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뉴스
"
관여
"(으)로 총 1,625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만과 지방간 ‘유전적 치료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7.10.06
오히려 간의 지방 대사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로 비만 조절에
관여
하는 대사 과정이 확인된 셈이다. 백 교수는 “RORα 수용체를 조절하면 비만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전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doi:10.1038/s41467-017-00215- ... ...
추석 남는 과일, 맛있게 먹는 방법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0.06
딴 뒤 숙성 기간을 갖는 후숙 과일이다. 핵심은 ‘에틸렌’. 과일을 노화(?)시키는데
관여
하는 물질로 덜 익은 과일을 익게 만든다. 에틸렌의 영향으로 과일에 있던 전분이 당으로 바뀌며 점점 달아지게 된다. 감도 마찬가지. 감, 토마토 귤 모두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달아지는 후숙 과일이다. ... ...
습관 좌우하는 중간뉴런 첫 확인
과학동아
l
2017.10.05
카라코스 교수는 “이 뉴런은 중독과 같은 인간의 위험한 습관을 치료하는 데에도
관여
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이라이프’ 9월 5일자에 발표됐다. doi:10.7554/eLife.2623 ... ...
귀성길 귀경길 교통 체증 때 졸린 이유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02
빛으로 신경 세포를 조절할 수 있는 실험용 쥐를 만들었다. 특별히 동기부여나 즐거움에
관여
하는 뇌 부위(측위신경핵)의 신경세포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들었다. 즐거운 활동을 할 때면 이 곳의 신경 세포가 활발하게 반응한다. 연구 결과 신경 세포가 반응을 하지 않도록 조절한 쥐는 평범한 쥐와 ... ...
시판 일회용 생리대 10종 재료 분석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
과학동아
l
2017.10.02
황체호르몬과, 생리통을 심하게 만드는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호르몬의 대사에
관여
한다. 조 교수는 “화학물질의 생식독성은 연구가 아직 많이 되지 않은 분야”라며 “피해자 역학조사를 통해 문제를 풀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사이언스 팩트체크] 주변에 동성애자 있으면 동성애자 늘어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5
이성애자의 뇌 구조 차이에 주목한 연구가 대표적이다. 성호르몬을 방출하는 데
관여
하는 시상하부의 특정 부위가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1991년 ‘사이언스’에 발표됐다. 사이먼 르베이 미국 솔크연구소 교수는 여성과 이성애자 남성, 그리고 동성애자 남성을 대상으로 시상하부 중 INAH라고 불리는 ... ...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꾼 파란 꽃
과학동아
l
2017.09.23
줄어들기 때문이다. 반면 온도가 낮아지면 색이 진해진다. 이는 안토시아닌의 합성에
관여
하는 유전자의 발현과 관련이 있다. 온도가 높으면 유전자 발현이 덜 되고, 결국 안토시아닌의 양이 줄어 색이 밝고 옅어지게 된다. 빛의 양을 다르게 한 작약(P. Lactiflora). 햇빛에 노출된 작약이 더 진하다. ... ...
난임 문제 해결할까...배아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유전자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7.09.21
“OCT4 외 다른 유전자도 하나씩 멈춰가며 작동 과정을 확인한다면 생명 탄생에
관여
하는 모든 유전자의 역할을 완벽히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외국어 마스터의 비결, 새는 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9
매우 복잡한 근육을 정확한 타이밍에 맞춰 움직여야 한다. 감각 및 운동 신경이 다
관여
한다는 뜻이다. 노래 패턴을 보면 새는 낮에만 노래하고 밤에는 노래하지 않는다. 이것을 밤에 새가 (노래에 관한) 기억을 저장한다고 보기도 한다. 아직은 가설이다. Q. 인간도 비슷한가? 뇌에서 벌어지는 ... ...
찬 바람만 불면 훌쩍, 만성 알레르기성 질환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7
제압할 수 있도록 돕는다. 문제는 수명이 긴 기억 T세포가 알레르기성 면역 반응에도
관여
한다는 것. 정 교수팀은 알레르기 물질에 노출되지 않았는데도 기억 T세포가 자가 증식한 뒤 폐로 이동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동한 기억 T세포는 심각한 염증 반응을 일으켜 알레르기를 재발시키거나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