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음
영혼
혼
넋
얼
두뇌
혼령
d라이브러리
"
정신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연한 발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벗어날 수 있어야 한다. 프랑스의 미생물학자 루이 파스퇴르는 이를 ‘기회는 준비된
정신
에게만 찾아온다’는 말로 표현했다. 독일의 물리학자이자 철학자인 게오르그 리히텐베르크는 “모든 발견은 그것이 결과에 얼마나 가까이 있느냐 멀리 있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 모두 우연에 속한다. 그렇지 ... ...
영어 학습, 빠를수록 좋은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보이지만 다른 해석도 가능하다. 지니의 경우 고립 생활로 인해 언어 장애뿐만 아니라
정신
지체와 정서적 장애도 함께 갖고 있었다. 이러한 인지적, 정서적 능력의 감퇴가 지니의 언어 습득을 방해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또한 결정적 시기 가설에 맞지 않는 현상이 농아 아동들의 미국수화학습을 ... ...
몸에서 에너지 뽑는 인간발전소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논쟁대상이었다. 프랑스의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는 인간을
정신
과 육체로 이분하고 몸은
정신
작용으로 작동하는 기계로 봤다.실제로 인체가 작동하는 근본 원리는 자동차 같은 기계장치와 매우 닮았다. 자동차는 가솔린 같은 연료에 저장된 화학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꾼다. 그리고 그 중 일부를 ... ...
피아노 건반을 사랑한 물리학자 김지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쇼팽을 좋아합니다. 작품마다 풍부한 감수성이 배어 있으니까요.”그랜드 피아노와 드럼이 있어 저녁 시간에는 연주도 감상할 수 있다는 대전 ... 재기에 성공한 ‘애플’의 스티브 잡스의 예에서 보듯이 모험심과 투지, 그리고 개척
정신
이야말로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필요하지 않을까 ... ...
스크린 속에 살아난 세종시대 로켓 신기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철저히 고증하지 않으면 복원의 의미가 없다”는 그에게 겨레과학을 살리려는 장인
정신
이 묻어난다.신기전에 필적한 무기, 최초의 샷건 ‘사전총통’신기전과 동시대에 등장했던 조선 초기 무기 중 주목할 만한 것은 ‘사전총통’이다. 화약의 힘으로 여러 발의 화살을 한꺼번에 날릴 수 있는 ... ...
금고의 돈이 깜쪽같이 사라졌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 사건 해결 - 흰개미 퇴치법“어이쿠, 깜빡할 뻔 했네. 사라진 내 돈은 어쩌지?”
정신
을 차린 어이쿠야 씨가 돈 이야기를 꺼낸다. 이 때 나드몰라 씨가 어이쿠야 씨 손을 잡는다.“제가 좀 더 신경을 써서 흰개미가 생기지 않도록 건조한 환경을 만들고 금고 틈도 꼼꼼히 막았어야 했는데…. ... ...
한우 꽃순이의 독백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소양강댐 저수량이 29억t이니 엄청난 양이죠. 안 그래도 물 부족이 심각한데 중국 사람들,
정신
바짝 차리세요!그냥 넘어가려고 했는데 아무래도 찔리네요. 저희가 환경오염의 주범이란 걸 고백해야겠어요. 소 방귀가 지구온난화를 부추긴다는 말 들어보셨을 거예요. 웃지 마세요. 심각한 ... ...
아찔 아찔~! 놀이기구는 진화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레일을 달리는 롤러코스터 안. 주변의 풍경을 감상할 마음의 여유는커녕 머리카락이
정신
없이 흩날리고 연신 비명이 터져 나온다.여기서 잠깐~! 분명 자동차가 고속도로에서 달리는 속도와 비슷하게 달리는데, 왜 롤러코스터가 더 빠르게 느껴질까? 그건 바로 공기의 저항을 사정없이 온몸으로 받아 ... ...
신세대 심리코드 우리 결혼했어요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이 경험을 하면 이 ‘꿀맛’을 계속 맛보려고 한다. 중독이 되는 셈이다. 서울대 의대
정신
과학교실 권준수 교수는 “물건을 살 때 느끼는 흥분과 설레임이 도파민 분비를 자극한다”며 “그 물건이 신상이라면 도파민의 분비가 배가 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인영처럼 바쁜 스케줄 때문에 받은 ... ...
오일러 앞지른 최석정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이 사실을 KAIST 한상근 교수에게 알려준다는 걸 깜빡 잊었다. 당시 전자공학과 업무에
정신
이 없었다고. 그러다가 지난 5월 30일 고려대에서 있었던 암호연구회 워크숍에서 한 교수를 만나 이 얘기를 하게 됐던 것.“한 교수와 연락을 하고 지낸지는 10년이 넘었지만 이날 처음 만났습니다. 제가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