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
모퉁이
구석
모서리
어귀
길목
카메라앵글
d라이브러리
"
각도
"(으)로 총 1,54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전기 통하는 플라스틱의 비밀 2010년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등장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식별이 어려운 점이 있다. 그리고 편광판과 같은 여러 판을 많이 쓰기 때문에 일정
각도
를 벗어난 상태에서 바라보면 잘 보이지 않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TV 브라운관의 경우에는 화면 크기가 클수록 두께가 매우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다.최근 들어 일부 발광 고분자가 전기를 흘렸을 때 아주 밝은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방향의 운동에 영향을 주지 않고요.문 : 그럼 일반적으로 v0의 속도로 지면에 대해 θ의
각도
로 포탄을 발사한다면 어떤 운동을 하 게 되나요? 출발할 때 방향이 가로도 아니고 세로도 아닌 비스듬한 방향이잖아요.답 : 그건 출발할 때의 속도 벡터를 가로 방향 성분과 세로 방향 성분으로 나눈 뒤 두 ... ...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자동으로 조절된다는 점이 같습니다. 고도 조절장치에서‘고도’(출력)가 꼬리날개의
각도
(입력)에 영향을 줘 고도가 조절되는 것처럼, 바이메탈 스위치에서도‘온도’라는 결과(출력)가 회로의 스위치(입력)에 영향을 줘 온도를 일정 범위로 유지한다는 점에서 상당히 비슷합니다. 결국‘결과가 ... ...
동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춤이다. 이때 직선 춤 방향과 수직 방향과의
각도
는 태양과 꿀이 있는 곳 사이의
각도
를 의미한다. 이 ‘꼬리춤’에는 방향 정보만 있는 게 아니다. 춤을 추는 속도에는 꿀이 있는 곳까지의 거리정보가 포함돼 있다. 예를 들어 천천히 추는 춤은 그만큼 한참 날아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이같은 ... ...
왕초보도 찾는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5°의 차이가 나므로 고리면의 기울기는 지구에서 볼 때 0°에서 29°까지 바뀐다. 고리면의
각도
가 바뀌는 주기는 약 7년 3개월이다. 기울기에 따라 고리가 잘 보이는 때와 그렇지 못한 때가 생기며, 토성 전체의 밝기도 영향을 받는다.토성의 위성 가운데 가장 큰 것은 타이탄(8.3등급)으로 지름은 약 ... ...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단 하나뿐이다. 화성의 샘플을 지구로 가져와 우리가 동원할 수 있는 모든 기술로 다양한
각도
에서 살펴보는 것이다.물론 한곳의 샘플로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 실제 월면 탐사에서도 러시아의 무인계획과 미국의 유인계획을 비교해볼 때, 미국의 우주인이 러시아의 로봇에 비해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입사할 때, 입사각이 커질수록 굴절
각도
커지지 않습니까. 즉 입사각이 커질수록 굴절
각도
커지는, 이른바‘양(+)의 상관관계’가 성립한단 말입니다. 하지만 수학이 동원되지 않는다면, 그 이상의 규칙성을 발견하기는 불가능할 것 같습니다. 물리 시간에 입사각과 굴절각 사이에는‘스넬의 ... ...
발빠른 수성 5월 22일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일몰 후 주변 탁 트인 곳에서수성의 경우 지구에서 봤을 때 태양에서 최대로 멀어지는
각도
인 최대이각이 18°에서 28° 사이다. 실제 밤하늘에서는 일몰이나 일출 때 수성은 고도 20° 정도 이내에서 하늘에 떠있게 된다. 대개 수성은 최대이각 시점에 관측하게 되며, 이런 기회는 1년에 평균 6회 가량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하지만 이런 영화가 앞으로도 많이 만들어지면 좋겠어요. 과학적이고 사회적인 다양한
각도
로 본 소재가 이야기되는 가운데서 우리들의 인지가 모여져 정말 화성탐사를 할 수 있는 결과가 만들어지지 않을까 싶기도 해요.충환_ 저도 이 영화를 보고 나서 기초과학을 더욱 중요하게 여기고 탄탄하게 ... ...
3차원 입체사진, 애너글리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것은 몇cm 거리로 떨어진 두눈 때문이라고 한다.우리의 각 눈은 사물을 볼 때 약간의 다른
각도
에서 사물을 포착한다. 시차가 있다는 말이다. 이 사실은 양눈을 각각 한번씩 감아서 하나의 사물을 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오른쪽과 왼쪽 눈으로 보이는 사물의 모습이 약간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