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주최"(으)로 총 1,31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형 무인선박 기술, MIT 이어 세계대회 2위 등극2014.12.07
- 4일 대전 갑천변에서 시연행사를 진행해 이 같은 사실을 공개했다. 이번 대회는 각 팀이 주최국으로부터 경기용 선박을 한 대씩 지급받은 뒤 제어 소프트웨어만 개발해 참여하는 방식이어서 공정한 경기가 가능했다. 항로인식운항, 수중음원탐색, 부두자동접안, 부표원격관측, 수상장애물 인식 및 ... ...
- ‘전국학생극지논술공모전’ 대상에 금재찬 군2014.12.05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한국극지연구진흥회가 주최하고 동아사이언스가 주관하는 ‘제5회 전국학생극지논술공모전’ 수상자가 발표됐다. 상금 200만 원이 주어지는 대상(해양수산부 장관상)은 금재찬(전주 상산고 1학년) 군에게 돌아갔다. ‘뜨거운 북극에 데지 않기 위하여’란 제목으로 ... ...
- [신나는 공부]국제협력 프로그램으로 과학영재 양성동아일보 l2014.12.02
- 전문가회의 최근 아세안(ASEAN)+3 사무국,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최하고 (사)국제과학영재학회가 주관한 ‘제8회 아세안+3 과학영재센터(이하 ACGS)’ 전문가회의가 경남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2007년 설립된 ACGS는 과학영재교육을 활성하기 위해 과학영재분야 인재양성 ... ...
- [제주]“제주를 전기車 허브로”…동아일보 l2014.11.19
-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회 신재생에너지정책연구포럼, 제주도가 공동 주최한다. 이 엑스포에는 르노삼성 기아 BMW 닛산 쉐보레 등 국내외 업체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다양한 전기차종을 전시하고 LG전자, 삼성SDI, 충전 인프라업체, 관련 부품업체, 연구기관들도 참여한다. 김대환 ... ...
- 이런 스마트한 밀대 보셨나요?2014.11.12
- 개발됐다. KAIST는 소속 학생들이 개발한 ‘스마트 밀대걸레’가 미국컴퓨터협회(ACM) 주최로 지난달 4~8일 하와이에서 열린 ‘제27회 사용자환경 소프트웨어와 기술(UIST) 학생혁신콘테스트’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밀대걸레는 KAIST 산업디자인학과 석사과정을 밟고 있는 ... ...
- 우리가 정말 행복했을까?2014.11.10
- 생각이 들었다. ●뇌가 지쳤을 때는 멍 때리기가 해결책? 지난 10월 27일 서울시에서 주최한 ‘멍 때리기’ 대회가 화제라고 한다. 한 시간 반 동안 가장 잘 멍하니 앉아있는 사람을 뽑는 대회라는데 놀랍게도 아홉 살짜리 여자아이가 1등을 했다. 한 신문에서는 이 사실을 크게 다루면서 멍 ... ...
- 매주 토요일, 우리는 멘토 만나러 간다2014.10.19
- 익히고, 세포를 관찰했다. 이곳은 로레알코리아와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2014 사이언스 오픈랩’ 현장이다. 숙명여대 공동기기실에서 세포의 전사 활성을 측정하는 실험이 진행 중이다. - 신선미 기자 vamie@donga.com 제공 사이언스 오픈랩은 여고생이 생명과학 분야 연구실을 ... ...
- [2014 국정감사]과학문화 확산 사업, 수도권에 편중2014.10.17
- 이재영 의원(새누리당)은 보도자료를 통해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최한 ‘대학민국 과학축전’이 2000년 이후 수도권에서 10번 열릴 동안 지방에서는 불과 5번 열리는 데 그쳤다고 17일 밝혔다. 이 의원실이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축전이 수도권에서 열릴 때는 관람 인원이 평균 19만3000명이었지만 ... ...
- '2014 청심ACG역사‧수학대회' 시상제 개최동아사이언스 l2014.10.13
- 김채린/청심국제중, 최세훈/살레시오중)에게 돌아갔다. 청심의 교육브랜드 ACG에듀가 주최하고 청심국제중고등학교와 청심국제교육연구소가 주관한 '2014 청심ACG역사‧수학대회'는 각각 8월 24일과 31일 경기도 가평군에 위치한 청심국제중고등학교에서 치러졌다. 대회 본선은 초‧중등부별 학년 ... ...
- [2014 노벨 과학상-인연] 존 오키프 교수와 나2014.10.08
- 조직망, 공간의 재현과 기억(neural networks, place representation and memory)’이라는 워크숍을 주최하면서 당시 세계적으로도 그 수가 많지 않은 장소세포와 격자세포 관련 연구자들을 노르웨이 최북단의 스발바르드라는 섬에 초청했다. 당시 나는 오키프 교수는 물론, 노벨상 수상자인 토네가와 교수 등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