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d라이브러리
"
수용
"(으)로 총 1,388건 검색되었습니다.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토대로 그린 첫 세계지도이기도 하다. 말하자면 서양의 세계지도가 정부차원에서
수용
된 것이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그 세계지도의 제작솜씨는 매우 훌륭했고 중국의 지도에 결코 뒤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뛰어난 작품이었다고 한다. 어떤 연유에서인지는 몰라도 그 지도는 1951년까지 경기도 관주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통해 볼 때 천하도는 오랜 세월에 걸쳐 진화 발달해 온 것이다. 중국적인 세계관을
수용
해 한국에서 지도화(地圖化)했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이 천하도의 한 가운데 있는 대륙은 1402년의 세계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만들어지기 전에 존재했던 중국 중심의 전통적인 세계지도와 비슷하다. ... ...
열등의식의 해소수단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안된다. 점차 어른으로 성장해가는 발달과정으로 인정, 모든 것을 긍정적 태도로
수용
해야 한다. 예컨대 "나도 옛날에 그랬다", "너의 행동을 조금은 이해한다"는 식으로 여유있게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학업성취에 대한 스트레스도 청소년비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청소년에게 가해지는 ... ...
가장 새로운 물리학─수리끈이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증거가 된다.예나 지금이나 총에너지 값은 일정하다고 보아야 한다. 문제는 그 에너지가
수용
된 공간의 크기다. 이는 화로불에 빗대어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화로불을 켜놓더라도 작은 방보다 큰 방에서는 더 썰렁하게 느껴진다. 이처럼 우주는 점차 커지면서 차츰 식어갔을 것이다.우주의 ... ...
동물한테 배우는 비만치료법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주변의 근육조직에 재빨리 연료를 공급한다.허벅지의 지방조직이 음식물의 지방은 쉽게
수용
하지만 포도당을 받아들이거나 활동의 연료가 될 지질은 잘 내보내지 못한다는 사실은 허벅지 살이 쉽사리 안 빠지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이 조직은 에너지의 장기적인 창고라고 볼 수 있으며 건강이라는 ... ...
환경원년 돌아보는 공해추방운동연합 최열 공동의장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계획환경운동가로 이미 10년 세월을 넘긴 최의장은 요즘 '운동의 새로운 요구'를 어떻게
수용
해 낼 것인가로 고민하고 있다. 그것은 올해 공추련의 사업목표였던 '대중성과 전문성의 결합'으로도 요약될 수 있는 문제다."공추련 사무실로 찾아오는 사람들 중 다수가 자기동네의 수돗물을 분석해 ... ...
21세기에 도전하는 허준의 후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삼국시대에 이미 중국의 약초서가 언급되고 있다. 그러나 일방적인 중국의학의
수용
은 아니어서 고려시대에 이르면 많은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약제, 즉 향약(鄕藥)에 대한 이해가 생기게 됐고, 조선시대에는 허준(許浚)이라는 걸출한 학자가 이제까지의 의학을 집대성했다 ... ...
IC 카드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필요하지 않은 분야는 현행의 자기카드가, 전자출판같이 재사용보다는 많은 정보
수용
능력이 필요한 분야는 광카드가 담당할 수 있는 것이다.대기업, 시스템 사업에 관심IC카드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현재 시스템이 개편돼야 할 뿐 아니라 새로 개발돼야 한다. 현재의 자기카드용 시스템으로는 전기를 ... ...
PARTⅣ 국내외의 엔진산업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평가되고 있다. 앞으로도 새로운 대체연료를 적절히 활용하고 신소재를 적극적으로
수용
하기만 한다면 피스톤엔진은 엔진의 왕자자리를 계속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2000년대 초반까지도.84년부터 독자개발 착수해외국의 오랜 엔진개발 역사에 비교하면 국내의 엔진산업 및 연구개발은 무척 ... ...
유럽과 북미에 2세대 오존층 구멍?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때문에 슈퍼컴퓨터를 활용해도 딱 떨어지는 전망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파맨의 주장을
수용
한다면 적어도 아시아에서는 아직 여유가 있어 보인다. 일본의 환경관련 연구기관도 그의 주장에 고개를 끄덕인다. 자외선 양의 증가속도가 유럽보다 훨씬 느리다는 자체 조사결과도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