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d라이브러리
"
발전
"(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PICK] 삼겹살 기름으로 화력
발전
? 석유 대신할 바이오중유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한국중부
발전
제주
발전
본부는 국내 최초로 바이오중유를 연료로 사용한 화력
발전
소입니다.” 김형원 한국중부
발전
제주
발전
본부
발전
운 ... LNG를 포함해 전체 연료를 청정연료로 쓰게 된다. 김 차장은 “우선 6000시간 동안
발전
에 사용해보고 효과가 있으면 적용할 계획”이라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있었는데, 재료공학부가 응용분야가 넓은 것 같아 지원을 결심했다. 박 씨는 지역균형 선
발전
형 지원자임에도 내신 성적이 썩 좋지는 않았다. 그는 “거의 1등급만 있는 친구들에 비해 국어와 영어는 3등급도 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그가 지역균형 지원자로 합격할 수 있었던 비결은 다양한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달의 남극이 고해상도 카메라에 생생하게 담겼다. 1990년대 소형 이미지 센서 기술 등이
발전
하면서 달 탐사는 다시 탄력을 받았다. NASA는 1994년 1월 25일 탐사위성 ‘클레멘타인(Clementine)’을 쏘아 올려 달의 남극을 포함한 달 표면 전체의 이미지를 획득했다. 클레멘타인은 70여 일 동안 달 궤도에 ... ...
[Tech] 프로펠러 없이 하늘 난 비행기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시작 필자는 이 추진 시스템이 얼마나 효율적이고 강력한 지에 대한 세부 정보들을
발전
시키며 실제 환경에서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 지 계속 연구하고 있다. 우리 연구팀은 전기 기술자와 협력해 이온풍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수 만V의 전력을 변환할 수 있는 전력 변환기를 개발했다. 이 전력 ... ...
[SW 진로 체험] AI가 있는 곳에 수학이 있다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가장 가까운 값을 구하는 분야지요. 제가 박사과정을 밟을 때 쯤 인공지능이 엄청나게
발전
하면서 놀라운 결과들을 보여줬어요. 사람이 하는 행동 중 ‘걷기’처럼 반사적인 행동을 알고리듬으로 나타내기 어려운데, 인공지능을 이용하면 이런 행동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 ... ...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 내용은?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학생에게 가산점을 부여하는 등의 방안을 활용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고, 학생들의
발전
을 도모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 때문에 지속적인 대학의 선발 기준 등을 살펴보며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 학생부 기재방안 변화-수상경력 한 학기에 1개, 총 6개로 제한-자율동아리 학년당 ... ...
[통합과학 교과서] 수호와 채윤이의 마지막 미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위해 넘어야 할 장애물이 많아요. 그래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가 핵융합
발전
을 연구하기 위한 ‘국제열핵융합실험로(ITER)’를 프랑스에 짓고 있어요. 2025년 첫 플라스마 발생을 목표로 하고 있답니다. ● 스토리 수호와 채윤이가 정신을 차린 곳은 이모네 집 거실이었어요. 이모가 ... ...
Part 2. 열기구에서 이온비행기까지, 비행기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배기가스를 만들지 않기 때문에 매우 친환경적이며 소음도 없다”며 “앞으로 기술이 더
발전
하면 사람이 타는 이온풍 비행기도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어요 ... ...
Part 5. 하늘에 교통체증이? 정리가 필요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115년이라는 시간 동안 비행기가 이렇게 많이
발전
하다니, 정말 놀라워. 미래의 비행기가 다니는 하늘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친구들도 함께 상상해 보자고 ... ...
[가상인터뷰] 나방의 생존 전략은 ‘스텔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3호
전부터 박쥐의 수색에 대비해왔어. 박쥐의 초음파를 미리 알아채고 수많은 방어 전략을
발전
시켰지. 그중 하나는 최대한 박쥐의 초음파를 흡수하는 거야. 초음파의 반사를 줄여서 박쥐에게 되돌아가지 않도록 말이야. 일리 : 초음파를 흡수한다고? 나방 : 우리 몸에는 털이 나 있어. 이 털이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