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후
d라이브러리
"
이래
"(으)로 총 1,26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상최대의 건축물 만리장성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하다.이 난공사를 가능하게 한 기술적 요인은 뭐니뭐니해도 기원전 6세기
이래
의 주철(鑄鐵) 기술개발일것이다. 이에 의해 철제토목 용구가 대량생산되고 작업능률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킴과 동시에 국가권력에 의한 노동력의 대량동원을 가능케 한 것이다.진대의 장성축조에는 판축법(版築法 ... ...
거짓말탐지기에서 DNA식별법까지 현대의 과학수사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현상에 대한 대책이라고 여겨진다.78년 거짓말탐지기를 처음 2대 도입한
이래
현재는 대검 중앙수사부에 3대, 부산·대구·광주·대전·춘천지점에 1대씩 모두 8대를 설치, 용의자심문을 과학화한 것을 비롯해 85년에는 치안본부에 레이저지문검출기를 새로 도입했다. 1억원의 예산을 들여 도입한 ... ...
한국 축산의 기초를 닦은 건국대 축산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진단치료하며 공중보건에도 기여하는 수의학과에서는 우수한 수의사가 1968년 설립
이래
2백여명이나 배출되어 관계분야에서 활약중이다.각 학과에서 배출된 인력은 미국 일본 이스라엘 아르헨티나 서독등의 제휴대학 연구기관에 유학을 보내기도 하고 관련 각 분야에 주선되어 현장활동을 하고 ... ...
인류 최후의 자연자원 바다가 병들고 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대도시 부근의 해안의 오염이 심하다. 70년대 초 진해만에서 처음 적조(赤潮)가 발생한
이래
동·남해안의 울산만 마산만 등은 적조의 상습 발생지역이 되었고 최근에는 인천 앞바다에까지 확대되었다. 또 우리나라 해안의 주요 수산물의 대부분이 중금속으로 오염되었고, 일부는 기준치를 초과한 ... ...
'라보아제'가 몰고온 화학혁명 연금술에서 근대화학으로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크게 모습이 달라졌다. 이를테면 20세기초에 합성섬유가 출현한
이래
계속 개량과 발전을 거듭하더니 드디어 합성섬유 시대를 열어 놓았고, 화학의 의학에 대한 연구는 합성의약 시대를 열어 놓았다. 또 베이크라이트를 필두로 합성수지 시대가 시작되었고 합성고무도 대량으로 ... ...
갈릴레오 수난에 대한 새로운 학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갈릴레오는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지지해서가 아니고 물질의 근원은 원자라는 그리스
이래
의 학설을 지지해 수난을 받은것"이라고 주장해 논쟁을 불러 일으키고있다. 파리 '알렉상드르 코레'연구소의 역사가인 '레도니'는 갈릴레오가 특히 빛이 원자로 돼 있다는 주장을 해서 말썽을 빚었다고 ... ...
PART1 정보·통신 광자공학의 시대를 연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기능향상을 꾀하는 일이 앞으로의 과제로 남게 된다. 새로운 재료로 한계극복1960년
이래
칩위의 회로소자의 수는 매년 약 2배씩 늘어났다. 오늘날 2백만개 이상의 소자를 대략 5백만개의 도선으로 접속시킨 메모리칩이 시판되고 있다. 아직 마이크로 일레트로닉스(ME)가 발전하지 않았던 30여년 ... ...
신소재의 과학 꿈의 재료를 설계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溶融氷晶石)을 전기분해하여 금속알루미늄을 제조하는 방법을 발견하였다. 그
이래
물리학은 소재과학의 토대를 완전히 갱신하였다. 고탄소강 텅스텐강 스테인리스강의 생산공정이 새로 개발된 것은 그 결과이다. 20세기에 들어와 특히 최근 40년 간에 걸쳐 화학자와 물리학자들은 신소재와 ... ...
일본의 화산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중앙화구에서 분연을 뿜어올리고 있다.분화양식이 독특한 아사마산 분화1783년 5월9일
이래
수회의 소폭발을 일으키다가 7월26일부터 본격적인 활동이 시작되었다. 단속적인 분화였으나 분연은 10km이상의 높이에 이르러 북부칸토 일원에 화산재와 경석을 뿌렸다. 8월3일 오후2시경부터 분화는 더욱 ... ...
제임스D.왓슨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찬란한 분자생물학 황금시대의 막이 오르게 된다. 유전자, 분자생물학분야는 60년대
이래
과학부문에서 가장 많은 노벨수상자를 배출하여 그 수는 20명을 넘는다.1955년 하바드대학은 왓슨을 교수직에 맞아들였다. 그는 이 대학에서 유전과 그 성장 및 세포막연구에 착수하는 한편 세포를 암으로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