계산을 할 때도 작업 일정을 분배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 ...
- [오일러 프로젝트] 길 찾기 달인 모여라! 경로 찾기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이론 경로 찾기 문제에서 출발한 그래프 이론은 현재 수학뿐 아니라 다양한 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응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분야가 통신 네트워크와 반도체 회로 설계다. 스마트폰 같은 무선 이동통신을 이용하려면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를 전국 곳곳에 설치해야 하는데, 통신사 ... ...
- [과학뉴스] ‘인사이트’ , 화성의 소리를 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변환한 것이다. 인사이트의 센서를 설계한 톰 파이크 영국 임페리얼칼리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인사이트가 태양전지판이 만드는 진동과 대기의 진동을 마치 커다란 귀처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인사이트는 ‘셀피’도 찍었다. 로봇팔이 전체 모습을 한 장에 담기에는 길이가 짧아, 1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