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환
교환
전향
전도
변경
전화
d라이브러리
"
전환
"(으)로 총 1,626건 검색되었습니다.
1. '도전-실패' 되풀이 개발역사 50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못한다.지난 50년간의 인공지능 역사 속에는 강력함과 범용성 사이에 두번의 커다란 방향
전환
이 있었다. 일세대라고 할 수 있는 70년대 중반까지에는 범용성 있는 방법론의 탐구가 연구의 목적이었다. 이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으로는 GPS(General Problem Solver)를 들 수 있다. 그 이름이 암시하듯 모든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체 침입전략 밝혀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pH가 낮아지면 HA가 약 5분의 1을 남기고 꺾여진다. 부분에 따라서는 1백80도 방향
전환
을 하는 등 구조를 대폭 바꾼다.그 결과 바이러스의 외피단백질이 오히려 1백Å 정도 표적의 세포막에 가까워져 침입하기 쉬워진다 한다. 이같은 성질이 모든 바이러스에 있는지는 아직 모르지만 비슷한 사례가 ... ...
기능성 식품 알고 먹자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사용하는 들깨기름 유채기름 등에는 EPA나 DHA의 전구체(체내 대사과정에서 이들 물질로
전환
될 수 있는 물질)가 되는 리롤렌산이 60% 이상 함유돼 있다. 이것은 체내에서 EPA나 DHA와 꼭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전통적으로 사용해온 들깨기름을 자주 음식에 사용하는 것이 훨씬 ... ...
2. 역대 수상자 집중분석 나라·성별 명세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 또한 있을 수 있다. 생화학자 애버리는 1944년 폐렴구균의 형질
전환
연구를 통해 유전자의 본체가 DNA인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당시 노벨상 위원회는 더 많은 사실이 알려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 10년뒤 그의 이론이 진실로 판명됐을 때 그는 이미 이 ... ...
지구과학 - 신대륙이동설 판운동의 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대륙이동을 믿지 않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베게너의 딱딱한 지각이 움직인다는 인식의
전환
과 그 후 여러 과학자들에 의한 판 운동의 발견은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과 맞먹는 혁명적인 생각인 것이다. 이것은 베게너의 천재적인 두뇌에서 비롯됐다고 보기보다 수많은 과학자들의 희생과 용기에서 ... ...
2. 자동통역 시스템 실현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한다. 이에 비해 오프라인은 입력할 문서를 스캐너로 읽어들여 이를 다시 텍스트 파일로
전환
, 필요한 영역에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온라인 인식은 오프라인에 비해 글자의 골격 정보를 얻기는 어려워도 획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시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그러나 오프라인 분야, ... ...
3 '자연으로 돌아가자' 가치관 절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동양 문화권은 관심의 대상이 됨직하다.한편 한국의 앞날에는 새로운 문명으로의
전환
이라는 변수 외에도 '한반도 통일'이라는 또다른 변수가 개재하고 있다. 인간의 합리적 예상을 넘어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큰 통일 변수까지 내포하여 해결방정식이 어떻게 찾아질 수 있을런지는 ... ...
2 유전공학 공해 핵 오염보다 무섭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그리고 복사에너지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지나, 이들 에너지 모두는 서로
전환
될 수 있다.생물도 물리화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물리법칙과 화학법칙이 적용된다. 따라서 생물계도 열역학 법칙을 따른다고 할 수 있다.다만 닫힌 계를 다룬 이 법칙을, 물질과 ... ...
1 한번쓴 자원, 원상회복 안된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평형을 늦출 수 있다는 것이다.문명 비판에 기반을 두고 미래사회를 위해 발상의
전환
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엔트로피 이론은 현재 유럽 등지에서 일어나고 있는 생태주의 운동과도 맥을 같이 하는 듯하다.'녹색운동'으로 대표되는 유럽의 생태주의 운동은 기존의 환경보호운동과는 세계관에서 큰 ... ...
'공룡→새'친자설 뒤엎은 '새→공룡'이론 등장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점이다.오르세프스키는 이제까지 공룡연구가들이 전혀 생각지 못했던 사고의 대
전환
을 시도했다. 친자설은 친자설인데 '부모 자식이 바뀐 친자설'을 들고 나온 것이다. 그는 "시조새가 공룡의 후예라면 새와 유사한 공룡이 시조새보다 전시대에 많이 발견돼야 하는데 실제는 시조새보다 오히려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