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176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로잡습니다] 미토콘드리아DNA 유전질환 적은 이유는 ‘병목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19.11.19
신중을 기할 계획이며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재발 방지를 약속합니다. 논문
저자
로 참여한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와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연구팀 관계자들과 학술지 관계자들께 심려를 끼친 점에 대해 진심 어린 사과 말씀을 드립니다. 국내 독자 여러분께 혼선을 드린 점도 사과드립니다. ... ...
전기플러그에 꽂으면 미세먼지 속 무기나노물질 위험성 판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8
무기 나노입자의 항균성을 유지하며 인체 유해성을 낮췄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제1
저자
로 연구에 참여한 박대훈 연세대 연구원(박사과정생)은 “전구체 용액을 사용하게 되면 열을 이용해 용액을 건조시키는 단계 등 4가지 단계를 거쳐야 한다”며 “이번에 개발한 합성 장치는 플러그를 ... ...
[주말N수학]협력의 힘을 발휘하다
2019.11.16
됐을까요? 찾아보니 우 씨는 지난 6월부터 9월까지 미국에서 이 논문의 두 번째
저자
인 러벳 교수의 지도 아래 학부생 연구에 참여했습니다. 바로 이런 인연으로 함께 논문을 쓴 것 같습니다. 필자도 간혹 학부생들과 연구를 하다가 논문으로 이어진 경험이 있었습니다. 수학 연구라는 것이 어떤 ... ...
'적혈구 트로이목마' 폐까지 약물 전달해 암 전이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4
것"이라며 "실험 결과 적혈구에 실은 독소루비신은 대부분 폐로 전달됐다"고 말했다. 공동
저자
인 종민 자오 박사후연구원은 "폐처럼 모세혈관이 많은 부위는 그만큼 다른 부위로부터의 암 전이율이 높다"며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활용해 폐로 암이 전이되는 일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KAIST-연세대, 암세포가 면역세포 힘 떨어트리는 원리 발견
2019.11.13
말했다. 김창곤 KAIST 의과학대학원 박사과정생과 장미 연세대 의대 연구교수가 공동 1
저자
로 참여한 이번 연구결과는 이달 8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면역학’에 실렸다 ... ...
생명체 거주 가능 '골디락스' 행성도 행성 나름
연합뉴스
l
2019.11.13
JWST)은 외계행성의 수증기와 오존 등을 관측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논문 제1
저자
인 박사과정 연구원 하워드 천은 '우주에 우리만 존재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아직 답을 얻지 못했다면서 그러나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행성을 예측할 수 있다면 우리 생애 중에 이에 대한 ... ...
호박(琥珀) 속 곤충서 9천900만년 전 꽃가루 매개 확인
연합뉴스
l
2019.11.12
진행됐다는 가설을 입증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꽃가루 분석을 맡은 논문 공동
저자
인 인디애나대학의 데이비드 딜처 교수는 "곤충과 꽃가루가 하나의 화석에 보존된 것을 찾는 것은 극히 드물다"면서 "곤충의 종자식물 화분 매개에 대한 가장 오래된 증거를 확보한 것 이외에도 식물과 동물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짜게 먹으면 치매 걸릴 위험성 높다
2019.11.12
게 인지 기능을 떨어뜨린다는 결과도 있고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결과도 있다. 이에 대해
저자
들은 아직 이 분야의 연구 건수가 적은 것과 함께 소금 섭취량만의 차이를 보기가 어렵다는 구조적인 문제도 언급하고 있다. 반면 조건을 통제할 수 있는 동물실험의 경우 짜게 먹으면 인지 기능에 ... ...
"다른 동물 줄기세포로 생쥐 폐 분화 성공"
연합뉴스
l
2019.11.11
한편 이번 연구엔 스탠퍼드대의 나가우치 히로미츠 유전학 교수가 공동 수석
저자
로 참여했다. 스탠퍼드대와 일본 도쿄대에서 각각 자신의 연구팀을 운영하는 그는, 인간에게 이식할 수 있는 신체 기관을 동물에서 만들어내는 줄기세포 분화 연구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꼽힌다. ... ...
수명 늘고 안전성 확보한 ‘리튬 황 전지’ 제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것이다. 2개의 전해질은 열역학적으로 안정해 서로 섞이지 않는다. 연구논문의 제1
저자
인 김세희 박사는 “개발한 기술을 적용해 만든 리튬-황 전지는 수명이 2배 이상 늘어났다”며 “2개의 전해질은 고체 전해질이지만 부드럽게 구부러지는 젤 형태를 활용했기 때문에 전지의 기계적·화학적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