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프로필
프로파일
알선
피난
철수
명도
추천
d라이브러리
"
소개
"(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저자와 함께하는 북토크쇼 이의 있습니다! 재판의 오류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중요한 질문입니다. 하지만 그 대답을 하기 전에 먼저 우리가 조사한 몇 가지 사건을
소개
하는 것이 좋을 것 같군요. 사건에 대해 들으면서 법정에서의 수학을 연구하는 게 왜 중요한지 생각하는 것도 즐거울 겁니다. 피터팍 : 벌써 흥미진진한데요? 그럼 지금부터 재연 영상과 함께 두 분의 ... ...
실시간 언택트 데이터 요리쇼, 나도 데이터 요리사!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느낄 수 있는 결과물이었습니다. 자, 그럼 데이터 요리쇼 참가자들의 분석 결과와 소감을
소개
합니다. 앞으로 이어질 온라인 클래스에도 많은 관심 가져 주세요 ... ...
[매스펀랜드] 함께 풀고 싶은 문제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싶은 문제’에 올라온 문제 중에 참신하고, 재밌고, 엉뚱하지만 수학적 사고를 요하는 문제를 뽑아
소개
합니다. 수학동아의 선택을 받은 문제는 어떤 걸까요? 여러분도 그 주인공이 되고 싶다면 [폴리매스]→[매스펀]→ [함께 풀고 싶은 문제] 에 문제를 올려주세요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폴리매스에 관심을 가지게 됐나요?폴리매스는 친구의 추천으로 들어왔어요. 6월호에
소개
된 신예준(파스칼) 친구가 폴리매스 문제를 한번 풀어보라고 권했거든요. 처음에는 폴리매스 문제만 봤는데 아직 제가 도전하기 어려워서 호기심에 매스펀 ‘함께 풀고 싶은 문제’ 게시판을 봤습니다. 저는 ... ...
도전! 노벨물리학상 ‘펜로즈 특이점 정리’ 이해하기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55년 전 펜로즈 교수가 증명한 아름다운 정리가 아니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필자
소개
오성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수학과 교수(겸 고등과학원 수학부 비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일반 상대성 이론, 유체 역학 등 물리학에서 비롯되는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의 엄밀한 수학적 ... ...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 낳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필즈상을 수상한 만줄 바르가바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석좌교수의 이야기를
소개
하겠습니다.바르가바 교수는 가장 오래된 수학 분야라고 할 수 있는 정수론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거둬 필즈상 수상자로 선정됐습니다. 주요 업적은 크게 두 가지라고 할 수 있는데요, 공통적으로 기존의 접근 ... ...
[수학체험실] 연필 한 타로 만드는 폴리링크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정삼각형 4개가 얽힌 폴리링크 1970년대 미국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앨런 홀든이
소개
한 ‘폴리링크’는 여러 개의 다각형이 서로 엉켜있는 구조물이다. 질서 있게 꼬인 상태라는 뜻의 ‘오더리 탱글스’라고 불리기도 한다.폴리링크의 대표적인 예로 속이 빈 정삼각형 4개로 이뤄진 정사면체 ... ...
[에디터노트] 노벨상과 질문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이야기를 준비하며 문득 뷔트리히 교수가 떠올랐습니다. 정확히는 그의 연구의 출발점을
소개
하고 싶었습니다.노벨상을 받는 연구의 기준은 크게 2가지입니다. 독창적인 발견인가, 인류의 복지에 공헌했는가. 그런데 후자를 처음부터 생각하고 연구한 이는 많지 않습니다. 뷔트리히 교수처럼 ... ...
[내가 만난 노벨상 수상자] 끊임없이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질문하길 바란다. 질문을 풀어내는 과정에서 큰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필자
소개
이호영. 서울대 화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고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박테리아를 이용한 천연물 합성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2008~2013년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 ...
Science Festival│ SF가 그린 디스토피아? 두려워 말고 준비하세요!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03:05 PM]TOPIC ④ 점점 커지는 인공지능 의존도 오늘
소개
할 마지막 영화입니다. 미래의 계급사회를 배경으로 하는 ‘엘리시움’인데요. 영화 후반부에 한 아이의 불치병을 2초 만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인공지능 기계가 등장합니다. 이처럼 순간 판단이 중요한 일에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