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쓰레기
티끌
티
진흙
흙먼지
더러움
홍진
d라이브러리
"
먼지
"(으)로 총 1,460건 검색되었습니다.
3. 역대 멸종 원인 5가지 가상 시나리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영향을 미친다.1815년 인도네시아의 탐보라(Tambora)화산 폭발은 30㎢의 지역에 화산재와
먼지
를 분출했다. 성층권을 타고 지구 위에 확산된 분출 물질이 태양광선을 차단, 다음 해인 1816년 유럽에서 '여름 없는 해' 현상을 나타냈다. 이 해 지구 전북반구 지역에서 곡식의 수확이 없었고 대규모 기근으로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1천AU(1AU는 지구와 태양의 거리, 약 1억5천만㎞) 정도이며 태양계에서처럼 안쪽에서는
먼지
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바로 이곳이 행성이 존재하는 곳. 최근 천문학자들은 이 별은 혜성과 함께 최소한 행성이 둘 이상 존재한다는 관측결과를 내놓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또한 작년 미국 펜실베이니어 ... ...
알레르기, 현대인의 불치병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주사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면역요법과는 달리 치료기간이 길지 않을 수 있다.현재 집
먼지
진드기와 고양이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어 수년 내에 인체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알레르기가 더이상 현대인의 생활에 불편을 주는 불치병이 아닐 수 ... ...
우주론이 흔들리고 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인력이 너무 약해서 우주는 영원히 팽창하게 될 것이다. 그런 열린 우주는 가스,
먼지
그리고 왜성의 재로 가득차 기온이 절대온도 0도(미래엔 big chill로 특징지어진)로 떨어질 것이다(걱정하지 마라. 그런 최후는 수십억년 이후가 될 것이다).임계밀도 줄타기이 극단적인 예들 사이에 임계밀도라 ... ...
3천개 은하의 모임 장엄한 처녀자리 은하단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쉽게 찾을 수 있다. 은하의 중심부가 매우 발달돼 있으며 중심을 가로 지르는
먼지
성운이 측면에서 보이는 은하이다.(Vir) 3C 273:퀘이사 가운데 가장 밝다. 지구로부터 30억광년.(Virgo) 한편 처녀자리 바로 아래, 남쪽 지평선 위에는 찌그러진 사각형 모양의 까마귀자리(Corvus)가 있다. 지난 1986년 ... ...
150억년 우주 역사 한눈에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별들이 폭발적으로 탄생하고 있다.이 사진에는 HST의 높은 분해능 덕분에 밝은 성단과
먼지
로 이루어진 띠, 그리고 밝게 빛나는 가스 등이 자세히 나타나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은 이 가운데 별탄생 영역을 몇 군데 발견했으며, 별은 밀도가 높은 성단에서 가스와 함께 태어난다는 잘 알려진 사실을 ... ...
2만년전 원시숨결 '쇼베동굴예술'의 신비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탐사하다가 땅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을 느끼고 이 동굴을 발견했다고 한다. 바위와
먼지
로 뒤덮인 입구를 치워내고 암벽 사이 틈으로 기어들어가자 멋진 '갤러리'들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 ...
기상이변의 말썽꾼 엘니뇨 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5일 필리핀의 피나투보 화산 폭발로 주춤했던 지구 온난화가 근래에 들어 성층권의 화산
먼지
가 많이 제거돼 다시 진행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온난화가 일어나면 기온이 점차적으로 올라간다기 보다는 해수면 상승과 더불어 이상난동 한파 홍수 가뭄 등이 세계 각처에서 더 빈번히 또 더 극심하게 ... ...
2 생명의 곡선 나선이 우주지배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은하의 실상이 아니다. 실제의 은하는 다이내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별들도 가스나
먼지
구름도 은하 중심을 돌고 있다. 이 회전운동은 대단히 속도가 느려 별들이 은하중심을 1회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1은하년) 수억년 이상일 것으로 추측된다.은하원반은 강체처럼 회전하지는 않는다. ... ...
3 신비스런 5각형·6각형의 조화 풀러렌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이들이 어떻게 다시 모여 클러스터를 형성하는지를 조사했다.한편 우주공간에 분포하는
먼지
속에 탄소 분자가 존재하는 것을 밝혀낸 크로트는 이들 분자가 어떻게 생성되는가를 알아내 미국으로 건너와 스몰리에게 레이저 기술을 탄소에 적용할 것을 제안했다. 실험환경이 탄소를 대량으로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