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막기"(으)로 총 1,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름밤 별자리 찾아보기 우주의 신비에 빠져드는 즐거움과학동아 l1988년 07호
- 그리고 삼각대는 필수적이다. 1초이상의 긴 시간 노출을 해야 할 때, 카메라의 흔들림을 막기 위해서이다.촬영할 때는 광각렌즈(F35~F28㎜)가 있으면 더 좋다. 큰 별자리를 한장의 사진 화면에 모두 담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카메라의 거리눈금은 무한대(∞)로 놓는다. 별이 흐르는 효과를 찍으려면 ... ...
- 유럽의 DJ,엔지니어들 소음제한법 반대과학동아 l1988년 06호
- 실시될 예정. 이법의 취지는 큰 소리속에서 일하는 음악가, DJ, 엔지니어들의 청각장해를 막기 위한 것이다. 즉 장기간 높은 음압의 소리를 들으며 일하는 사람은 심한경우 귀가 먹거나 적어도 청각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예방해 보자는 것. 그런데 디스크자키나 연주가 녹음실 엔지니어들은 ... ...
- 부활을 기다리며 냉동인간 제조 이미 수백명과학동아 l1988년 05호
- 예를 들면 꼬리가 없는 등 소위 기형정자라는 것들이 발견된다. 그래서 이들의 출현을 막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는 실정인데 냉동인간이라니 터무니없다"고 잘라 말한다. 정자 하나도 제대로 냉동하기 어려운데… 정씨가 연구한 테마인 냉동정자보존은 냉동보존이 실제로 상업적으로 쓰였던 ... ...
- 시계의 발달②과학동아 l1988년 04호
- 통제할 수 있었던 기계시계의 연속적인 작동이었다. 기계시계는 낮과 밤의 단절을 막기 위해 하루종일 작동되었고 하루의 전부를 통솔했다. 물론 사람들은 그 자신이 경험해온 오랜 관습에 따라 낮시간과 밤시간을 따로 세는 것을 잊지 않았다. 시간은 연속적으로 측정되었지만 사람들은 낮과 밤의 ... ...
- 북극 그 자연과 이용가능성을 알아본다과학동아 l1988년 03호
- 사용은 그것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이유보다도 탄산가스 증가에 의한 기온상승을 막기위해 제한되지 않으면 안될 때가 올지도 모른다.북극탐험의 역사기원전 325년에 피아테스라는 그리스인이 북방 여행을 마치고 당시 그리스의 식민지였던 맛사리아(현재의 마르세유)로 돌아왔다. 항해중의 그의 ... ...
-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주택용 에너지 계산자 개발과학동아 l1988년 03호
- 계산량이 엄청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허비된다. 현재까지는 이러한 계산상의 허비를 막기 위해 많은 종류의 컴퓨터프로그램이 개발돼 있으나, 컴퓨터시스팀이 갖추어져야 하고 데이타의 작성, 컴퓨터의 사용 등에 따른 경비를 부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결국 수작업이나 컴퓨터를 이용한 ... ...
- PART 3 오존층이 파괴되고 있다 구멍뚫린 생명의 보호막과학동아 l1988년 02호
- 남극상공의 복잡한 화학반응을 모두 이해했다는 뜻은 아니다. 단지 오존층 파괴를 막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가 확실해졌다는 뜻이다. 남극의 오존층에 대한 연구는 이미 1957년부터 영국의 과학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러나 현대적인 장비를 동원한 대규모 연구가 수행된 것은 극히 ... ...
- 보다 편한 잠을 위한 안내 침구속의 기상을 알아두자과학동아 l1988년 01호
- 차가 크면 이불 틈으로 바람이 들어온다. 무거운 이불은 이런 이불 틈의 바람을 막기 위한 방법의 하나이기도 한다. 어느정도 냉 난방이 조절되는 방 일지라도 다음에는 습도에 대한 문제가 남는다. 습기를 제거해야 한다 증기로 더워지거나 습기로 냉해지는 현상이 있다. 습도가 높으면 보다 ... ...
- 가속기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1988년 01호
- 불필요한 부산물이고 또 강력한 방사광이어서 인체에 방사광의 노출에 의한 손상을 막기 위하여 방사광 차단에 매우 노력해야만 했다. 그러나 적외선에서 시작하여 강X-선(파장이 1억분의 1cm 부근의 단파장 X선)에 이르는 넓은 파장을 가지는 빛들이 물질내에서의 원자들의 배치상태라든지 전기적인 ... ...
- 정지위성발사에 성공한 중공의 우주과학과학동아 l1987년 12호
- 않다. 그러나 많은 역사가들은 중국의 송나라시대(960~1279)에 몽고로 부터의 침공을 막기위해 싸울때 사용한, 화전(火箭)이라는 것이 오늘날의 로킷의 원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것이 명나라(1368~1644)에 전수되어, 그때의 군서(軍書)인 무비지(武備志)라는 책속에, 로킷무기로서 화룡출수(火龍出水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