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어린이과학동아
"
연구
"(으)로 총 13,032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자연이 빚은 아름다운 광물이 가득! 민자연사
연구
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227
쉿! 조용히 들어 보세요~! 어디서 반짝거리는 별 가루가 떨어지는 소리가 나지 않나요? 어두컴컴한 공간 안쪽으로 눈을 돌리니 눈부신 광채가 보여요. 대체 무엇이 있는 것일까요? [본 기사는 아래 PDF보기 또는 '명예기자'코너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말린 과일이나 과일 주스는 치아를 부식 식힌다
기사
l
20150227
소개 했다 먼저 오렌지.레몬 등 감귤류가 치아 건강을 망치는 음식으로 뽑혔다.2011년 '영국영양학 채널'에는 자몽주스가 콜라만큼 부식성이 강하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감귤류를 과다 첩취하거나 즙을 많이 마시면산 성분으로 인해 치아의 맨 바깥층인 에나멜(법량질)이 부식될 수 있다.감귤류를 섭취한 후 20분 이내에 양치질을 하는 게 좋다.말린 과 ...
바다 속에서 올린 선물 목포 해양 문화재
연구
소 취재기
기사
l
20150226
바다 속에서 올린 선물 여러분은 해양문화재를 아나요? 궁금하면 국립 해양문화재
연구
소에 가 보는 건 어떨까요? 바다 속 에서 숨쉬던 배와 유물이 잘 보존 되어 있어요. 아참! 이번에 어린이 체험관도 새로 생겼어요. 이제 우리를 안내해 줄 배를 타고 역사 속 ... 한구석으론 사랑 또 다른 구석으론 지혜를 만들어주는 해양문화재
연구 ...
한국과학의 미래, ETRI
기사
l
20150225
500여명의
연구
원들이 근무에고 그 중 다수가 석사와 박사라고 한다.ETRI는 한국 과학의 발전의 주역이라고도 할 수있다. 지금도 수많은
연구
원들이 여러분야에서 열심히
연구
,개발하고 있다.기자단이 다녀온 ETRI 정보통신전시관에는 그동안 ETRI가 개발한 여러 기술과 작품들이 전시되어있었다.IPTV를 통한 원격용 의료서 ...
섭섭박사의 신나는 기자교육! 기자교육에서 배웠던 일과 있었던 일들
기사
l
20150225
되었다. 첫 순서는 특별 순서인 '섭섭박사 탄생의 비밀!'이다. 섭섭박사 자칭에 의하면 섭섭박사는 16차원에서 오신 16차원 유일의 과학
연구
원이다. 하지만 과학 외에 부문에서는 섭섭할 정도로 못한다고 해서 섭섭박사라고 붙여졌다고 한다. 하지만! 솔이의 신나는 과학교실에서는 솔이가 "어떻게 저를 섭섭하게 하실 수가 있으세요?"하고 묻자 섭섭박사 ...
오늘 한국과학기술
연구
원 취재나오신 이윤선기자님 맨발투혼중인 사진이예요~~ 대단하신 기자님~
포스팅
l
20150225
오늘 한국과학기술
연구
원 취재나오신 이윤선기자님 맨발투혼중인 사진이예요~~ 대단하신 기자님~ ~ ...
오늘 한국과학기술
연구
원 취재하러 서울왔어요~~월곡역에서 동생과함께...찰칵
포스팅
l
20150225
오늘 한국과학기술
연구
원 취재하러 서울왔어요~~월곡역에서 동생과함께...찰칵 ...
저는 지금 ktx 타고 한국과학기술
연구
원으로 취재하러 갑니다~~
포스팅
l
20150225
저는 지금 ktx 타고 한국과학기술
연구
원으로 취재하러 갑니다~~ ...
세상을 바꾼 발명품 세탁기 세탁기의 발명
기사
l
20150223
“전기 모터에 손을 대면 감전 사고도 일어날 수 있겠는 걸. 보다 안전한 세탁기가 필요해.”캐나다의 비티 브라더스란 회사의
연구
원들은 즉시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모터를 금속 틀로 감싸고, 세탁통 중앙의 날개가 빨랫감을 휘젖는 구조의 세탁기가 탄생했습니다.우리나라 최초의 세탁기는 금성사(LG의 옛 이름)가 ...
위대한 우리 유산 한글! 한글의 역사
기사
l
20150214
찾을 수 있는 모양의 자음과 모음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더 나은 자음과 모음을 만들 수 있게
연구
, 또
연구
를 반복했다. 그리하여 한글이 만들어 진것이다.한글은 그 어떤 언어와 비교할 수도 없을 만큼 값진 언어이다. 그러니 우리는 한글을 더 사랑하며, 바른 우리말을 써야 한다. 더 많은 나라가 한글을 사용 ...
이전
1187
1188
1189
1190
1191
1192
1193
1194
1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