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뉴스
"
저장
"(으)로 총 2,713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 세계 최고 수준의 시스템 반도체 설계도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공학 분야 기업들이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경쟁하고 있다. 차세대 통신과 데이터
저장
, AI, 센서 등 최첨단 분야에서 요구되는 시스템 반도체는 초저전력 초고효율 반도체가 사용된다. 이영주 포스텍 전자전기공학과 교수가 이끌고 있는 ‘임베디드 프로세서 앤드 인텔리전트 컴퓨팅(EPIC) ... ...
[과기원은 지금] 정명수 KAIST 교수, 메모리 용량·속도 끌어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밝혔다. 이 기술을 통해 인텔 메모리 대비 메모리 슬롯당 4배 이상인 테라바이트 수준의
저장
용량을 가졌으며 휘발성 메모리와 유사한 수준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관련 논문은 올 6월 열릴 컴퓨터구조 분야 학술대회인 이스카에서 공개된다. ... ...
빨고 말리고, 스스로 전기 생산하는 입는 컴퓨터 시대가 오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시계를 구동할만 한 전력을 생성하는 데 성공했다. 자유롭게 세탁이 가능하며 에너지를
저장
할 수도 있다. 미국 스타트업 리타이센스는 운동화에 넣을 수 있는 깔창형 전자섬유를 개발해 걷기나 달리기 방식을 올바르게 개선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 ...
[동일본대지진 10년] 후쿠시마 사고 발생부터 영구 폐로 결정까지 19일의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1~3호기에 수동 냉각 작업은 계속 됐다. 4호기의 사용후핵연료
저장
고에도 해수를 주입해 온도를 낮추는 작업이 이어졌다. 3월 26~27일 도쿄의 8개 지점에서 IAEA 권고치를 웃도는 시간당 0.08~0.15μSv(마이크로시버트)의 방사능이 검출됐다. 후쿠시마 원전에서 30~41km ... ...
[동일본대지진 10년]지금도 한반도 바다 32곳에선 그날 흔적을 쫓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해수 세슘137 시료 1개 분석에 8만 초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의 탱크에
저장
된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예고하면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지난해부터 해수 감시를 강화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본 전역에 퍼진 방사성 물질인 세슘137이 주요 감시 대상이다. ... ...
[동일본대지진 10년]10년 전으로 돌아가는 데 30년이 더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세슘, 스트론튬을 제거해 ‘처리수’로 만든 후
저장
탱크에 보관하고 있다. 현재 탱크에
저장
된 처리수는 124만t에 이른다. ALPS는 삼중수소를 제거하지 못한다. 이런 이유로 처리수에는 삼중수소가 남아있다. 일본 정부는 삼중수소의 농도를 국제 기준치 이하로 만들어 대기 중으로 날려보내거나 ... ...
[동일본대지진 10년]“오염수 탱크 10개 방사성 핵종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 탱크가 포화 상태에 이르러 더는 오염수를
저장
하지 못할 상황에 대비한다는 명분으로 오염수에서 방사성 물질을 걸러낸 뒤 바다에 방류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도쿄전력은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통해 정화 과정을 거치면 오염수에 포함된 62종 ... ...
[랩큐멘터리]한국 반도체 기술의 청사진을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등 미래 혁신산업에서 데이터
저장
과 처리 능력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데이터
저장
과 처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게 메모리 반도체다. 한국은 그동안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시장 최강자로 군림해왔다. 그러나 최근 메모리 반도체 소자 개발은 집적도 측면에서 한계에 봉착했다. 소자를 연결하는 ... ...
빛 쪼여 약물 주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나노입자를 코팅한 뒤 여기에 근적외선을 쪼여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 전류가 약물
저장
소를 막고 있는 금 박막을 녹여 약물이 방출되게 했다. 근적외선을 사용한 건 피부를 투과할 수 있다는 특징 때문이다. 한 교수는 “유연한 태양광발전 소자와 약물 전달 시스템을 결합해 약물 방출을 쉽게 ... ...
전 세계 데이터의 90%가 ‘이것’…DGIST ‘암흑데이터 극한활용 연구센터’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수준으로 늘면서 암흑데이터도 많이 생성되고 있다. 이 센터장은 하드디스크에 데이터
저장
뿐 아니라 연산 기능 등을 추가해 AI가 데이터를 찾을 때 처리 속도를 높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 암흑데이터에서 의미 있는 데이터를 발굴하기 위한 검색 기술에는 딥러닝을 적용하고 있다. 이 센터장은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