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5,29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올해 첫 밤하늘 쇼과학동아 l201503
- 사막 해발 2400m 지점에 있는 라실라 천문대는 1월 한 달 동안 맑은 밤하늘을 촬영한 사진을 합성해 1월 26일 유럽남부천문대(ESO) 홈페이지에 공개했다.사진 한 가운데 청록색으로 빛나는 별은 러브조이 혜성이다. 러브조이는 꼬리가 700만km 이상 길게 늘어지는데 일반적인 혜성과 달리 화려한 녹색을 ... ...
- [Hot Issue] 인류, 예술가가 되다과학동아 l201503
- 2015년 1월호는 엘 카스티요의 3만7000년 전 손 스텐실 사진 아래에 이런 사진 설명을 달았다. “당신과 마찬가지로, 나는 인간입니다. 나는 살아 있으며, 여기 있었습니다.” 현생인류 외에 예술을 했을 가능성이 높은 또다른 인류는 네안데르탈인이다. 네안데르탈인은 무덤을 치장하거나 노래를 ... ...
- [Life & Tech] 식중독 바이러스가 면역력 높인다?과학동아 l201503
- 캐드웰 미국 뉴욕대 의대 교수팀이 무균 쥐에 투입한 쥐 노로바이러스(MNV)의 전자현미경 사진.무균 쥐에 노로바이러스 투입…면역력 ‘쑥쑥’이번 연구를 주도한 사람은 켄 캐드웰 미국 뉴욕대 의대 교수다. 연구팀은 멸균된 환경에서 실험쥐를 사육해 ‘무균 쥐’로 만들었다. 무균 쥐는 특정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수소차에 딱! 저렴한 탄소촉매 만든다과학동아 l201503
- 수소차, 아직은 ‘그림의 떡’“현재 사용하는 수소연료전지로는 가격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습니다. 백금 촉매를 사용해야 하는데 너무 비싸거든요. 백금을 대신할 새로운 촉매가 수소차 시대를 여는 열쇠가 될 겁니다.” 주상훈 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는 현실적인 문제를 가장 먼저 진 ... ...
- 色시한 과학 色시한 라이프과학동아 l201503
- 외에도 여자 친구가 예뻐 보이는 조명, 쉬기 좋은 조명, 음식 맛을 돋우는 조명이 있으니 사진을 보고 한번 맞춰보세요.정말로 잘 찾아오셨습니다. 色시한 상담소는 색각 이상자들의 편입니다. 다른 사람은 여러분이 얼마나 힘든지 잘 모릅니다. 그래서 수도권 지하철 노선도를 준비했습니다. 보통 ... ...
- [과학뉴스] 왕년의 거대 가속기 ‘테바트론’이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503
- 양성자-반양성자 충돌 실험 데이터는 페르미연구소의 자료 테이프에 담긴 채 저장실(사진)에 고스란히 남아 있다. 자료를 다시 활용할 길은 없을까.페르미연구소는 1월 29일, 테바트론의 방대한 실험 자료를 원하는 과학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2년간 보존, 정리하는 자체 프로젝트를 완수했다고 ... ...
- [Knowledge] 달리기 명수 타조공룡과학동아 l201503
- 팔에 깃털 흔적이 있다. 이 개체는 몸 길이 3.6m에 나이는 10세로 성체였다(오른쪽 페이지 사진).이들은 북미 지역에서 발견된 첫 번째 깃털공룡이 었다. 북미대륙은 ‘공룡의 왕국’으로 불리지만, 유독 깃털공룡은 발견된 적이 없었다. 이전까지 깃털공룡 화석은 독일, 중국, 몽골에서만 발견됐으며, ... ...
- [Knowledge] 인골의 비밀 사연과학동아 l201503
- 조사하고 있다.➋ 출토된 인골에서 고(古)DNA를 추출해 분석을 하려면 전처리가 필요하다. 사진은 보존실에 있는 모습.➌연웅 보존과학연구실장 (왼쪽 세 번째)과 신지영 연구관(왼쪽 네 번째), 인골연구팀이 함께.백제시대 상류층, 육식은 금지였을까이렇게 알아낸 정보는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지만,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바이오이미징이 우리나라 먹여 살릴 겁니다”과학동아 l201503
- 젊은 과학자의 두 가지 원칙 약자를 도울 수 있는 기초과학Q MRI를 연구하게 된 계기는학교를 졸업한 1998년에는 전자공학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통신에 뛰어들었습니다. 저도 통신회사에서 병역특례로 일하면서 모뎀 속도를 높이는 일을 했어요. 돈이 되고 관심 받는 일을 하고 있었지만 답답 ... ...
- 건강관리 철저해도 암 걸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03
- 그동안 과학자들은 암에 걸리는 원인으로 담배나 술을 하는 등 안 좋은 생활 습관을 지목해 왔어요. 또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가 말썽을 일으켜 암에 걸린다고 생각했지요. 그런데 최근 암에 걸리는 이유가 환경이나 유전보다는 그저 운이 나빠서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미국 존스홉킨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