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장실의 변신 ④] 화장실이 돈이 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양동이에 배변을 하고 톱밥으로 덮어 놓지요. 양동이가 차면 퇴비장에 뿌려 놓고 미생
물
이 분해할 때까지 1~2년 동안 묵혀둬요. 그럼 퇴비로 재탄생한답니다 ... ...
호주 산불로 파괴된 숲, 돌아올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이번 호주 산불은 많은 생명들의 목숨을 앗아갔어요. 나무들은 불에 탔고, 숲에 사는 동
물
들은 꼼짝없이 뜨거운 불구덩이 속에 갇혔지요. 산불로 인해 망가진 자연이 다시 ... 모아서 정부에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라고 요구해야 합니다! 용어정리* 난연제 : 불이 잘 붙지 않는
물
질 ... ...
[한페이지 뉴스] 거북 개미의 진화는 거꾸로도 간다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놀라울 정도로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진화 과정을 분석할 때 생
물
이 변화할 수 있는 폭을 지금보다 훨씬 넓게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73/pnas.191375011 ... ...
가장 과학적인 게 가장 예술적이다, 미술작품 속 숨겨진 빛의 과학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초고속 광학과 테라헤르츠 광학 분야 연구를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미술관에 간
물
리학자’가 있다. mseo@kist.re.kr 용어정리*병치혼합 : 각기 다른 색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해 착시로 인해 색이 섞여 보이도록 하는 기법. 파란색과 노란색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면 초록색으로 보인다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수 있어 신체를 통과해 바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퀀텀닷의 크기를 조절하면 신체 구성
물
질이 흡수하지 않는 700~900nm 대역의 근적외선 파장의 빛을 발하게 만들 수도 있다.김성지 포스텍(POSTECH) 화학과 교수는 2017년 퀀텀닷에 암을 탐지하는 프로브를 결합해 암 조직 근처에서만 근적외선을 강하게 ... ...
[화장실의 변신 ③] 어느 곳에서나 쓸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선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를 찾아야 해요. 미생
물
연료전지 기술은 쓰레기에서 자원을 찾아낸다는 데서 매력을 느꼈습니다. 앞으로도 자연과 함께 할 수 있는 일에 도움이 되고 싶어요 ... ...
[과학뉴스] 사람처럼 땀 뻘뻘 흘리는 로봇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소프트 로봇도 열을 빨리 식히도록 만든 거죠. 연구팀은 “
물
을 계속 채워야 하는 것과
물
이 로봇의 마찰력을 약하게 만들어 움켜쥐는 힘이 약해지는 단점을 앞으로 보완할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코로나19 팩트체크] 손 소독제는 바이러스를 어떻게 죽이는 걸까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주의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감염원 에어로졸 발생 위험은 소독제를 뿌릴 때
물
체 겉면에 묻어있던 바이러스가 작은 알갱이 형태로 떠올라 퍼져나갈 수 있다는 뜻입니다. 소독제를 분사하지 말고 수건 등에 묻혀 사람의 손이 닿을 만한 장소를 선별해 닦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
"내가 감염병 역학조사관이 된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부족한 개발도상국 사회의 불편함을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기술을 말한다. 오염된
물
을 간이로 정수해 마실 수 있게 하는 필터 빨대가 대표적인 적정기술 제품이다. 과학동아에서 관련 기사를 읽으면서 ‘내가 가진 경험을 살려 개발도상국의 보건 체계를 개선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화장실, 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알려졌어요. 안경을 만들던 그는 우연히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겹치면 먼 곳에 있는
물
체가 가깝게 보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지요. 이 원리를 적용해 1608년, 기다란 원통에 두 개의 렌즈를 겹쳐서 만든 최초의 망원경을 개발했답니다.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