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d라이브러리
"
김
"(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돔구장은 홈런공장?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정말 돔구장 덕에 홈런을 쳤을까?바람이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티이솔루션의
김
윤석 박사에 따르면 돔구장에는 홈런을 돕는 공기역학적인 ‘힘’이 존재한다. 그 힘은 돔구장의 상승기류다. 구장 안의 뜨거워진 공기는 대류현상으로 상승하고 천장의 환기시설은 이를 빨아들여 외부로 ... ...
로봇과 스피커, 종이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수 있다”며 학생들을 격려한다.‘전기종이’ 연구를 시작한지 올해로 정확히 10년째.
김
단장은 “지난 10년보다 앞으로 10년이 더 기대된다”며 “세계에서 최초로 ‘마법 종이’를 꼭 개발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제목을 달았다.눈치도 거울뉴런의 작품엄마와 아이가 식탁을 놓고 나란히 앉아있다.
김
이 모락모락 나는 스프가 나오자 엄마는 한 스푼 떠서 ‘후후’ 입으로 불어 식힌다. 그리고 아이를 한번 보고 난 뒤 스푼을 자기 입으로 가져간다. ‘뭐 저런 엄마가 있어?’ 정겨운 눈빛으로 모자를 지켜보던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우린 만나 노래를 불렀고 지금은 손잡고 함께 노래방 가는 사이가 됐다. 결투의 결과는
김
교수를 생각해 비밀로…(웃음).3. 가장 좋아하는 미발표곡을 소개해 달라. 혹시 자신의 노래를 주고 싶은 가수가 있다면?미발표곡 가운데 친구의 죽음을 떠올리며 만든 ‘그대를 생각하면 눈물이 난다’라는 ... ...
남극 녹아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지구온난화로 해마다 남극의 얼음이 녹으며 10년 동안 평균 75%가 사라졌다. 최근 국제저널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2006년 빙하가 녹으면서 바다로 배출한 물의 양은 1920억 톤에 이른다. 물 속에 있는 콜로이드상태 또는 가는 입자상태 현탁질에 흡수되어 입자 표면의 전하를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100여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연방 대법원이 사형 집행을 할 때 쓰는 주사제를 금지할 것인지 고민 중이다. 일명 '죽음의 칵테일'로 불리는 사형용 주사제가 사형수에게 극도의 고통을 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것이 계기다 염료분자와 크롬 등 금속이온이 착염의 형태로 결합된 가용성(可溶性) ... ...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이러한 방법으로 몸 안의 구석구석을 잘라보듯 환자를 진료할 수 있다.서울대 의대
김
세형 교수는 “병원 현장에 3차원 영상장비가 도입된 뒤 진료가 쉽고 정확해졌다”고 말하면서 “대장을 2차원으로 촬영하면 대장이 서로 겹쳐 진단을 내리기 힘들었는데, 3차원 영상은 대장을 입체로 보여줘 ... ...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만리포 오염현장에서 채집한 대기시료를 분석하자 탄화수소의 양이 거의 0에 가까웠다.
김
교수는 “거센 바람 탓에 확산이 일어나며 기름의 냄새를 이루는 물질이 모두 날아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겨울 바다에 밀려온 검은 재앙 태안 원유 유출 사고 PART 1 태안의 ... ...
과학동아 1월호 특별선물 액정온도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졸음신’이 내리는 이유를 곧 알게 됐다.
김
군의 공부방 온도가 지나치게 높았던 것.
김
군은 이 사실도 모른 채 자신의 의지만 탓하며 졸음과 싸웠던 셈이다. 액정온도계 색깔의 비밀 온도는 집중력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너무 추우면 근육이 경직돼 어깨에 힘이 들어가고 너무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지구가 혜성이 남긴 잔해더미를 통과할 때 다채로운 색을 자랑하는 쌍둥이자리 유성우처럼 해마다 유성우가 내린다. 모래알 크기의 작은 파편들은 대부분 별똥별로 대기권에서 타면서 사라지는 반면 일부 큰 파편들은 땅에 충돌해 운석으로 발견된다. 세균을 세는 단위로 1ml당 세포 또는 균주가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