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질문"(으)로 총 3,138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발견에 참여했다. 위대한 발견에 필요한 핵심 요소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어려운 질문이지만, 호기심과 창의성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싶다. 그리고 인내력이 있어야 하고, 겸손해야 한다. 무엇보다 마음을 단단히 먹어야 한다. 위험을 감수하는 용기를 가져야 한다.입자물리학에 관심이 많은 ...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DNA의 역할이 크다는 반증일 것이다. 하지만 ‘언제나’ DNA가 답이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좀 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 무턱대고 ‘DNA 검사만 하면 되는 것 아니냐’고 말하는 것은 결코 과학적이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미국의 경제학자 레너드 리드는 1958년 ‘나는 연필입니다(I, Pencil)’라는 논문을 썼다. 원료를 제공하는 곳과 생산수단이 따로 흩어져 있기 때문에 연필이라는 지극히 단순한 ... 큰 영향을 끼친 건 내 안의 호기심이었다”고 말하는 그는, 과연 인류의 과학문명에 또 어떤 질문을 던질까 ... ...
-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방법을 고민하고 있었다. 냄새에 대한 연구를 할 때 주로 실험 참가자가 냄새를 맡고 질문에 응답하는 방식을 써 왔는데, 개인차가 크고 실험 대상의 국적에 따른 문화적 차이도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객관적인 지표인 뇌파를 쓰고 싶었지만 뇌파에는 잡음이 많이 섞여 있어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주지요.”원더랩에서 연구를 하려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묻는 조현규 기자의 질문에 교수님은 창의력이라고 말씀하셨어요.“즐거움은 사람들이 해 보지 못한 체험을 할 때 나오기 때문에 새로운 것을 만드는 창의력은 굉장히 중요해요. 생활 속의 많은 사물들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이 ... ...
- [특별 이벤트] 수학자를 이겨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독자들은 교수님과 식사를 하며 꿈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그동안 궁금했던 점들도 질문했어요. 식사를 마친 뒤에도 한참 동안이나 이야기꽃을 피우다가 아쉬움을 뒤로 한 채 혜화역으로 향했어요. 마지막 기념사진을 남기는 것도 잊지 않았지요.김종락 교수는 “만약 혼자서 했다면 중도에 ...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사실을 알게 된 오늘날뿐만 아니라, 아주 오래 전부터 인류가 끊임없이 가져온 질문이다. 수많은 종교나 신화의 창조설화가 결국 인간이 어떤 존재인가를 설명하기 위해 있는 것처럼, 인류는 결국 우리 자신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외계생명체 혹은 외계인에 호기심을 갖는다.그러나 정작 외계인에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메이나드 스미스는 ‘혈연 선택’ 이론에 자신이 어느 정도 지분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질문을 받았다. 그는 손을 내저었다. “아니요. 나는 그냥 이름을 제안했을 뿐입니다. 해밀턴의 업적에 난 어떤 지분도 없어요. 난 윈-에드워즈에 대한 비평이 해밀턴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소개하는 좋은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후손을 만들면… 결국은 전쟁으로 자멸하고 만다는 결론이 나왔어요.”니샤는 질문을 하는 대신 손가락을 들어 자신을 가리켰다. 그게 우리인가요? 윤환은 보이지 않을 만큼 살짝 고개를 끄덕였다.“우리 종족은 지구식으로 표현하자면 불간섭주의에 가까워요. 거대 운석이나 혜성과 충돌하게 돼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2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포스터 만들기 프로젝트중학교 3학년 학생들은 무엇을 궁금해 할까? 학급별 모임 앱에 질문을 던져 학생들이 스스로 통계 주제를 정할 수 있도록 했다. 프로젝트는 총 4차례 수업에 걸쳐 진행하는데, 첫 수업에서는 모둠별로 통계 주제와 모둠원 각자가 맡을 역할을 정한다. 두 번째 수업에서는 미리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