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뉴스
"
연구실
"(으)로 총 1,696건 검색되었습니다.
파이로프로세싱 실증 계획 중단…“2020년 재검토”(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국내 연구기관 등에 ‘원자력 안전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할 ‘원자력 첨단융합
연구실
’(가칭)을 설치하고 △지능형 원전 안전운전 지원 △첨단기술 융합 방사능 사고대응 등 2개 분야에서 시범 프로젝트도 운영할 예정이다. 그 밖에 원자력 안전기술 역량이 있는 대학 등을 ‘혁신연구센터’로 ... ...
6800억원 쏟은 파이로프로세싱 2020년 중단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국내 연구기관 등에 ‘원자력 안전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할 ‘원자력 첨단융합
연구실
’(가칭)을 설치하고 △지능형 원전 안전운전 지원 △첨단기술 융합 방사능 사고대응 등 2개 분야에서 시범 프로젝트도 운영할 예정이다. 그 밖에 원자력 안전기술 역량이 있는 대학 등을 ‘혁신연구센터’로 ... ...
[노벨상 시상식]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2018.12.08
있는 리핑 첸 교수다. 그는 1999년 미국 미네소타주에 위치한 메이요 클리닉의 한
연구실
에서 T세포의 활성을 연구하던 중 암세포에서 발현되는 면역 억제 단백질인 PD-L1을 발견했다. 주로 암세포나 항원표지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PD-L1은 T세포의 PD-1 단백질과 결합해 면역 기능을 억제하는 ... ...
[노벨상 시상식] ‘신의 빛줄기’를 자유자재로
2018.12.08
노벨상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새로운 레이저 기술을 개발한 제라르 무루 프랑스 에콜 폴리테크니크 명예교수, 도나 스트리클런드 캐나다 워털루대 교수와 레이저의 새로운 활용을 개척한 아서 애슈킨 전 미국 벨연구소 연구원 등 3명에게 돌아갔다. 일반적으로 노벨상이 한 가지 연구 ... ...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2018.12.08
일이었을 것이다. 노벨상 덕분인지 크리스마스나 추수감사절에도 잘 비지 않던
연구실
이 10월 3일 오후에는 텅 비었다. 아놀드 교수는 아슬아슬하게 노벨상 수상 기념 기자회견 시간에 맞춰 캘리포니아공대에 도착했고, 연구원 전원이 기자회견에 참석했다. 장내는 캘리포니아공대 최초의 여성 ... ...
25개 출연연 2088명 정규직 전환…실 전환률 55.9%
동아사이언스
l
2018.12.07
전환 대상은 연중 9개월 이상, 향후 2년 이상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시·지속 업무다.
연구실
안전과 관련된 업무, 폭발물‧유해물질 처리 등 위험도가 높은 업무도 정규직 전환 대상이다. 출연연은 전환 대상 직무에 근무했던 기존 비정규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1단계 전환 심사를 거쳐 우선 ... ...
올해를 빛낸 기초연구자에 김동인 성대 교수·김기현 한양대 교수 등 10인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교수와, 미각 인지의 생물학적 과정을 탐구한 문석준 연세대 교수가 선정됐다. 기초
연구실
에서는 비선형 자연현상을 수학이론으로 확립한 변순식 서울대 교수와, 진화와 분자유전학 검출 방법을 연구한 김유섭 이화여대 교수가 선정됐다. 기반 구축 부문에서는 이강수 포스텍 생물학연구정보센터 ... ...
[인사] 한국기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한국기계연구원 △경영지원본부장 이사일 ▽실장 △경영지원본부 인력개발실 권동인 △〃 총무구매실 송재윤 △〃 안전시설실 김달식 △환경시스템연구본부 환경기계
연구실
한방우 ...
20대 여성 과학자 18% “
연구실
안전하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1.27
박태균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 회장이
연구실
안전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연구실
현장에서 가임기 과학기술인을 위한 교육 및 정책을 논의한다. 여성과총은 남녀 과학기술인 모두가 안전한 환경에서 연구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 교육과정을 개정하고자 2015년부터 여성과학자 ... ...
억만장자 빌 게이츠와 리처드 브랜슨은 왜 인공고기 사업에 투자했나
과학동아
l
2018.11.24
정부 관계자들을 서로 연결시켰다. 세포 농업 분야는 점차 커져 2012년 전 세계 30개
연구실
에서 배양육 연구가 진행됐다. 근관세포 키워 근육조직 만들어 배양육 연구에 방점을 찍은 것은 마크 포스트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대 혈관생리학과 교수다. 포스트 교수는 2013년 런던에서 열린 학회에서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