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5,97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감미료 수크랄로스, 면역반응 약화…자가면역질환 치료 단서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3.16
1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수크랄로스가 살아있는
동물
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쥐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용 쥐에게 미국과 유럽의 식품 안전당국이 권장하는 일일 최대 섭취량에 해당하는 수크랄로스를 먹였다. 연구팀은 "최대 섭취량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
2023.03.14
따라 2017년 5월 20일부터 박물관은 재개장 준비에 들어갔다. 존 헌터가 수집한 사람과
동물
의 표본 중 약 3분의 1이 오늘날까지 남아 있지만 2023년 1월 11일, 헌터 박물관은 찰스 번의 골격을 공식적으로 폐기한다고 발표했다. 대신 1789년에 조슈아 레이놀즈가 그린 존 헌터의 유화 초상화를 전시한다고 ... ...
치료법 없는 루게릭병, 새 원인으로 '면역 단백질' 지목
동아사이언스
l
2023.03.14
결과 이 신경세포에선 아주 많은 양의 가스더민 E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됐다. 이어진
동물
실험에서는 루게릭병에 걸린 쥐에게서 가스더민 E를 억제했다. 그러자 쥐에게선 루게릭병 증상의 진행이 지연되고 운동세포와 축삭에 대한 전반적인 염증 반응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팀은 "쥐 ... ...
항암제 안 듣는 암 치료 신약 후보 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3
옥살리플라틴, 소라페닙에 각각 저항성을 보여 재발‧전이된 환자의 암세포를
동물
모델에 이식 후 각 항암제를 종양에 단독 투여해 종양 크기 변화를 살폈다. 옥살리플라틴만 투여했을 때 평균 200mm3였던 종양 크기는 20일 뒤 354.44mm3, 30일 뒤 1593.2mm3, 40일 뒤에는 2756.36mm3로 계속 커졌다. 소라페닙 ... ...
반창고 대신 붙이는 ‘살아있는 세포 스티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2
이를 세포 전달 플랫폼의 배경 원리로 설명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세포 스티커를
동물
모델에 적용해 다양한 형태의 상처에 붙이고 상처가 빠르게 재생되는 것을 확인했다. 나아가 배양된 세포 스티커를 원하는 모양으로 잘라내 복잡한 환부에 적용할 수 있는 ’살아있는 세포 메디폼'의 개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시선에서 생각하기 능력의 중요성
2023.03.11
간단하게 생각해보면, 타인의 관심과 사랑 없이는 살아갈 수 없는 인간이라는
동물
은 분명 사랑하기 위해서 존재한다는 이야기였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이해하기 위한 노력을 멈추는 것은 사랑하기를 멈추는 것과 같을지도 모르겠다. 사랑하기를 멈춘다면 내 존재 이유 또한 멈추는 것이 아닐까. ... ...
뇌는 감염을 어떻게 인지할까..."체내 뉴런 통해 신호 전달"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못한다면 프로스타글란딘이 바로 신호전달 물질의 이동 경로란 것이다. 하지만
동물
실험에서 이러한 가설은 사실과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EP3 수용체를 제거한 실험용 쥐를 독감 바이러스에 감염시켰지만 쥐의 신체는 질병에 대응하기 위해 정상적으로 기능했다. 연구팀은 실험 과정에서 ... ...
UN, 전세계 바다 30% 보호구역 지정..."역사적 합의"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해양자원을 공유하는 등의 내용도 포함됐다. 이에 따라 고래와 거북 등 멸종위기
동물
들도 보호를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로라 멜러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 해양 캠페인 담당자는 “환경보존에 역사적인 날”이라며 “분열된 세계에서 자연과 인간을 보호한다는 원칙이 지정학을 압도할 수 ... ...
뇌세포와 컴퓨터 '콜라보'...바이오컴퓨팅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참여하고 있는 레나 스미르노바 존스홉킨스대 환경보건·공학 교수는 “OI는 인간이나
동물
실험에 의존하지 않고도 자폐증 등 뇌질환 관련 신경망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도구”라며 “인지 문제를 겪는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토머스 하퉁 미국 존스홉킨스 ... ...
체르노빌 떠돌이개 유전특성 규명..."방사선 포유류 노출 영향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3.03.05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과학자들은 이번 연구가 방사선 환경에서
동물
과 인간이 현재와 미래에 어떻게 살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광범위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카리 에켄스테트 미국 퍼듀대 수의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방사선에 지속적으로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