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똑똑! 실례합니다~ 화장실은 변신 중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변신중Part1. [화장실의 변신 ①] 화장실 문화가 바뀌고 있다!Part2. [화장실의 변신 ②]
물
을 적게 쓰는 변기 등장!Part3. [화장실의 변신 ③] 어느 곳에서나 쓸 수 있다!Part4. [화장실의 변신 ④] 화장실이 돈이 된다?! ★도움 유지선(영국 브리스톨 바이오에너지 연구센터 연구원), 조약골 ... ...
[화장실의 변신 ④] 화장실이 돈이 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양동이에 배변을 하고 톱밥으로 덮어 놓지요. 양동이가 차면 퇴비장에 뿌려 놓고 미생
물
이 분해할 때까지 1~2년 동안 묵혀둬요. 그럼 퇴비로 재탄생한답니다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화장실, 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알려졌어요. 안경을 만들던 그는 우연히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겹치면 먼 곳에 있는
물
체가 가깝게 보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지요. 이 원리를 적용해 1608년, 기다란 원통에 두 개의 렌즈를 겹쳐서 만든 최초의 망원경을 개발했답니다. ... ...
[4·15 총선] 긴급 여론조사, 과학계 민심을 듣다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공기 중의 바이러스나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
물
질과 부딪치면 오염
물
질을 분해하는 효과를 낸다. 이 원리를 현재는 주로 공기청정기에 사용하지만, 앞으로는 마스크나 담배 필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신개념 마스크 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는 그밖에도 무궁무진하다. ... ...
[화장실의 변신 ②]
물
을 적게 쓰는 변기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변비로 오래 고생하다보니, 시원~하게 내려가는 변기는 필수야. 그런데 뭐?! 한 번
물
을 내릴 때마다 10L?! 하루에 다섯 번쯤 화장실을 가니까 50L를 쓰고 있는 거네….
물
사용 ... 않고 하수도까지 빠져나갈 수 있다. 적은 양의
물
로는 사이펀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배설
물
이 내려갈 수 없다 ... ...
호주 산불로 파괴된 숲, 돌아올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이번 호주 산불은 많은 생명들의 목숨을 앗아갔어요. 나무들은 불에 탔고, 숲에 사는 동
물
들은 꼼짝없이 뜨거운 불구덩이 속에 갇혔지요. 산불로 인해 망가진 자연이 다시 ... 모아서 정부에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라고 요구해야 합니다! 용어정리* 난연제 : 불이 잘 붙지 않는
물
질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수 있어 신체를 통과해 바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퀀텀닷의 크기를 조절하면 신체 구성
물
질이 흡수하지 않는 700~900nm 대역의 근적외선 파장의 빛을 발하게 만들 수도 있다.김성지 포스텍(POSTECH) 화학과 교수는 2017년 퀀텀닷에 암을 탐지하는 프로브를 결합해 암 조직 근처에서만 근적외선을 강하게 ... ...
[화장실의 변신 ③] 어느 곳에서나 쓸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선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를 찾아야 해요. 미생
물
연료전지 기술은 쓰레기에서 자원을 찾아낸다는 데서 매력을 느꼈습니다. 앞으로도 자연과 함께 할 수 있는 일에 도움이 되고 싶어요 ... ...
[한페이지 뉴스] 거북 개미의 진화는 거꾸로도 간다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놀라울 정도로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진화 과정을 분석할 때 생
물
이 변화할 수 있는 폭을 지금보다 훨씬 넓게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73/pnas.191375011 ... ...
[코로나19 팩트체크] 손 소독제는 바이러스를 어떻게 죽이는 걸까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주의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감염원 에어로졸 발생 위험은 소독제를 뿌릴 때
물
체 겉면에 묻어있던 바이러스가 작은 알갱이 형태로 떠올라 퍼져나갈 수 있다는 뜻입니다. 소독제를 분사하지 말고 수건 등에 묻혀 사람의 손이 닿을 만한 장소를 선별해 닦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