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탕"(으)로 총 3,303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성은 과거에 붉지 않았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장치는 케민(CheMin)과 샘(SAM). 케민은 엑스선회절장치로 시료에 엑스선을 쏴 회절무늬를 바탕으로 결정 구조를 알아낸다. 화성의 흙을 분석한 결과 과학자들은 장석, 휘석, 감람석과 같은 몇몇 광물을 찾아냈다. 이는 하와이 화산지대에 있는 현무암질 흙과 비슷하다. 샘은 화성의 대기나 시료에 있는 ... ...
- [4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일괄적으로 흘러 나온 이야기가 있다. “팀 버튼의 많은 작품은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행동한다는 그 만의 사상에서 모티브를 얻었습니다.” 그런데 진정 이것이 ‘그’ 만의 사상일까?존 B. 왓슨을 필두로 제1·2차 세계대전 사이에 심리학 이론을 지배했던 매우 영향력 있는 심리학파가 ... ...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사실이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있는 셈이다. 사자촌충, 인류 역사 새로 밝힐까이를 바탕으로 어떤 연구를 할 수 있을까. 인류 진화와 이주와 관련이 있을지도 모른다. 아시아 일부와 아프리카, 아메리카의 아시아촌충과 민촌충 연구 결과를 보면 의심스러운 부분이 많이 있다.예를 들어, 몽골이나 ... ...
- 개성 만점 로봇 3인방 더 자이언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거야? 진짜 불편한 건 나라고! 나는 바퀴 두 개로 움직이는 용감한 로봇 전사 무무야. 한 바탕 전쟁이 일어나고 눈을 떠 보니 내 꼬리가 저 거대한 녀석에게 걸려서 빠지지 않지 뭐야. 어디서 뭘 하든 저 녀석과 함께 움직여야 해서 여간 불편한게 아니라고~. 내가 어떤 수를 써서라도 반드시 이 꼬리를 ... ...
- 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다중 언어 계약서, 개인·도서관·출판사·작가·학술 자료 등에서 나오는 모든 문서가 바탕이 된다. 이미 사람들이 번역해 놓은 문서를 통해 해당 어휘들이 어떻게 번역됐는지 데이터베이스로 만들고 그 토대 위에 기계적, 수학적 메커니즘으로 구글 번역이 이뤄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쌍을 이루는 ... ...
- 부모님과 함께 보는 2013년 교과서가 바뀐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과학책을 읽는 게 좋아요.예비 중학교 1학년이라면중학교 과학은 초등학교 과학 내용이 바탕이기 때문에 기초가 부족하면 어려울 수 있어요. 초등 과학교과서를 복습해 자신감을 키우세요. 또 과학책이나 잡지, 사이트를 이용하면 장기적으로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답니다 ... ...
- 과학도 풀지 못한 미스터리 조각, 흑피옥과학동아 l2013년 03호
- 피복에서 23종 이상의 광물이 검출됐으며, 작품마다 각기 다른 원소가 포함됐다. 이를 바탕으로 판단해 보면, 누군가 한꺼번에 일부러 만든 위작 같지는 않다. 흑피 안에 탄산칼슘과 탄산염이 많아, 기존의 탄소연대측정 결과는 실제보다 과장됐을 가능성이 높다. 즉 1만 4300년 전보다는 가까운 ... ...
- 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그러나 현재 리사는 예산 문제로 당분간 실행이 불투명하다. NASA와 ESA는 현재 리사를 바탕으로 규모를 축소한 우주 중력파검출기를 계획하고 있다. 카미오카 광산에 ‘카그라(KAGRA)’라는 중력파검출기를 건설하고 있는 일본도 2027년 발사를 목표로 우주 중력파검출기 ‘데시고(DECIGO)’를 준비하고 ... ...
- 빙하가 숨겨 놓은 얼음 세계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움직인다. 따라서 그 순간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건 그 순간뿐이다. 숀은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얼음 동굴 내부의 모습을 사진에 담았다. 차이점이라면 플래시와 함께 햇빛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햇빛은 얼음을 뚫고 동굴 속까지 들어오기 때문이다. 숀은 “강추위 속에서 카메라를 제대로 ...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달로 날아갔다. 중성자분광기는 수소 원자핵에 흡수되는 중성자의 양을 관측한다. 이를 바탕으로 수소의 양을 계산하는 것이다. 루나 프로스펙터는 달의 북극과 남극에서 대량의 수소를 발견했다. 수소가 많다면 물이 있을 가능성도 높다. 하지만 그 정도로는 아직 확신할 수 없다.2000년대 들어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