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뉴스
"
덕분
"(으)로 총 2,423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부 흉터없이 위벽 뚫어 췌장 치료… ‘수술 로봇’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18.09.03
더딘 것 같다”고 말했다. 단일공 수술법도 최근엔 돌파구가 생겼다. 역시 로봇
덕분
이다. 신형 다빈치 로봇 ‘SI’ 또는 ‘XI’를 이용하면 쉽게 수술할 수 있어 서울에 있는 대형 병원에는 대부분 보급돼 있다. 다만 수술비는 일반 단일공 수술에 비해 2, 3배로 비싸진다. 30일엔 단일공 수술용 로봇 ... ...
“게놈 정밀 의학을 꿈꾼다면, 부처나 산-학 경계부터 넘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8.09.03
넘어선 강력한 리더십과, 민감한 개인 의료정보에 대한 우려를 잠재운 기술적 진보
덕분
”이라고 강조했다. 지난달 31일 한국을 방문한 영국 '10만 게놈 프로젝트' 정보분석 총책임자 팀 허버드 영국 킹스칼리지런던 교수. - 사진 제공 윤신영 영국은 2012년부터 잉글랜드 내 85개 병원으로부터 희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왜 남이 하는 건 항상 쉬워 보일까?
2018.09.01
모르겠다. 특히 ‘남’이 한 것이라면 더더욱. 내가 잘 한 일은 나의 노력과 재능
덕분
(내적 귀인)이지만 타인이 잘 한 일은 단지 ‘운이 좋아서’(외적 귀인)라고 생각하는 경향은 실제로 매우 광범위하게 나타나서 ‘근본적 귀인오류(fundamental attribution error)’라고 불리기도 한다. 놀란 어깨로 인해 ... ...
美 실리콘밸리 진출하는 학부 졸업생 김태훈 씨
동아사이언스
l
2018.08.28
‘카르페디엠(carpedm)20’이라는 아이디는 세계 AI 연구자들 사이에서 유명세를 탔다.
덕분
에 2015년 졸업 당시 김 씨는 구글 브레인 프로젝트를 이끄는 제프 딘, 오픈AI의 창립멤버 중 한 명인 존 슐만 연구원 등 실리콘밸리 정보기술(IT) 기업 관계자들의 러브콜을 받았다. 김 씨는 “아쉽게도 당시엔 ... ...
100번째 생일 맞은 ‘히든 피겨스’ 주인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인물이다. 인류가 최초로 달을 밟을 수 있었던 것도 존슨이 정확하게 로켓 궤도를 계산한
덕분
이었다. 그녀가 ‘인간 컴퓨터’로 불리는 이유다. 1918년 8월 26일 웨스트버지니아 주 남부의 화이트설퍼스프링스에서 태어난 존슨은 어려서부터 수학과 계산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당시 흑인 ... ...
[스타트업, 결정적 순간] 소비자의 '필요'를 직접 연결해 빠르게 성공하다…미디어 커머스 데일리앤코
2018.08.27
사용해 소비자에게 좀 더 오랫동안 내 머리를 고정시켜 줄 것 같은 느낌을 전달했고요.
덕분
에 스프레이가 아닌 전혀 다른 카테고리 제품처럼 인식될 수 있었고 전에 없던 여성 스프레이 시장을 만들어 내며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었어요." 빅히트를 기록한 데일리앤코의 '헤어 실드' Q. 대표적인 ... ...
재미 한국과학자 핵융합 난제 ‘토카막의 딜레마’ 해결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6
플라스마 상태를 구현할 수 있고, 고온의 플라스마가 내벽에 닿지 않는다는 장점
덕분
에 과학자들의 큰 주목을 받아 왔다. 하지만 플라스마 상태가 짧은 순간에만 유지돼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백 연구원은 “토카막을 가동하는 전통적인 방식은 중앙의 유도 코일(솔레노이드)을 이용해 ... ...
[짬짜면 과학 교실] 은하 철도 지구호의 안내 방송
2018.08.25
24절기를 여행하는 우주 열차입니다. 지구 호는 오른쪽으로 조금 기울었지만 그
덕분
에 한반도엔 24절기가 있습니다. 올해도 다양한 절기 여행 하시기 바랍니다. 초등생을 위한 덧말 매일 아침마다 동쪽 하늘에서 떠오른 태양은 한낮에 남쪽 하늘을 지나서 저녁 무렵에는 서쪽 ... ...
[표지로 읽는 과학] 깨달음 세계 만다라 닮은 그래핀 준결정
동아사이언스
l
2018.08.25
애초에 두 층의 각도를 달리해서 그래핀을 성장시키는 ‘에피택시’ 방식을 사용한
덕분
에 각도를 정확하게 틀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동안 2차원 물질을 기반으로 한 준결정은 이론적으로 제안됐을 뿐, 실험을 통해 입증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래핀 준결정은 평면 구조의 2차원 물질인 ... ...
강화학습 훈련 받은 AI 축구선수들 팽팽한 접전...세계 첫 AI월드컵 KAIST 우승
동아사이언스
l
2018.08.22
이겨서 기쁘다. 상대팀과 달리 강화학습 기반의 딥러닝(심층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쓴
덕분
에 이길 수 있었던 것 같다”고 밝혔다. 위슬팀은 4강 진출 팀 중 유일하게 강화학습을 적용해 AI 선수들을 훈련시켰다. 강화학습은 가령 각 선수마다 골을 넣거나 상대 진영에 진입하고 유리한 패스를 했을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