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개"(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엉뚱하지만 엄청난 우주 연구들, NIAC로 보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헌츠빌 캠퍼스 조교수) Q. 반갑습니다! 교수님께서 만드신 ‘마스비’를 소개해주세요!마스비(Marsbee)는 ‘화성벌’이라는 뜻으로, 곤충이나 새처럼 날개를 퍼덕여 날아다니는 탐사 로봇이에요. 화성의 희박한 대기에서는 비행기나 헬리콥터의 날개보다 퍼덕이는 날개의 양력을 이용하는 것이 ... ...
- 심우주, 아득히 먼 곳을 향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연구 자금을 모았어요!”제럴드 잭슨(에이치바 테크놀로지 CEO) Q. 자기 소개를 부탁드려요! 반물질…회사를 차리셨다고요?저는 물리학자 제럴드 잭슨 박사입니다. 원래는 미국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에서 입자가속기로 반양성자를 만들고 보관하는 연구를 했어요. 그러다 2000년에 반양성자로 ...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반달가슴곰, 세 마리가 동거하게 된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하나의 해먹에서 같이 쉬고 잠도 자며 평화로운 합사 생활을 하게 되었다. ※ 필자소개 김정호 수의사. 충북대학교에서 멸종위기종 삵의 마취와 보전에 관한 주제로 수의학 박사를 받았다. 청주동물원과는 학생실습생으로 인연이 되어 일을 시작했고, 현재는 진료사육팀장을 맡고 ... ...
- [수학체험실] 연필 한 타로 만드는 폴리링크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정삼각형 4개가 얽힌 폴리링크 1970년대 미국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앨런 홀든이 소개한 ‘폴리링크’는 여러 개의 다각형이 서로 엉켜있는 구조물이다. 질서 있게 꼬인 상태라는 뜻의 ‘오더리 탱글스’라고 불리기도 한다.폴리링크의 대표적인 예로 속이 빈 정삼각형 4개로 이뤄진 정사면체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폴리매스에 관심을 가지게 됐나요?폴리매스는 친구의 추천으로 들어왔어요. 6월호에 소개된 신예준(파스칼) 친구가 폴리매스 문제를 한번 풀어보라고 권했거든요. 처음에는 폴리매스 문제만 봤는데 아직 제가 도전하기 어려워서 호기심에 매스펀 ‘함께 풀고 싶은 문제’ 게시판을 봤습니다. 저는 ... ...
- [2020 노벨상]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또 다른 바이러스 유행을 대비하는 데도 해답을 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필자소개이영민.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 바이러스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워싱턴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약 10년간 충북대에서 바이러스학 연구실을 운영했다. 현재 미국 ... ...
- [과학동아 X 긱블] 물수제비 기계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물수제비가 잘 만들어지는지’ 연구한 리데릭 보퀘트 프랑스 리옹1대 물리학과 교수를 소개했습니다. 보퀘트 교수는 돌이 날아가는 속도와 회전력이 중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근거로 돌이 날아가는 속도와 회전수로 돌이 튕길 수 있는 횟수를 계산한 방정식을 만들어 2003년 국제학술지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착시로 가득한 환상의 뮤직비디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96만 명) 이번 영상은 미국의 4인조 록 밴드 ‘OK Go’의 뮤직비디오예요. 왜 과학 영상을 소개하는데 뮤직비디오가 나오는지 궁금하죠? 이 록 밴드는 착시, 무중력, 드론 등 다양한 과학적 트릭을 이용해 기발한 뮤직비디오를 찍기로 유명하답니다. 뮤직비디오를 너무 잘 만들다보니, ‘뮤직비디오를 ... ...
- [특집] 종이접기로 수학 문제도 푼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인도의 수학자 순다라 로가 임의의 각을 3등분하는 문제를 종이접기로 푸는 방법을 처음 소개한 뒤, 지금까지 다양한 방법이 나왔어요. 여기서는 일본의 종이접기 작가 아베 히사시의 방법을 알아봐요. 두 번째 문제 부피가 2배인 정육면체의 한 변의 길이를 찾아라어떤 정육면체가 있을 때 ... ...
- [에디터노트] 노벨상과 질문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이야기를 준비하며 문득 뷔트리히 교수가 떠올랐습니다. 정확히는 그의 연구의 출발점을 소개하고 싶었습니다.노벨상을 받는 연구의 기준은 크게 2가지입니다. 독창적인 발견인가, 인류의 복지에 공헌했는가. 그런데 후자를 처음부터 생각하고 연구한 이는 많지 않습니다. 뷔트리히 교수처럼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